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과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대한 GIS 활용 연구
GIS-based Study on Residential and Neighboring Environment and Residents' Social Exclusion in Slum A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8, 2017년, pp.209 - 225  

김동선 (공주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전시 쪽방밀집지역의 주거환경 문제점 및 주거환경이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GIS(지리정보시스템)기반 커뮤니티매핑 및 주민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주민들의 지리정보 및 기타 속성을 지도화한 결과, 여성과 고령자가 중심지역에 밀집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2009년과 2016년의 자료비교를 통해 빈곤밀집지역이 다소 분산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 지역의 실내외 모습을 담은 252장의 사진을 대상으로 의미단위별 유목화, 범주화 작업을 실시, 주거환경문제를 미관-위생, 협소-주택기능미비, 안전-사생활노출, 낙인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였다. 사진자료를 통한 커뮤니티매핑실시 결과 이 지역이 4곳의 구역으로 구분되며 주택형태, 주거형성의 역사, 비빈곤지역과의 접촉면, 폐쇄와 개방 등의 특징으로 주거문제가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 주민대상 설문조사를 실시, 구역별로 일자리참가여부, 이웃만족도, 낙인, 사회적 배제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주거만족도가 사회적 배제에 가장 큰 요인임이 드러났다. GIS기반의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이 지역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있어서 구체적 접근과 문제별 대응이 이루어질 것을 제언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residential and neighboring environment on the residents' social exclusion in Daejeon Chokbangchon, the city's slum area. Based on GIS methodology with residents' addresses and other characteristics, this study finds out the feminization and the ageing trends in the...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쪽방밀집지역이 주거만족도가 높은 삶의 공간으로 인식되는 이유는? 쪽방밀집지역은 주민들의 입장에서는 주거만족도가 높은 삶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오랜 기간 이 지역에 거주하면서 주민들끼리의 관계망이 형성된 데다 무료급식소, 무료의료센터, 쪽방상담소, 노숙인지원센터 등 지지적 사회복지시설이 주변에 자리 잡고 있는 등이 곳은 도시빈민들의 삶을 보듬어온 주거공간이자 지역공동체로서의 역할을 해 왔던 것이다[8][9]. 2007년 건교부 조사에서 쪽방거주민의 66.
빈곤의 근린효과란 무엇인가? 주거빈곤을 다루었던 많은 연구들은 빈곤한 지역에 모여 사는 주민들은 빈곤과 의존을 당연시 여기며 이 지역의 일자리 부족, 정보통신기술의 부족 등 사회경제적 환경은 이들의 빈곤탈피 노력을 방훼하는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6]. 이처럼 지리공간적 특성이 주민들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빈곤의 근린효과 또는 이웃효과이다[7].
빈곤 낙인효과는 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특히 철도역을 중심으로 자리 잡은 이 지역은 과거 윤락지역으로 기능했던 역사가 있으며 이로 인한 낙인은 현재에까지 지속되고 있다. 또한 거리에서 이루어지는 무료급식은 이 지역에 대한 빈곤 낙인효과를 주는데 이러한 낙인으로 인해 이 지역 주민과 이 곳을 지나치는 철도역 이용객들과의 괴리감은 더욱 심해지며 주민들의 공간적, 사회적 배제를 심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국가인권위원회,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빈곤층 실태연구, 2004. 

  2. 이승은,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노인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전대 행정학과, 박사학위논문, 2014. 

  3. 이소정, "판자촌에서 쪽방까지-우리나라 빈곤층 주거지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29권, pp.167-208, 2006. 

  4. 하성규, "불량주거 실태와 정책과제: 쪽방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제14권, 제1호, pp.122-168, 2007. 

  5. 대전복지재단, 대전쪽방밀집지역거주자 지원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2012. 

  6. 류재익, 오민수, 신영철, "New Landscape of Poverty Management in Land Information System,"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5권, 제1호, pp.1-19, 2002. 

  7. 이영아, "한국의 빈곤층 밀집지역 분포 및 형성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8권, 제1호, pp.45-56, 2015. 

  8. 김선희, 쪽방거주자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9. 이현옥, 이은정, "동자동 쪽방 주민의 생활경험과 주민관계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5권, pp.281-304, 2013. 

  10. 오정석, 심영미, "주거복지향상을위한 임대주택의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서울시 재개발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제27권, 제1호, pp.69-87, 2009. 

  11. 조희은, 도시 빈민지역의 공간구조와 사회적 연결망에 관한 연구: 돈의동 쪽방촌을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2. 하성규, 쪽방지역 실태 및 효율적인 정책 전개, 서울시, 보건복지부, 2000. 

  13. 대전노숙인종합지원센터, 쪽방지역 실태 및 정책개발, 2016. 

  14. 김선미, "쪽방 등 저렴거처에 대한 지역재생적단초," 한국도시연구소 주거복지 컨퍼런스발표, 2011. 

  1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쪽방사람들,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16. 윤경아, "쪽방생활자의 복지욕구와 정책방향," 사회과학논문집, 제23권, 제1호, pp.209-230, 2004. 

  17. 김미량, 대구지역 쪽방거주자들의 생활실태에 따른 대응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논문, 2008. 

  18. 권지성, "쪽방거주자의 일상생활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사회복지학회지, 제60권, 제4호, pp.131-156, 2008. 

  19. 황세인, "쪽방거주자의 삶에 대한 질적 연구: 분산형 쪽방지역 중 부산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6권, 제4호, pp.405-438, 2015. 

  20. 문선진, 주거취약계층의 심리적 안녕감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대전광역시 쪽방거주자와 쉼터노숙인을 대상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1. H. Silver and S. M. Miller, "Social Exclusion. Indicators," New York, Vol.2, No.3, pp.5-21, 2003. 

  22. 김효진, 영등포 쪽방촌 주민들의 삶과 도시빈민 공간으로서의 기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9. 

  23. 문기석, 한국도시빈민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24. 곽현근, 유현숙, "사회적 배제로서의 주거지 격리가 주민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동네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33권, pp.65-90, 2007. 

  25. 이영아, 정윤희, "빈곤지역 유형별 빈곤층 생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61-73, 2012. 

  26. W. J. Wilson, The Truly Disadvantaged: The Inner City, the Underclass and Public Polic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7. M. Cutler and L. Glaeser, "Are Ghettos good or bad?," Q.J.Econ., Vol.112, No.3, pp.827-872, 1997. 

  28. Z. Charles, "The Dynamics of Racial Residential Segregation," Annu. Rev. Sociol, Vol.29, pp.167-207, 2012. 

  29. C. Cohen and M. Dawson, "Neighborhood poverty and African American Politic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Vol.87, pp.286-302, 1993. 

  30. J. Brooks-Gunn, G. Puncan, P. Lebanov, and N. Sealand, "Do Neighborhood Influence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9, pp.353-395, 1993. 

  31. S. A. Robert,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The Independent Contribution of Community Socieconomic Context,"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5, pp.489-516, 1999. 

  32. R. J. Sampson, S. W. Raudenbush, and F. Earls,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Science, Vol.277, pp.918-924, 1997. 

  33. 곽현근,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미치는 동네효과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11권, 제4호, pp.59-86, 2007. 

  34. 김교성, 노혜진, "빈곤의 세대간 탈피경험,"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1호, pp.243-278, 2011. 

  35. P. Healey, Institutional Theory, Social Exclusion and Governance, in Social Exclusion in European cities, edited by A, Madanipour, G. Cars, and J, Allen, London Jassica Kingsley Publishers, 1998. 

  36. R. Forrest and A. Kerns, "Social Cohesion, Social Capital and the Neighborhood," Urban Studies, Vol.38, No.12, pp.2125-2143, 2001. 

  37. 노병일, 곽현근, "지역사회빈곤과 사회적 유대가 도시주민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6권, pp.180-209, 2003. 

  38. 오현주, 주거취약계층 밀집지역 주민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마을의 공간적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9. 박병현, 박선희, "미국의 저소득층을 위한 주거보조제도와 가족자활프로그램분석: 우리나라주거복지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7권, 제4호, pp.97-124, 2010. 

  40. 김동배 이익섭, "영구임대주택 입주가구의 주거환경 및 가족기능에 관한 시론적 연구: 서울시 번동지역 가구의 입주전후 비교," 연세사회복지연구, 제12권, pp.46-85, 1995. 

  41. McCray. Talia and Brais, Nicole, "Exploring the Role of Transportation in Fostering Social Exclusion: The Use of GIS to Support Qualitative Data," Netx, Spat Econ, Vol.7, pp.397-412, 2007. 

  42. 한승욱, "도시문제 해결의 강력한 도구, 마을지도," BDI정책포커스, 부산발전연구원, 제200권, pp.1-12, 2013. 

  43. European Commission, Social Protection Committee, Report on Indicators in the Field of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2001. 

  44. 윤성호, "한국형 사회배제성 척도개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8권, 제1호, pp.53-95, 2012. 

  45. D. L. Vogel, R. L. Bitman, J. H. Hammer, and N. G. Wade, "Is Stigma Internalized? The Longitudinal Impact of Public Stigma on Self-Stigma,"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60, No.2, pp.311-316, 2013. 

  46. 정여주, 김정득, "쪽방지역에 거주하는 남성노인의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사회과학연구, 제24권, 제2호, pp.295-32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