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oT, 빅데이터 그리고 인공지능 원문보기

정보과학회지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v.35 no.7 = no.338, 2017년, pp.43 - 50  

지영민 (전자부품연구원) ,  유준재 (전자부품연구원) ,  이상학 (전자부품연구원)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개의 입력 데이터의 인공지능 신경망 학습을 통한 소성 공정의 온도를 유추하며, 유추된 온도를 기반으로 향후 소성로 온도 안정화에 필요한 입력 인공지능기술을 활용하여 제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입력은 7개로 구성하고 Hidden Layer는 2개로 구성되며, 하나는 8개, 다른 하나는 32개의 퍼셉트론으로 구성되어 학습을 수행한다.
  • 따라서 이런 사물이 생산하는 데이터를 특성에 맞게 저장 관리하는 시스템이 향후 인공지능기술 적용에 키가 될 것이다. 그럼 우선 사물인터넷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빅데이터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살펴보자.
  • 기존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런 시계열 데이터를 저장-관리할 수 있지만, 데이터가 많아지면서 관리-분석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럼 이런 시계열 데이터를 잘 관리할 수 있는 OpenTSDB[5] 데이터베이스를 살펴보자.
  • 본 글에서는 IoT 디바이스에서 센싱되는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떻게 인공지능 기술로 학습하여 예측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사실 아직은 나아갈 길이 멀어 보이지만, 생산되는 센싱 데이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사람이 데이터에서 찾아내진 못한 의미를 인공지능이 학습하여 알려줄 수도 있을 것이다.
  • 본 논문에서는 서론에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그리고 인공지능으로 이어지는 기술 흐름을 살펴보고 2 절에서는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 저장을 위한 시계열 빅데이터 기반 OpenTSDB 기술을 소개한다. 3절에서는 현장에서 수집된 IoT 시계열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경망 기반의 학습 및 예측 수행 방법을 통하여 IoT 기술과 신경망 기술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이야기하고 마지막 4절에서 결론으로 마무리 한다.
  • 본 장에서는 IoT 센싱 데이터를 취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시계열 빅데이터 저장 시스템에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신경망을 통한 학습 사례를 이야기한다. 이 사례를 기반으로 IoT 시계열 데이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떻게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는지 이야기 한다.
  • 이 사례를 기반으로 IoT 시계열 데이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떻게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는지 이야기 한다.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수집된 중국의 성선성 시멘트 소성 공정 데이터이며,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소성로 온도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하지만 이 기술이 기존에 없던 것이 아니라 이미 십여 년 전 부터 유비쿼터스라는 용어로 널리 알려졌던 기술이다. 그럼 유비쿼터스와 사물인터넷의 차이가 무엇인가? 우선 위키피디아 정의를 기반으로 살펴보자.
  • 이 사례를 기반으로 IoT 시계열 데이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어떻게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는지 이야기 한다.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수집된 중국의 성선성 시멘트 소성 공정 데이터이며,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소성로 온도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설 설정

  • . 특정 지역의 온도를 시간마다 측정한다면, 과거 몇 시간의 데이터를 갖고 미래의 온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전 값을 갖고 미래의 값을 예측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Apache hadoop. http://hadoop.apache.org. 

  2. A. Krizhevsky, I. Sutskever, and G. Hinton. ImageNet classification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In NIPS, 2012. 

  3. Image net. http://www.image-net.org. 

  4. Olga Russakovsky*, Jia Deng*, Hao Su, Jonathan Krause, Sanjeev Satheesh, Sean Ma, Zhiheng Huang, Andrej Karpathy, Aditya Khosla, Michael Bernstein, Alexander C. Berg and Li Fei-Fei. ImageNet Large Scale Visual Recognition Challenge. IJCV, 2015 

  5. The Scalable Time Series Database. http://opentsdb.net. 

  6. Apache hbase. https://hbase.apache.org.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