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에서의 침습 B군 사슬알균 감염증 및 혈청형 분석: 2개 대학병원 연구
Serotype Distribution of Invasive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s in Infants at Two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원문보기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PIV, v.24 no.2, 2017년, pp.79 - 86  

조혜경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남혜나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조혜정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손동우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 ,  조용균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  서일혜 (가천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진단검사의학교실) ,  김예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은병욱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침습 B군 사슬알균(group B streptococcus [GBS]) 감염증에서 분리된 균의 혈청형과 임상적 특징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가천대 길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 입원한 GBS 감염 환자 데이터를 후향적으로 수집하고 슬라이드 응집법으로 혈청형을 정하였다. 결과: 총 37명 중 만삭아 22명, 미숙아 15명이었고, 조발형 15명(40.5%), 지발형 19명(51.4%), 늦은 지발형 3명(8.1%)이었다. 조발형이 미숙아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P=0.17). 임상 양상은 균혈증(70.3%)이 가장 흔했고, 수막염, 화농관절염 순이었다. 혈청형 분석이 가능했던 24 균주 중 III형이 가장 흔했고(41.7%), V (16.7%), Ia, Ib, II (각각 12.5%), non-typeable (4.2%)였다. III형은 만삭아에서 더 많았던 반면, V형은 미숙아에서 더 흔했다. 페니실린 내성균은 없었고 에리트로마이신과 클린다마이신 내성은 각각 64.9%였다. 결론: GBS는 미숙아와 만삭아에게 모두 중요한 병원체이며 혈청형 분포에서도 미숙아와 만삭아 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조발형 질환의 발생을 과소평가하지 않고 적절한 예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미숙아를 포함한 GBS 질환의 전국적인 역학을 감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serotypes of group B streptococcus (GBS) isolated from Korean infants with invasive disease and evaluating their association with disease manifestation. Methods: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invasive GBS infections at Gachon University Gil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소아 침습 GBS 감염증 환자에서 분리된 균주의 혈청형을 분석하여 임상적 특징과의 관련성을 밝히고 국내 소아 GBS 감염증의 역학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 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군 사슬알균의 특징은? B군 사슬알균(group B streptococcus [GBS], Streptococcus agalactiae)은 건강한 성인에서 흔히 장관과 비뇨 생식기에 무증상으로 보균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으나 1970 년대 이후 유럽과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신생아의 유병과 사망을 일으키는 병원체로 작용하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했다1). 특히 폐렴구균과 B형 헤모 필루스 인플루엔자균에 대한 단백결합 백신이 도입된 이후 이들 세균에 의한 침습 감염증의 발생이 감소함에 따라 GBS 감염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면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2,3).
조발형 질환은 어떠한 임상 양상을 주로 보이는가? 신생아 침습 GBS 감염증은 질환의 발생 시기에 따라 임상 양상에 차이가 있어 조발형 질환(early-onset disease [EOD])과 지발형 질환(late-onset disease [LOD])으로 분류한다. 생후 7일 이전에 발생하는 EOD는 주로 패혈증, 폐렴 등의 임상 양상을 주로 보이며 수막염이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생후 7일부터 90일 이전에 발생하는 LOD는 균 혈증과 수막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밖의 국소 감염증으로 나타난다. 생후 90일 이후에 발생하는 GBS 감염증은 늦은 지발형 질환(very late-onset disease [VLOD])으로 따로 구분하며 이것의 임상적 혹은 역학적 특징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았다.
신생아 침습 GBS 감염증은 어떻게 분류하는가? 신생아 침습 GBS 감염증은 질환의 발생 시기에 따라 임상 양상에 차이가 있어 조발형 질환(early-onset disease [EOD])과 지발형 질환(late-onset disease [LOD])으로 분류한다. 생후 7일 이전에 발생하는 EOD는 주로 패혈증, 폐렴 등의 임상 양상을 주로 보이며 수막염이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생후 7일부터 90일 이전에 발생하는 LOD는 균 혈증과 수막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밖의 국소 감염증으로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Lachenauer CS, Wessels MR. Group B streptococcus. In: Kliegman RM, Stanton BF, St Geme JW, Schor NF, editors. Nelson textbook of pediatrics. 20th ed. Philadelphia: Elsevier, 2015:1337-41. 

  2. Kim KH, Sohn YM, Kang JH, Kim KN, Kim DS, Kim JH, et al. The causative organisms of bacterial meningitis in Korean children, 1986-1995. J Korean Med Sci 1998;13:60-4. 

  3. Cho HK, Lee H, Kang JH, Kim KN, Kim DS, Kim YK, et al. The causative organisms of bacterial meningitis in Korean children in 1996-2005. J Korean Med Sci 2010;25:895-9. 

  4. Edmond KM, Kortsalioudaki C, Scott S, Schrag SJ, Zaidi AK, Cousens S, et al.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in infants aged younger than 3 month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Lancet 2012;379:547-56. 

  5. Rivera L, Saez-Llorens X, Feris-Iglesias J, Ip M, Saha S, Adrian PV, et al. Incidence and serotype distribution of invasive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in young infants: a multicountry observational study. BMC Pediatr 2015;15:143. 

  6.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Perinatal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after universal screening recommendations: United States, 2003-2005.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7;56:701-5. 

  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Trends in perinatal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United States, 2000-2006.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9;58:109-12. 

  8. Puopolo KM. Current status of vaccine development for group B streptococcus. NeoReviews 2014;15:e430-8. 

  9. Melin P, Efstratiou A. Group B streptococcal epidemiology and vaccine needs in developed countries. Vaccine 2013;31 Suppl 4:D31-42. 

  10. Park KH, Kim KH, Kang JH, Kim KN, Kim DS, Kim YK, et al. Current status and clinical presentations of invasive neonatal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s in Korea. Pediatr Int 2011;53:236-9. 

  11. Lee JH, Cho HK, Kim KH, Kim CH, Kim DS, Kim KN, et al. Etiology of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in immunocompetent children in Korea (1996-2005):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J Korean Med Sci 2011;26:174-83. 

  12. Bekker V, Bijlsma MW, van de Beek D, Kuijpers TW, van der Ende A. Incidence of invasive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and pathogen genotype distribution in newborn babies in the Netherlands over 25 years: a nationwide surveillance study. Lancet Infect Dis 2014;14:1083-9. 

  13. Manning SD, Springman AC, Lehotzky E, Lewis MA, Whittam TS, Davies HD. Multilocus sequence types associated with neonatal group B streptococcal sepsis and meningitis in Canada. J Clin Microbiol 2009;47:1143-8. 

  14. Matsubara K, Hoshina K, Suzuki Y. Early-onset and lateonset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in Japan: a nationwide surveillance study, 2004-2010. Int J Infect Dis 2013;17:e379-84. 

  15. Benitz WE, Gould JB, Druzin ML. Risk factors for earlyonset group B streptococcal sepsis: estimation of odds ratios by critical literature review. Pediatrics 1999;103:e77. 

  16. Allen U, Nimrod C, Macdonald N, Toye B, Stephens D, Marchessault V. Relationship between antenatal group B streptococcal vaginal colonization and premature labour. Paediatr Child Health 1999;4:465-9. 

  17. Minakami H, Hiramatsu Y, Koresawa M, Fujii T, Hamada H, Iitsuka Y, et al. Guidelines for obstetrical practice in Japan: Japan Socie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JSOG) and Japan Association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JAOG) 2011 edition. J Obstet Gynaecol Res 2011;37:1174-97. 

  18. Di Renzo GC, Melin P, Berardi A, Blennow M, Carbonell-Estrany X, Donzelli GP, et al. Intrapartum GBS screening and antibiotic prophylaxis: a European consensus conference. J Matern Fetal Neonatal Med 2015;28:766-82. 

  19. Money DM, Dobson S; Canadian Paediatric Society, Infectious Diseases Commitee. The prevention of early-onset neonatal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J Obstet Gynaecol Can 2004;26:826-40. 

  20. Darlow B, Campbell N, Austin N, Chin A, Grigg C, Skidmore C, et al. The prevention of early-onset neonatal group B streptococcus infection: New Zealand Consensus Guidelines 2014. N Z Med J 2015;128:69-76. 

  21. South Australian Maternal and Neonatal Clinical Network. South Australian Perinatal Practice Guidelines: neonatal sepsis (including maternal group B streptococcal colonisation) [Internet]. Adelaide: South Australian Health; c2012 [cited Jun 29]. Available from: http://www.sahealth.sa.gov.au/wps/wcm/connect/35cac4804ee510ca997f9dd150ce4f37/Neonatal+sepsis_June2014.pdf?MODAJPERES&CACHEID35cac4804ee510ca997f9dd150ce4f37. 

  22. Barcaite E, Bartusevicius A, Tameliene R, Kliucinskas M, Maleckiene L, Nadisauskiene R. Prevalence of maternal group B streptococcal colonisation in European countries. Acta Obstet Gynecol Scand 2008;87:260-71. 

  23. Lee BK, Song YR, Kim MY, Yang JH, Shin JH, Seo YS, et al. Epidemiology of group B streptococcus in Korean pregnant women. Epidemiol Infect 2010;138:292-8. 

  24. Hickman ME, Rench MA, Ferrieri P, Baker CJ. Changing epidemiology of group B streptococcal colonization. Pediatrics 1999;104(2 Pt 1):203-9. 

  25. Hong JS, Choi CW, Park KU, Kim SN, Lee HJ, Lee HR, et al. Genital group B streptococcus carrier rate and serotype distribution in Korean pregnant women: implications for group B streptococcal disease in Korean neonates. J Perinat Med 2010;38:373-7. 

  26. Uh Y, Jang IH, Yoon KJ, Lee CH, Kwon JY, Kim MC. Colonization rates and serotypes of group B streptococci isolated from pregnant women in a Korean tertiary hospital.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1997;16:753-6. 

  27. Park JS, Cho DH, Yang JH, Kim MY, Shin SM, Kim EC, et al. Usefulness of a rapid real-time PCR assay in prenatal screening for group B streptococcus colonization. Ann Lab Med 2013;33:39-44. 

  28. Kim EJ, Oh KY, Kim MY, Seo YS, Shin JH, Song YR, et al. Risk factors for group B streptococcus colonization among pregnant women in Korea. Epidemiol Health 2011;33:e2011010. 

  29. Yoon IA, Jo DS, Cho EY, Choi EH, Lee HJ, Lee H. Clinical significance of serotype V among infants with invasive group B streptococcal infections in South Korea. Int J Infect Dis 2015;38:136-40. 

  30. Johri AK, Lata H, Yadav P, Dua M, Yang Y, Xu X, et al. Epidemiology of group B streptococcus in developing countries. Vaccine 2013;31 Suppl 4:D43-5. 

  31. Ferrieri P, Lynfield R, Creti R, Flores AE. Serotype IV and invasive group B Streptococcus disease in neonates, Minnesota, USA, 2000-2010. Emerg Infect Dis 2013;19:55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