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부의 정기적인 인접면 세균막 관리와 치주건강상태간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Regular Interdental Cleaning and Periodontal Condition among Pregnant Wome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8, 2017년, pp.144 - 151  

하정은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치위생학과) ,  김현정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부의 구강건강과 건강한 출산을 위하여 치주조직 감염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효율적인 임신기 구강건강관리법을 제시하고자, 임신부 319명을 대상으로 인접면 세균막 관리가 임상적 및 세균학적 치주조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기적으로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시행하는 군보다 비정기적으로 관리하거나,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하지 않는 군에서 치은출혈 조직 수 및 치은염, 치주염 유병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접면 세균막 관리를 정기적으로 시행하지 않을 경우, P. gingivalis가 더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임부의 치실 및 치간솔 사용과 같은 인접면 세균막 관리는 임부의 치주조직건강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interdental cleaning and periodontal condition. A total of 319 pregnant women were recruited at 21 to 24 weeks of gestation. Information on demographics,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cluding regulary us...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임부를 대상으로 정기적인 인접면 세균막 관리가 치주건강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 앞으로 임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임신기에는 호르몬의 변화로 인하여, 치주조직이 감염될 위험성이 높아지는데, 치주조직 감염은 고위험 임신 또는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어, 본 연구를 통하여 효율적인 임신기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기간에 치주조직에 많은 증상이 발현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또한 이 중에서 약 10%는 화농성 육아종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한다[1][2]. 이러한 임신기에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의 원인은 임신으로 인하여 신체 내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증가하고, 이와 함께 치은열구 내에서 염증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이 이루어져, 치은연하의 세균총 변화를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또한 임신기는 염증발현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구강 내 치주조직 감염에 대한 위험성도 증가할 수 있는 시기이다[7].
임신기에 발생하는 치주조직 감염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한, 임신기에 발생하는 치주조직 감염은 임부의 구강건강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태아의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모체의 치주조직 감염은 병원균(pathogen)이나 병원균의 내독소 또는 염증매개물질이 태아-태반단위에 작용하여, 조산 및 저체중아 출산, 자간전증과 같이 비정상적인 출산과 고위험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9].
임신기간은 어떤 시기인가? 임신기간은 모체의 호르몬 변화와 함께 신체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더불어 치아를 지지하는 치주조직에서도 많은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임신성 치은염이며, 발생율이 35-100%까지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Amar and K. M. Cung, "Influence of hormonal variation on the periodontium in women," Periodontol 2000, Vol.6, pp.79-87, 1994. 

  2. B. L. Mealey, "Periodontal implications: medically compromised parients," Ann Periodontol Vol.1, Suppl.1, pp.256-321, 1996. 

  3. A. Lee, M. Mcwilliams, and T. Janchar, "Care of the pregnant parient in the dental office," Dent Clin North Am, Vol.43, No.3, pp.485-494, 1999. 

  4. M. Gursoy, R. Pajukanta, T. Sorsa, and E. Kononen, "Clinical changes in periodontium during pregnancy and post-partum," J Clin Periodontol, Vol.35, No.7, pp.576-583, 2008. 

  5. A. Carrillo-de-Albornoz, E. Figuero, D. Herrera, and A. Bascones-Martinez, "Gingival changes during pregnancy: II. Influence of hormonal variations on the subgingival biofilm," J Clin Periodontol, Vol.37, No.3, pp.230-240, 2010. 

  6. E. Figuero, A. Carrillo-de-Albornoz, D. Herrera, and A. Bascones-Martinez, "Gingival changes during pregnancy: I. Influence of hormonal variations on clin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J Clin Periodontol, Vol.37, No.3, pp.220-229, 2010. 

  7. K. A. Boggess and B. L. Edelstein, "Oral health in women during preconception and pregnancy: implications for birth outcomes and infant oral health," Matern Child Health J, Vol.10, Suppl.5, pp.169-174, 2006. 

  8. A, Samant, C. P. Malik, S. K. Chabra, and P. K. Devi,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in pregnancy," J Periodontol, Vol.47, No.7, pp.415-418, 1976. 

  9. L. W. Mills and D. T. Moses, "Oral health during pregnancy," MCN Am J Matern Child Nurs, Vol.27, No.3, pp.275-280, 2002. 

  10. M. A. Jackson, M. Kellett, H. V. Worthington, and V. Clerehugh, "Comparion of interdental cleaning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Periodontol, Vol.77, No.8, pp.1421-1429, 2006. 

  11. P. M. Corby, A. Biesbrock, R. Bartizek, A. L. Corby, R. Monteverde, R Ceschin, and W. A. Bretz, "Treatment outcomes of dental flossing in twins: molecular analysis of the interproximal microflora," J Periodontol, Vol.79, No.8, pp.1426-1433, 2008. 

  12. M. S. Tonetti and N. Claffey, "Advances in the progression of periodontitis and proposal of definitions of a periodontitis case and disease progression for use in risk factor research. Group C consensus report of the 5th European Workshop in Periodontology," J Clin Periodontol, Vol.32, Suppl.6, pp.210-213, 2005. 

  13. L. A. Crocombe, D. S. Brennan, G. D. Slade, and D. O. Loc, "Is self interdental cleaning associated with dental plaque levels, dental calculus,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al Res, Vol.47, No.8, pp.188-197, 2012. 

  14. D. E. Slot, C. E. Dorfer, and G. A. Van der Weijden, "The efficacy of interdental brushes on plaque and parameters of periodontal inflammation: a systematic review," Int J Dent Hyg, Vol.6, No.4, pp.253-264, 2008. 

  15. G. J. Seymour, P. J. Ford, M. P. Cullinan, S. Leishman, and K. Yamazaki,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infections and systemic disease," Clin Microbiol Infect, Vol.13, No.1, pp.3-10, 2007. 

  16. S. Reichert, A. Schlitt, V. Beschow, A. Lutze, S. Lischewski, T. Seifert, T. Dudakliewa, R. Gawe, K. Werdan, B. Hofmann, H. G. Schaller, and S. Schulz, "Use of floss/interdental brushes is associated with lower risk for new cardiovascular events among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J Periodontal Res, Vol.50, No.2, pp.180-188, 2015. 

  17. C. de Oliveira, R. Watt, and M. Hamer, "Toothbrushing, inflammation, an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esults from Scottish Health Survey," Br Med J, Vol.340, p.c2451,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