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지도
Awareness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versus non-health-related field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21 no.2, 2017년, pp.39 - 50  

정해영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김숙희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  김철태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measured awareness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AED) among students majoring in health-related versus non-health-related fields. Methods: A total of 577 students filled out a questionnaire on awareness of AEDs between June 12 and June 28, 2017. Using SPSS 23.0, data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들의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관심도를 조사하였다. 10점 만점으로 상(8~10점), 중(4~7점), 하(0~3점)로 나누었을 때, ‘하’에 해당하는 보건계열학생 26.
  •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지도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지와 필요성은 두 집단모두 80%에 가까운 높은 결과로 선행연구 결과들 보다 높은 반면, 자동심장충격기를 사용할 의향이 없는 이유, 자동심장충격기의 보편화와 그 이유, 자동심장충격기의 교육을 받지 않은 이유들은 무관심이나 교육과 홍보의 부족, 자신감 부족으로 선행연구 결과들과 비슷한 의견을 보였다.
  • 본 연구는 보건계열학생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지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실제 사용해야 할 국민 중 대학생들을 통해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지식을 조사하여 인지도를 파악하고 보건과 비보 건의 계열로 나누어 비교하여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지식을 통해 인지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공공장소 및 다중이용시설에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 사용해야 할 국민들은얼마나 알고 실제로 적용하는지 알 수 없었다. 실제 사용해야 할 국민 중 대학생들을 통해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지식을 조사하여 인지도를 파악하고 보건과 비보건의 계열로 나누어 비교하여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함을 목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사용해야 할 국민 중 대학생들을 통해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식, 교육경험, 지식을 조사하여 인지도를 파악하고 보건과 비보건의 계열로 나누어 비교하여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은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인식 및 인지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교육경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4)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은 자동심장충격기에 대한 지식 점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장정지의 발생은 주로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심장정지의 발생은 대부분 예측할 수 없고 심장정지의 60~80%는 가정, 직장, 거리 등 의료시설 이외의 장소에서 발생한다. 심장정지가 발생한 후 4~5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시작되므로, 심장정지 발생을 처음 목격한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심장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자동심장충격기 설치가 의무화된 계기는 무엇인가? 최근 여가생활의 증가로 인해 행정공공장소, 대중교통시설, 대규모판매시설 및 체육 문화 공간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장소에서 예기치 못한 불의의 사고가 늘어나고 있고 이에 따라 목격자 심폐소생술 뿐만 아니라 다중이용시설에서 빠른 자동심장충격기 사용의 중요성이 함께 부각되고있다[3]. 이에 중요성을 인지하여 자동심장충격기 설치를 의무화하여 시행하고 있지만 자동심장충격기의 관리와 인식에 대한 문제점들이 있다.
심정지로 인한 치명적인 뇌손상은 언제부터 시작되는가? 심장정지의 발생은 대부분 예측할 수 없고 심장정지의 60~80%는 가정, 직장, 거리 등 의료시설 이외의 장소에서 발생한다. 심장정지가 발생한 후 4~5분이 경과하면 치명적인 뇌손상이 시작되므로, 심장정지 발생을 처음 목격한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심장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심실세동이 발생한 환자에서 자동심장충격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는 가장 중요한 치료 방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tatistics Korea. Result of statistics on deaths caused by 2014. Available at: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348539, 2015 

  2. Hasselqvist-Ax I, Riva G, Herlitz J, Rosenqvist M, Hollenberg J, Nordberg P et al. Earl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5;372:2307-15. https://doi.org/10.1056/NEJMoa1405796 

  3. Kitamura T, Kiyohara K, Sakai T, Matsuyama T, Hatakeyama T, Shimamoto T et al. Public-Access Defibrillation and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in Japan.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6;375:1649-59. https://doi.org/10.1056/NEJMsa1600011 

  4. Moon S, Vadeboncoeur TF, Kortuem W, Kisakye M, Karamooz M, White B et al. Analysi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location and public access defibrillator placement in metropolitan Phoenix, Arizona. Resuscitation 2015;89:43-9.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4.10.029 

  5. Meaney PA, Bobrow BJ, Mancini ME, Christenson J, de Caen AR, Bhanji F et 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quality: improving cardiac resuscitation outcom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hospital.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13;128:417-35. https://doi.org/10.1161/CIR.0b013e31829d8654 

  6. Park SH, Cho KJ. Comparison on the education effec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pplication using smart-phon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1):480-489.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480 

  7. Jung H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use in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Master's thesis, Daejeon University 2015, Daejeon, Korea. 

  8. Kim MH, Lee ES, Jun SE. Knowledge, attitude and performance 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2):156-63. https://doi.org/10.5762/KAIS.2016.17.2.156 

  9. Uhm DC, Hong SW, Kim JH. Awareness and attitudes of Korean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and non-health related majoring students tow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16(6A):2959-66. 

  10. Kang JS, Oh JW, Lee MY. Convergence study about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to infant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3):91-100. https://doi.org/10.15207/JKCS.2017.8.3.091 

  11. Wampler D, Kharod C, Bolleter S, Burkett A, Gabehart C, Manifold C. A randomized control hands-on defibrillation study-Barrier use evaluation. Resuscitation 2016;103:37-40.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6.03.019 

  12. Park YS. The study on CPR willingness to perform and confidence according to converged job experience of school health teacher. J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2):137-47. https://doi.org/10.15207/JKCS.2017.8.2.137 

  13. Cha JA, Kang SJ. The convergent relationship of fatigue, CPR-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J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6;7(3):167-75. https://doi.org/10.15207/JKCS.2016.7.3.167 

  14. Ringh M, Rosenqvist M, Hollenberg J, Jonsson M, Fredman D, Nordberg P et al. Mobile-phone dispatch of laypersons for CPR inoOut-of-hospital cardiac arrest. New England J of Medicine 2015;372:2316-25. https://doi.org/10.1056/NEJMoa1406038 

  15. Kim YJ. Cognition for first aid in persons taking first aid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related to convergence training. J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6;6(3):1-12. https://doi.org/10.15207/JKCS.2015.6.3.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