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Services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1 no.2, 2017년, pp.244 - 256  

박정숙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오윤정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methods of indu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the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servic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55 frail elders aged over 65 registered in the home visi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 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 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는 2.
  • 본 연구는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허약노인으로 등록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문건강관리사업 대상 허약노인의 건강증진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참여 및 역량강화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허약노인의 허약관리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허약노인이 자신의 변화하는 삶 속에서 심리적 안정을 유지하고 사회와 소통함으로써 사회적으로 통합을 이루어야 하는 이유는? 또한 노인의 사회참여는 심리사회적 적응 또는 신체적 건강에 긍정적인 요인이며, 양적인 차원인 사회참여 활동 빈도와 질적인 차원인 사회참여 활동의 만족도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agheb & Griffith, 1982). 허약노인의 경우 자신의 허약상태로 인해 심리적 우울 및 불안감 등을 경험하지만, 타인 또는 이웃과의 관계, 경로당이나 복지관 등의 사회참여를 유지함으로써 건강에 대한 인지를 재정립하고, 자기존재를 증명하며, 안정감을 느낀다고 하였다(Kim et al., 2015).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노인, 허약노인과 장애노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건강노인은 일상생활활동이나 인지기능이 정상인 노인을 의미하고, 장애노인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 감퇴로 제 3자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의미한다(Zheng et al.
건강노인이란? 노인은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노인, 허약노인과 장애노인으로 구분될 수 있다. 건강노인은 일상생활활동이나 인지기능이 정상인 노인을 의미하고, 장애노인은 신체적, 정신적 기능 감퇴로 제 3자의 도움이 필요한 노인을 의미한다(Zheng et al.,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ang, K. O., Park, S. J., & Bae, D. Y. (2014). The effects of perceived health status, sleep, depression and pain on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1566-1575. http://dx.doi.org/10.5762/KAIS.2014.14.3.1566 

  2. Choi, G. A. (2010). Elderly diabetic's self-management program implemented by intervention research: based on empowerment perspectiv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 Fried, I. P., Ferrucci, I., Darer, J., Williamson, J. D., & Anderson, G. (2004). Untangling the concepts of disability, frailty, and comorbidity: implications for improved targeting and care.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9, 255-263. 

  4. Ha, J. Y., & Park, Y. H. (2015).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using a senior cent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4), 438-437. http://dx.doi.org/10.7475/kjan.2015.27.4.428 

  5. Ha, J. Y., Yun, O. J., & Ahn, Y. M. (2010).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falls efficac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2(3), 191-199. 

  6. Hong, Y. A. (2003). Effect of health screen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7. Idler, E. L., & Benyamini, Y. (1997).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and Society Behavior, 38(1), 21-37. http://dx.doi.org/10.2307/2955359 

  8. Jeon, J. Y. (2003). A study of relevant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9. Jeong, H. J., & Yoon, S. H. (2015).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living alon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4), 499-508.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4.499 

  10. Jeong, Y. H. (2013). Analysis of complex chronic disease of the elderly. Issue & Focus, 196, 1-8. 

  11. Kim, C. G. (2015).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by health statu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7(2), 108-119. http://dx.doi.org/10.17079/jkgn.2015.17.2.108 

  12. Kim, H. Y., & Park, M. H. (2014). Physical function and ego-integrity in frail and non-frail elders in a loc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6(1), 27-37. 

  13. Kim, J. H., Yang, H. M., Kang, P. R., & Choi, J. E. (2015). Self-rated health of frail elde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17(2), 98-107. http://dx.doi.org/10.17079/jkgn.2015.17.2.98 

  14. Kwon, S. M., & Park, J. S. (2010). A comparison on frailt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the elder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y.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5(1), 1-12. 

  15. Kwon, S. Y. (2011). A study on the impaction on the social exclusion to the self-sufficiency program of the poor female-headed household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power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Lawston, M. P., Moss, M., Fulcomer, M., & Kleban, M. H. (1982).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The Journal of Geronotology, 37(1), 91-99. 

  17. Lee, S. H., & Suk, M. S. (2015).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on successful aging of elderly : The Mediating effects of verification ego-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8012-8020. http://dx.doi.org/10.5762/KAIS.2015.16.11.8012 

  18. Mangen, D. J., & Peterson, W. A. (1982). Social role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gerontology. Research Instruments in Social Gerontology, 2, 24-25.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 The guideline for community integration health promotion program: visiting health care.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7-22. 

  20. Min, J. H. (2013). Effect of social engagement on self-rated health trajectory among Korean older adult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3(4), 105-123. 

  21. Park, J. M., Kim, C. S., & Kim, M. W. (2016). A path analysis on factors-depression, level of health status, physical function, and regular exercise-influenc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ex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0(2), 337-348. http://dx.doi.org/10.5932/JKPHN.2016.30.2.337 

  22. Park, J. S., & Oh, Y. J. (2012). Factors influencing empowerment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beneficiari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3), 491-503.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3.491 

  23. Parsons, R. J. (1994). Empowerment based social work practice: a study of process and outcome. Sandiego: Council on Social Work Education. 

  24. Ragheb, M. G., & Griffith, C. A. (1982).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4, 295-306. 

  25. Song, M. S., & Yang, N. Y.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health-promoting behavior,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1(2), 139-146. 

  26. Statistics Korea. The average life expectancy and health life expectancy (2017, January). Retrieved February 23, 2017, from http://www.index.go.kr 

  27. Sunwoo, D., Song, H. J., Lee, Y. H., & Kim, D. J. (2004). Health service development and effective system for frail elderly.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8. Walker, S. N., Sechrist, K. R., & Pender, N. J. (1987). HPLP II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 II). Nebrasks: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29. Yim, E. S., & No, K. H. (2010). The effects of related facto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the frai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1), 12-20. 

  30. Zheng, Z., Guan, S., Ding, H., Wang, Z., Zhang, J., & Zhao, J. (2016). Prevalence and incidence of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Beijing longitudinal study of aging II.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64(6), 1281-1286. http://dx.doi.org/10.1111/jgs.141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