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갑상선암 환자의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Convergent Effects of Anxiety, Depression, Uncertainty,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Thyroid cancer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8, 2017년, pp.163 - 176  

이인숙 (창원대학교 간호학과) ,  박창승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성 갑상선 암환자의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정도를 파악하고,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4년 4월부터 10월까지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지지, 삶의 질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갑상선암을 진단 또는 치료받고 일 병원 내분비외과 외래를 방문중인 갑상선암 환자를 편의 표출하였으며, 자료수집이 완료된 106명의 자료를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삶의 질은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며, 불안은 신체기능과 정서기능, 사회기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불확실성은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드러난 여성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불안과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또한 후속 연구들에서는 보다 다양한 환경과 다양한 치료시기의 대상자를 표집하여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을 융복합적인 측면에서 파악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xiety, depression, uncertainty, social support, and QoL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QoL in women with thyroid cancer. A descriptive survey was performed from April to October in 2014 with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for depression, uncer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갑상선 암환자들이 겪는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의 상태를 파악하고,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갑상선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융복합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갑상선암으로 진단받은 환자나 갑상선암과 관련하여 외래를 방문중인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지지 및 삶의 질을 조사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병원 외래를 방문중인 갑상선 암환자 106명을 대상으로 갑상선 암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갑상선암을 앓고 있는 여성 암환자의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지지,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불안, 우울, 불확실성, 사회적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갑상선암 환자들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융복합적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갑상선암은 우리나라에서 유병률이 높은 암이면서 동시에 생존율이 가장 높은 암으로 치료에 따른 장기적 부작용 및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에 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4]. 이에 본 연구는 갑상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 우울, 불확실성과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질을 조사하고, 이들 요인들의 삶의 질에 대한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 배부된 설문지는 자가 보고형 설문지로 충분히 응답할 수 있는 시간을 주어 환자 스스로 작성하게 한 후 불투명한 봉투에 담아 밀봉을 하게 한 뒤 제출하도록 하였다. 현장에서 설문지 작성이 힘든 경우에는 귀가하여 작성한 후 반송용 봉투에 담아 연구자에게 우편으로 보내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갑상선전절제술의 불편한 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갑상선전절제술(total thyroidectomy)을 시행받은 갑상선암 환자들의 경우 평생 동안 갑상선호르몬(levothyroxine, LT4)을 복용해야 할 뿐 아니라 재발에 대한 위험 때문에 수술 후에도 장기간 혈청 갑상선글로 불린(thyroglobulin, Tg) 측정 및 iodine-131 전신뼈스캔(whole body scan, WBS)과 같은 추적검사를 받아야 하므로 이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불편감으로 고통을 받는 경우가 많다[4]. 더욱이 갑상선 암 치료 후 이와 같은 추적 관찰 과정은 갑상선암 환자 개인에게는 하나의 큰 도전일 뿐 아니라 잠재적으로 환자들의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5].
갑상선 암환자가 수술 후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갑상선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의 삶의 질과 불안, 우울, 자아존중감의 영향요인을 확인한 결과[11]에서도 자아존중감과 불안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갑상선 암의 26%의 환자가 임상적으로 우울이 있는 상태로 나타났으며,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고[9, 12], 건강한 인구집단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우울, 피로감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갑상선암 생존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기능, 역할기능, 정서적 기능, 인지적 기능, 사회적 기능에서 일반인에 비해 낮았으며[9, 13], 우울 및 불안은 삶의 질 저하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13].
갑상선암은 무엇인가? 암은 한국인의 가장 큰 사망원인으로서 최근 10년간 암 발생자와 암으로 인한 사망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암 생존율 또한 향상되고 있어 암환자의 건강문제는 사회적, 국가적으로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1]. 특히 갑상선암은 내분비계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악성종양으로 2017년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전체 여성암 중 발생률 17%로 약 17,536명으로 2위를 차지하였으며 [2] 전체 갑상선암 중 여성의 비율이 82.7%로 압도적으로 높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W. J. Choi, B. W. Lee, D. W. Kim, S. G. Lee, S. J. Hong, J. I. Kang, J. Y. Park, H. Lee, S. T. Oh, M. K. Kim, A Study on the Risk of Mental Illness and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Treatment in Cancer Patients in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2014. 

  2. K. W. Jung, Y. J. Won, C. M. Oh, H. J. Kong, D. H. Lee, K. H. Lee, "Prediction of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in Korea, 2017",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Vol. 49, No. 2, pp. 306-312, 2017. DOI: https://doi.org/10.4143/crt.2017.130 

  3.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2000000. 

  4. H. J. Yoon, J. H. Seok,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thyroid cancer", J Korean Thyroid Assoc, Vol. 7, No. 1, pp.62-69, 2014. DOI: http://dx.doi.org/10.11106/jkta.2014.7.1.62 

  5. O. Husson, H. R. Haak, W. A. Oranje, F. Mols, P. H. Reemst, L. V. van de Poll-Frans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yroid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Clin Endocrinol (Oxf), Vol. 75, No. 4, pp.544-554, 2011. 

  6. B. R. Ferrel, K. H. Dow,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cancer survivors", Oncology, Vol. 11, No. 4, pp.565-568, 1997. 

  7. K. H. Dow, B. R. Ferrell, S. Leigh, J. Ly, P. Gulaselkaram, "A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long-term survivors of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 Treat, Vol. 39, No. 3, pp.261-273, 1996. 

  8. E. H. Ha, S. H. Lee, J. Jung, J. H. Yang, S. J. Nam, J. E. Lee, H. J. Beck, "Biopsychosocial predictors on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1, pp.314-315, 2009. 

  9. S. Tagay, S. Herpertz, M. Langkafe, Y. Erim, A. Bockisch, W. Senf, and G. Rain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anxiety in thyroid cancer patient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 15, No. 4, pp.695-703, 2006. 

  10. S. H. Yoo, S. Choi-Kwon, "Changes in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in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radioactive iodine remnant ablation", Korean Acad Nurs, Vol. 43, No. 6, pp.801-811, 2013.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3.43.6.801 

  11. J. Yang, M. Yi,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patients with thyroidectomy", Asian Oncol Nursing, vol. 15, No. 2, pp.59-66, 2012. DOI: http://dx.doi.org/10.5388/aon.2015.15.2.59 

  12. L. G. Tan, L. Nan, J. Thumboo, F. Sundram, L. K. Ta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yroid cancer survivors", Laryngoscope, Vol. 117, No. 3, pp.507-510, 2007. 

  13. J. I. Lee, S. H. Kim, A. H. Tan, H. K. Kim, H. W. Jang, K. Y. Hur, et al. "Decreas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sease-free survivors of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n Korea",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Vol. 8, pp.101-109, 2010. DOI: http://dx.doi.org/10.1186/1477-7525-8-101 

  14. M. J. Massi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Monographs, No. 32, pp.57-71, 2004. DOI: http://dx.doi.org/10.1093/jncimonographs/lgh014 

  15. A. S. Zigmond, R. P. Snaith,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hiatr Scand, Vol. 67, No. 6, pp.361-370, 1983. 

  16. S. M. Oh, K. J. Min, D. B. Park,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38, No. 2, pp.289-296, 1999. 

  17. M. H.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Ima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Vol. 20, pp.225-232, 1988. 

  18. I. Lee, Uncertainty, appraisal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across treatment phase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5. 

  19. K. S. Oh, "Social support as a prescription theory", J. of Nursing Query, Vol. 15, No. 1, 134-154, 2006. 

  20. G. D. Zimet, S. S. Powell, G. K. Farley, S. Werkman, K. A. Berkoff,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55, No. 3-4, pp.610-617, 1990. 

  21. P. M. Fayers, N. K. Aaronson, K. Bjordal, M. Groenvold, D. Curran, A. Bottomley, On behalf of the EORTC quality of life group. EORTC QLQ-C30 Scoring Manual(3rd ed.). Brussels: EORTC. 2001. 

  22. J. S. Kim, W. J. Choi, H. S. Chang, Y. S. Lee, Y. J. Oh, J. H. Seok, "Effects of surgical operation and induced thyroid hormone deficiency during cancer treatment on emotional distress in thyroid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 20, No. 2, pp.75-81, 2012. 

  23. V. Strong, R. Waters, C. Hibberd, R. Rush, A. Cargill, D. Storey, et al, "Emotional distress in cancer patients: the edinburgh cancer centre symptom study", Br J Cancer, Vol. 96, No. 6, pp.868-874, 2007. 

  24. K. H. Nam, Y. S. Tae, C. S. Kim, S. M. Lee, "Influence of uncertainty and uncertainty appraisal on quality of life in prostate cancer patients after prostatectomy", Asian Oncol Nurs Vol. 17 No. 1, pp.45-54, 2017. DOI: http://dx.doi.org/10.5388/aon.2017.17.1.45 

  25. S. Y. Kim, Uncertainty and related factors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015. 

  26. K. Cha, K. Kim, "Impact of uncertainty on resilience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 Nurs, Vol. 12, pp.139-46, 2012. 

  27. H. Jo, B. G. Kim, H. J. Lee, B. Lee, "Perceived social support as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7, No.4, pp.51-59, 2010. 

  28. J. Kim, Factors related to psychosocial adjustment in thyroid cancer patients after surgery, Ajou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3. 

  29. I. S. Soon, J. Y. Kim, G. O. Noh, K. D. Ahn, E. J. Ryu, I. G. Kwon, "Quality of life and family burden in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19, No. 4, pp.603-613, 2007. 

  30. I. M. Kang, H. Y. Yun,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cancer", J Korean Acad Fam Med, Vol. 25, No. 9, pp.678-686, 2004. 

  31. T. H. Ha, "Development of the structural model of middle-aged men's subjective quality of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5, pp.125-135, 2016.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6.14.5.125 

  32. K. H. Kwak, Stress and quality of life related to the disease of women with thyroid cancer, Catholic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9. 

  33. J. S. Kim, "Postoperativ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pillary thyroid canc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3, pp.1260-1269, 2011. 

  34. H. M. Kim, M. K. Shim,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on the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237-244,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2.237 

  35. R. L. Osborn, A. C. Demoncada, M. Feuerstein,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meta-analyses", Int J Psychiatry Med, Vol. 36, No. 1, pp.13-34,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