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드 루머(THAAD rumor) 보도에 나타난 한국 언론의 정파성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중심으로
Korean Media Partisanship in the Report on THAAD Rumor Network and Fram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84, 2017년, pp.152 - 188  

홍주현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  손영준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루머의 사회적 확산 과정에서 한국 언론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통해 밝혔다. 언론의 이념적 성향과 뉴스생산 과정의 차이에 따라 언론 매체를 구분하고, 매체별 보도를 비교했다. 이념적 성향에 따른 보도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보수 언론은 사드 루머를 불필요한 오해로 보고, 사드 유언비어가 사회적 갈등을 유발한다고 했다. 진보 언론은 황교안, 외부세력, 거짓말을 많이 언급했고 '괴담을 반대하는 외부세력이 있다'는 정부의 입장을 비판했다. 루머 프레임을 비교해 보면 보수언론은 루머의 확산 원인을 악의적 괴담이 확산되고 있다고 본 반면에, 진보 언론은 사드의 유해성을 입증하기보다는 정부와 보수 언론이 사드 괴담을 유포한 세력을 비판하는 것에 주목했다. 오프라인 매체와 비교해서 온라인 매체는 감정적 표현과 비논리적인 이야기 구성으로 선정적인 보도 경향이 강했다. 한국 언론은 사실 확인이나 과학적 검증보다는 각자의 정파적 성향에 따라 사드 루머 이슈를 보도했다. 보수 진보 매체는 사드 루머의 발생 원인과 반대 시위 주체, 전자파의 유해성 등에서 양극화된 프레임을 제시했다. 한국 언론의 정파적 보도는 우리 사회의 정치적 대치 관계를 더욱 심화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 언론이 식견 있는 공중(informed public)을 확보하는 데 성공적이지 못하며 오히려 민주주의 질서 자체를 위협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tereotyped the media on the basis of ideological inclinations and media types and explored the news coverage through word analysis, network analysis, and frame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nservative media and progressive media in terms of the amount of news. The conserva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 사회 소통 구조의 특징 중 하나는? 정보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우리 사회 소통 구조의 특징 중 하나는 사실에 기반을 둔 진실과 헛소문에 바탕을 둔 루머나 가짜뉴스가 뒤섞여 유통되고 있다는 점이다. 세월호 참사나 메르스 사태 등 위기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확인되지 않은 루머가 어김없이 나타나고 온라인을 통해 급속도로 번진다.
우리나라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지역은? 2016년 정부가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지역을 경북 성주로 정한 이후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는 사드와 관련된 괴담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인터넷 토론장 에서는 전국 참외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성주 참외가 전자파에 오염된 ‘사드 참외’가 될것이라며 유해 논란이 뜨겁게 일어났다.
경북 성주에 대한 루머의 예는? 2016년 정부가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지역을 경북 성주로 정한 이후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에서는 사드와 관련된 괴담이 급속도로 확산되었다. 인터넷 토론장 에서는 전국 참외 생산량의 60%를 차지하는 성주 참외가 전자파에 오염된 ‘사드 참외’가 될것이라며 유해 논란이 뜨겁게 일어났다. 사드 전자파의 안전성에 대한 당시 논란은 과학적 분석보다는 주관적 의견이 포함된 경우가 많아 사회적으로 큰 갈등요인이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김영욱.임유진 (2009). 언론의 정부-언론관계와 언론정책에 대한 담론 변화 분석. , 53권 4호, 94-115. 

  2. 박성희 (2009). 제17대 대통령 후보 합동 토론 언어네트워크 분석: 북한 관련 이슈를 중심으로. , 45권, 220-254. 

  3. 서현진 (2013), 18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미디어 이용과 후보 선택. 이내영.서현진 (편), .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4. 손영준 (2004). 미디어 이용이 보수 진보적 의견에 미치는 영향. , 48권 2호, 240-266. 

  5. 손영준 (2011). TV 뉴스 공정성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 25권 5호, 122-158. 

  6. 이소영 (2015), 한국 선거에서의 미디어 매개효과. , 49권 5호, 287-314. 

  7. 이창길 (2010). 정권 초기의 가치지향과 정책우선순위: 참여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언어네트워크 비교분석. . 44권 3호, 165-189. 

  8. 이혜미.김혜영.유승호 (2016). 국내 언론매체의 이념성향과 뉴스구성에 대한 연구: 미 대선 후보 '버니 샌더스' 관련 보도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16권 8호, 180-191. 

  9. 정수영.황경호 (2015). 한.일 주요 일간지의 한류 관련 뉴스 프레임과 국가 이미지: 기사 헤드라인에 대한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59권 3호, 300-334. 

  10. 최현주 (2010). 한국 신문 보도의 이념적 다양성에 대한 고찰. , 54권 3호, 399-426. 

  11. 홍주현 (2016). 루머가 SNS를 만나면 뉴스가 된다?: 루머 확산매체로서 SNS와 저널리즘. , 가을호, 18-27. 

  12. 홍주현.김경희 (2017). 언론의 정치적 성향이 뉴미디어 정책 관련 사설의 의제 및 보도 태도에 미치는 영향. , 17권 3호, 162-177. 

  13. 홍주현.나은경 (2015). 세월호 사건 보도의 피해자 비난 경향 연구: 보수 종편 채널 뉴스의 피해자 범주화 및 단어 네트워크 프레임 분석. , 59권 6호, 69-106. 

  14. 홍주현.윤해진 (2014). 트위터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 연구: 한미 FTA 관련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의견 확산 추이와 이용자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 66권, 59-86. 

  15. An, S. K., & Gower, K. K. (2009). How do the news media frame crises? A content analysis of crisis news coverage. Public Relations Review, 35(2), 107-112. 

  16. Benjamin, D. (2007). A FrameWorks Institute framebyte episodic vs. thematic stories. Retrieved from http://www.frameworksinstitute.org/assets/files/framebytes/framebyte_thematic.pdf 

  17. Berger, P., & Luckman, T. (1991).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Harmondsworth, UK: Penguin Books. 

  18. Borge-Holthoefer, J., & Moreno, Y. (2011). Absence of influential spreaders in rumor dynamics. Arxiv preprint, arXiv:1112.2239 

  19. Borge-Holthoefer, J., & Maloni, S. (2013). Emergence of influential spreaders in modified rumor models. J Stat Phys, 151, 383-393. 

  20. Chilton, P., & Schaffner, C. (1997). Discourse and politics. In T. A. van Dijk (Ed.), Discourse as social interaction (pp. 206-230). London, UK: Sage. 

  21. Dalziel, G. (2016). Rumor and communication in Asia in the internet age. New York, NY: Routledge. 

  22. DellaVigna, S., & Kaplan, E. (2007). The political impact of media bias. In R. Islam (Ed.), Information and public choice: From media markets to policy making (pp. 79-106).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Publications. Retrieved from http://econweb.umd.edu/-kaplan/wbpaper.pdf 

  23. Deuze, M. (2003). The web and its journalism: Considering the consequence of different types of news media online. New Media & Society, 5(2), 203-230. 

  24. Fawkes, J., & Gregory, A. (2000). Applying communication theories to the internet. Journal of Communication Management, 5(2), 109-124. 

  25. Gamson, W. A. (1989). News as framing comments on graber: Manifest and latent content the picture messages the etiology of content. American Behavioral Scinetist, 33(2), 157-161. 

  26. Gentzkow, M., Petek, N., & Shapiro, J. M. (2014). Do newspapers serve the state? Incumbent party influence on the US Press, 1869-1928 [On-Line]. Retrieved from http://www.brown.edu/Research/Shapiro/pdfs/PoliticalInfluence.pdf 

  27. Gloor, P. A., & Zhao, Y. (2006). Analyzing actors and their discussion topics by semantic social network analysis. Proceedings of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IV '06) (pp. 130-135). 

  28. Goffman, E. (1974).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9. Hallahan, K. (1999). Seven models of framing: Implications for public relations. Journal of Public Relations Research, 11(3), 205-242. Retrieved from http://comphacker.org/comp/engl338/files/2012/08/framing-and-public-relations.pdf 

  30. Jiang, K., Barnett, G. A., & Taylor, L. D. (2016). Dynamics of culture frames in international news coverage: A semantic network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10, 3710-3736. 

  31. Jin, F., Dougherty, E., Saraf, P., Cao, Y., & Ramakrishnan, N. (2013, 8). Epidemiological modeling of news and rumors on twitter. Paper presented at The 7th SNA-KDD Workshop '13 (SNA-KDD '13), Chicago, IL, United States. Retrieved from http://people.cs.vt.edu/naren/papers/news-rumor-epi-snakdd13.pdf 

  32. Johannessen, M. R. (2015). Please like and share! A frame analysis of opinion articles in online news. Proceedings of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 Participation (pp. 15-26). Retrieved from http://www.springer.com/cda/content/document/cda_downloaddocument/9783319224992-c2.pdf?SGWID0-0-45-1524295-p177635808 

  33. Kahn, K. F., & Kenny, P. (2002). The slant of the news: How editorial endorsements influence campaign coverage and citizens' view of candidate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6(2), 381-394. 

  34. Kapferer, J. N. (2013). Rumors: Uses, interpretations, and images. New Burswick & London: Transaction Publishers. 

  35. Kiousis, S. (2004). Explicating media salience: A factor analysis of New York Times issue coverage during the 2000 U.S. presidential ele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54(1), 71-87. 

  36. Kostka, J., Anne, Y., & Wattenhofer, R. (2013). Word of mouth: Rumor dissemination in social networks. Retrieved from: http://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139.395&reprep1&typepdf 

  37. Larcinese, V., Puglisi, R., & Snyder, Jr., J. M. (2007, 9). Partisan bias in economic news: Evidence on the agenda-setting behavior of U.S. newspapers [On-Line]. (PSPE working papers, 07-2007). London, UK: Department of Government, London School of Science. Retrieved from http://eprints.lse.ac.uk/25185/1/PSPE_WP7_07_%28LSERO%29.pdf 

  38. Lee, J., Agrawal, M., & Rao, H. R. (2015). Message diffusion through social network service: The case of rumor and non-rumor related tweets during Boston bombing 2013.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17(5), 997-1005. 

  39. Levendusky, M. S. (2013). Why do partisan media polarize viewer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0, 1-13. 

  40. London, S. (1993). How the media frames political issues. Retrieved from http://www.scottlondon.com/reports/frames.html 

  41. Milburn, M. A., & McGrail, A. B. (1992). The dramatic presentation of news and its effects on cognitive complexity. International Society of Political Psychology, 13(4). 613-632. 

  42. Pak, A., & Paroubek, P. (2010). Twitter as a corpus for sentiment analysis and opinion mining. Proceedings of LREC, 2010. Retrieved from http://deepthoughtinc.com/wp-content/uploads/2011/01/Twitter-as-a-Corpus-for-Sentiment-Analysis-and-Opinion-Mining.pdf 

  43. Pan, Z., & Kosicki, G. M. (1993). Framing analysis: An approach to news discourse. Political Communication, 10, 55-75. Retrieved from https://pdfs.semanticscholar.org/d356/ad4a6146fba5193fbdea2b1afdbbce8c8d39.pdf 

  44. Prior, M. (2013). Media and polirical polarization.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16, 101-127. 

  45. Ransohoff, D. F., & Ranshhoff, R. M. (2001). Sensationalism in the media: When scientists and journalists may be complicit collaborators. Effective Clinical Practice, 4, 185-188. Retrieved from https://www.upf.edu/pcstacademy/_docs/200108_ransohoff.pdf 

  46. Ratkiewicz, J., Conover, M., Meiss, M., Goncalves, B., & Flammini, F. (2011). Detection and tracking political abuse in social media.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AAAI Conference on Weblogs and Social Media (pp. 297-304). Retrieved from https://www.aaai.org/ocs/index.php/ICWSM/ICWSM11/paper/download/2850/3274 

  47. Roberts, M., Wanta, W., & Dzwo, T.(2002). Agenda-setting and issue salience online. Communication Research, 29(4), 452-465. 

  48. Shoemaker, P., & Reese, P. (1992). Mediating the message. New York, NY: Routledge. 

  49. Shoemaker, P., & Reese, P. (2014). Mediating the message in the 21st Century. New York, NY: Routledge. 

  50. Silverman, C. (2014). Lies, damn lies, and viral content: How news websites spread (and debunk) online rumors, unverified claims, and misinformation (Tow Center for Digital Journalism A Tow/Knight Report). New York, NY: Columbia Journalism School. Retrieved from http://towcenter.org/wp-content/uploads/2015/02/LiesDamnLies_Silverman_TowCenter.pdf 

  51. Tanaka, Y., Sakamoto, Y., & Matsuka, T. (2012). Transmission of rumor and criticism in Twitter after the Great Japan Earthquake. Sage Openacess.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56035242_Transmission_of_Rumor_and_Criticism_in_Twitter_after_the_Great_Japan_Earthquake 

  52. Trottier, D., & Fucks, C. (2015). Social media, politics and the state: Protests, revolutions, riots, crime and policing in the age of Facebook, Twitter and Youtube. New York, NY: Routledge. 

  53. Wlezien, C. (2001). On the salience of political issues: The problem with 'most important problem'. Paper presented at the South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New Orleans, L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