$\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 지식, 재난대처능력간 상관관계
Correlation among Nurses' Educational Status, Knowledge and Disaster Preparedness 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589 - 598  

김민영 (온 종합병원) ,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재난대처능력에 대한 지식과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실성, 재난대처능력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 방법으로 한 도시에 1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3개월 이상의 근무 경험을 가진 총 125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월에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사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에 의해 분석하였다.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자연재해 $3.69{\pm}0.63$, 대량인명사고 $4.07{\pm}0.60$, 감염병 $4.31{\pm}0.58$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은 원내 재난교육 실시여부(r=.29, p=.001), 최근 1년 이내 재난교육 이수여부(r=.33, p<.001)와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신정도(r=.23, p=.003)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재난에 대한 지식(r=-.27, p=.003)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즉, 소속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재난대처교육을 실시하는 경우와 그를 이수한 간호사의 경우 재난대처능력이 높아 재난대처에 대한 주기적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 향상을 위해 더 강한 교육적 대처와 실제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s among awareness about the necessity of disaster preparedness education, the actual educational status, preparedness knowledge, and the certainty of knowledge among nurse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a total of 125 nurses with over 3 m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육실태, 재난대처에 대한 지식과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신정도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과의 상관성을 규명하여 임상현장에서의 재난대처 교육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인식과 재난대처교육실태, 재난대처에 대한 지식,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신정도를 파악하고, 재난발생 시 간호사의 대처능력과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의 재난대처 교육 마련에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장에서는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위해 관련 변수들과의 상관성을 규명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소속 기관 내에서 자체적으로 재난 대처교육을 실시하는 경우와 그를 이수한 간호사의 경우 재난대처능력이 높아 재난대처에 대한 주기적 교육의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재난대처에 대한 지식이 높을수록 재난대처능력이 낮은 반면, 지식의 정확성에 대한 확신정도가 높을수록 재난대처능력은 유의 하게 높아져 이에 대한 재검정이 요구되었다.
  •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어 왔지만[5,6,8,11-13] 응급실 간호사[11-13] 나 지역사회 간호사[14-16] 혹은 간호대학생[17]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실제 재난발생 시 의료의 가장 일선에 있는 종합병원의 일반간호사에 대한 재난대처능력의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종합병원에 근무 중인 일반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대처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실태, 재난대처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고 재난대처능력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간호사의 재난대처능력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기초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재해는 어떻게 나눌수 있고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가? 재난은 자연재해와 사회재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선, 자연재해는 태풍, 홍수, 해일, 지진 등의 기후나 지진에 의한 것들로 발생 자체를 막기 어렵고, 피해규모가 크다. 사회재해는 대량인명사고와 감염병으로 다시 나뉘는데 대량인명사고는 화재, 붕괴, 폭발, 교통사고 뿐만 아니라 에너지, 교통, 금융, 의료 등으로 인한 국가기반체계의 마비 등을 말하고, 감염병은 해외 신종 혹은 재출현 감염 병의 국내 유입과 확산, 국내 신종 혹은 재출현 감염병 발생과 확산으로 인해 발생할 뿐 아니라 태풍 수해 등자연재해로 인해 2차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3]. 재난은 다수의 생명에 위협을 가져오므로 의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게 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며, 특히 간호인력에 대한 요구는 더욱 커서 서울시의 경우 재난의료지원팀 구성에 간호사 2명이 포함되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4].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이란 사회가 가진 자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는 인적, 물적, 경제적, 환경적 손실로 사회기 능이 붕괴되어 사회자원의 수요가 공급을 심각하게 초과 하는 상황을 말한다[1]. 의료에서는 자연적 혹은 인위적 원인으로 파괴와 손실, 대량 환자가 발생하여 수요가 제공 가능한 의료자원을 능가하는 상태를 총칭한다[2].
의료에서의 재난은 무엇인가? 재난이란 사회가 가진 자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는 인적, 물적, 경제적, 환경적 손실로 사회기 능이 붕괴되어 사회자원의 수요가 공급을 심각하게 초과 하는 상황을 말한다[1]. 의료에서는 자연적 혹은 인위적 원인으로 파괴와 손실, 대량 환자가 발생하여 수요가 제공 가능한 의료자원을 능가하는 상태를 총칭한다[2]. 재난은 자연재해와 사회재해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선, 자연재해는 태풍, 홍수, 해일, 지진 등의 기후나 지진에 의한 것들로 발생 자체를 막기 어렵고, 피해규모가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Strategy for Disaster Risk. The Pocket GAR 2015 Making Development Sustainable: The Future of Disaster Risk Management. Available at http://www.preventionweb.net/english/hyogo/gar/2015/en/ home/GAR_pocket/Pocket%20GAR_3.html. [accessed on 15 Jun 2016] 

  2. K. S. Lim, S. H. Hwang, M. Y. Ahn, H. C. Ahn, "Disaster medicine", Gunja Publisher, pp. 10-19, 2009. 

  3.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2014. Available at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52012#0000 [accessed on 18 June 2016]. 

  4. Healthcare policy team. Plan for the disaster-related medical support system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Seoul; Seoul City Hall, pp. 3-5, 2012. 

  5. O. C. Lee, S. Wang, "Exploration on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4, no2, pp. 94-104, 2008. 

  6. O. W. Fung, A. Y. Loke, C. K. Lai, "Disaster preparedness among Hong Kong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62, no. 6, pp. 698-703, 2008. DOI: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8.04655.x 

  7. M. M. Pattillo, T. M. O'Day, "Disaster response; the university of Texas school of nursing experience", Nursing and Health Sciences, vol. 11, no, 4, pp. 378-381, 2009. DOI: https://doi.org/10.1111/j.1442-2018.2009.00500.x 

  8. N. Subbiah, "Workshop on 'role of nurses in disaster preparedness and management", The Nursing Journal of India, vol. 96, no. 7, pp. 151-152, 2005. 

  9. E. F. Bond, R. Beaten, "Disaster nursing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vulnerability assessment in the Pacific Northwest",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40, pp. 441-451, 2005. DOI: https://doi.org/10.1016/j.cnur.2005.04.010 

  10. D. W. Ha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owering disaster volunteer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 2007, no. 1, pp. 100-124, 2007. 

  11. H. Y. Park,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of emergency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eon University, 2015. 

  12. S. K. Lee,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disaster preparedness among nursing in emergenc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2014. 

  13. Y. J. Park, E. J. Lee, "A study on ego-resilience, disaster-experience and core competenc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21, no. 1, pp. 67-79, 2015. 

  14. M. Chiu, B. J. Polivka, S. A. Stanley, "Evaluation of a disaster-surge training for public health nurses", Public Health Nursing, vol.29, no. 2, pp. 136-142, 2012. DOI: https://doi.org/10.1111/j.1525-1446.2011.00984.x. 

  15. Y. Luo, L. Liu, W. Q. Huang, Y. N. Yang, J. Deng, C. H. Yin, et al, "A disaster response and management competency mapping of community nurses in China",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42, no. 9, pp. 941-949, 2013. 

  16. L. Walsh, I. Subbarao, K. M. Gebbie, K. W. Schor, J. Lyznicki, K. Strauss-Riggs, et al, "Core competencies for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vol. 6, no. 1, pp. 44-52, 2012. DOI: https://doi.org/10.1001/dmp.2012.4 

  17. E. K. Ahn, S. K. Kim,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6, pp. 257-267, 2013. 

  18. D. F. Polit, "Data analysis and statistics for nursing research(1st edition)", Saratoga Springs, NY; Pearson Education, pp. 238-239, 1996. 

  19. H. J. Kim, J. Huh, "SPSS 21.0 statistical analysis and explanation", Seoul; Top books, 2013. 

  20. J. Y. Noh,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10. 

  21. Z. Zhiheng, W. W. Caixia, W. Jiaji, Y. Huajie, W. Chao, L. Wannian, "Th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about public health emergencies and the response capacity of primary care medical staffs of Guangdong Province, China", BioMed Health Service Research, vol.12, pp. 338, 2012. DOI: https://doi.org/10.1186/1472-6963-12-338 

  22. H. J. Kim,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1, pp. 7447-7455, 201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5.16.11.7447 

  23. K. H. Kang, D. C. Uhm, E. S. Nam,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3, pp. 424-435, 201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3.424 

  24. M. R. Yu, S. Y. Lee, Y. M. Jung, H. J. Yeon,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oriented educational program for disaster nursing",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 25, no. 1, pp. 99-128, 2007. 

  25. H. Guclu, S. Kumar, D. Galloway, M. Krauland, R. Sood, A. Bocour, et al, "An agent-based model for addressing the impact of a disaster on access to primary care services", Disaster Medicine Public Health Preparedness, vol. 10, no. 3, pp. 386-393, 2016. DOI: https://doi.org/10.1017/dmp.2016.44 

  26. A. Ruter, L. Kurlan, D. Gryth, J. Murphy, M. Radestad, A. Djalali, "Evaluation of disaster preparedness based on simulation exercises: a comparison of two models",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vol. 10, no. 4, pp. 544-548, 2016. DOI; https://doi.org/10.1017/dmp.2015.176 

  27. E. G. Ann, K. Keum, S. Y. Choi, "A study on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nurses in some Kore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vol. 29, no. 1, pp. 94-109, 2011. 

  28. Korea Armed Forces Nursing Academy. Disaster Nursing Training Course; 2008. Available at http://www.afna.ac.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46400&siteIddnec&menuUITypesub [accessed on 18 June 2916]. 

  29. D. Markenson, S. Woolf, I. Redlener, M. Reilly,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of health professions students: a multidisciplinary assessment of knowledge, confidence, and attitudes", Disaster Medicine and Public Health Preparedness, vol. 7, no. 5, pp. 499-506, 2013. DOI: https://doi.org/10.1017/dmp.2013.96 

  30. B. O Simonsen, I. Johansson, G. K Daehlin, L. M. Osvik, P. G. Faru, "Medication knowledge, certainty, and risk of errors in health care: A cross-sectional study", BMC Health Service Research, vol. 11, pp. 175, 2011. DOI: https://doi.org/10.1186/1472-6963-11-175 

  31. R. Elgie, R. Sapien, L. Fullerton, B. Moore, "School nurse online emergency preparedness training: an analysis of knowledge, skills and confidence", Journal of School Nursing. vol. 26, no. 5, pp. 358-376, 2010. DOI: https://doi.org/10.1177/10598405103720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