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의 학대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 Abus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3 no.4, 2017년, pp.37 - 51  

우수정 (위덕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 abuse,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between child abuse and children's depression/anxiety was inv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학대,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관련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가정에서 일 년에 한두 번 발생한 학대경험일지라도 아동에게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가정에서 은연중에 발생할 수도 있는 학대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다는 점과 이를 통해 아동의 우울 및 불안 뿐 아니라 아동의 전반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학대를 사전에 예방하고 아동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및 중재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학대와 아동의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검정에 앞서 연구모델의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표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TLI = .
  • 본 연구대상은 가구균등화된 경상소득을 기준으로 중위소득 60%미만이면 저소득층 가구, 그렇지 않으면 일반가구로 분류되어 있다. 소득수준이 낮다고 하여 반드시 학대 발생률이 높다고는 할 수 없으나, 저소득층 가구의 경우 아동학대 발생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연구결과(김광혁, 2006)가 제시되기도 하였기에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소득수준에 따른 영향을 통제하고자 저소득층 가구는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이에 총 471명의 아동설문 데이터 중 저소득층 가구를 제외한 일반가구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시 이 가운데 조사가 완료되지 않은 미완의 가구를 배제한 후 최종적으로 396명의 아동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학대,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부분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관련연구를 확장하였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가정에서 일 년에 한두 번 발생한 학대경험일지라도 아동에게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가정에서 은연중에 발생할 수도 있는 학대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었다는 점과 이를 통해 아동의 우울 및 불안 뿐 아니라 아동의 전반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학대를 사전에 예방하고 아동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및 중재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그러나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부모의 학대와 아동의 또래애착,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통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가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부모의 학대와 아동의 또래애착 및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해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와 이론적 모형은 다음과 같다([그림 1] 참조)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대란? 아동의 우울 및 불안은 내재화된 문제행동의 한 요인이며 이러한 문제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행동을 들 수 있다(박혜미, 2010; 유영신, 유연옥, 2015;Patrick, Snyder, Schrepferman, & Snyder, 2005). 이러한 부모의 양육행동 가운데 가장 부정적인 형태인 학대는 보호자나 성인이 아동의 복리에 해로운 신체적, 정신적, 성적 행위나 방임, 기타 부당한 행위를 하는 것을 말한다(노병일, 2016). 아동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대상인 부모는 아동을 보살피고 보호해야 할 존재이기에 아동이 부모로부터 받은 학대의 경험은 아동에게 무엇보다도 커다란 고통을 주고 이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Cicchetti & Toth, 2006).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왜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게 되는가? 이러한 자아존중감은 부모와 같은 중요한 타인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반영되어지는 자신에 대한 평가를 통해 발달해 가므로(Rosenberg, 1979), 부모로부터의 부정적인 학대 경험은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손상을 주게 된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부모와의 관계에서 학대를 경험한 아동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게 된다(김나예, 2012; 박경진,2005; 안형숙, 2014; 윤혜미, 1997; 정익중, 2007; 조미숙, 2003; Green, 1985; Kernis, 2002). 그러므로 부모의 학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이는 다시 우울 및 불안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이재연 등, 2000).
아동의 또래애착 형성은 부모와의 관계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가? 최초의 친밀한 일차적 애착대상자인 부모와의 관계의 질이 아동의 이후 대인관계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서(Bowlby, 1969), 부모와의 관계는 아동의 또래애착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이희영, 배효심, 2007; 정지나, 이영, 2006). 이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보면,부모가 자녀에게 애정적이고 지지적이며 관심을 가지고 감독을 할수록 아동의 또래애착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부모가 자녀에게 적대적이고 비합리적이며 거부적이거나 또는 방임할 경우 아동의 또래와의 애착이 낮게 나타났다(김민수, 2012; 장인실, 장석진, 2012). 따라서 부모에게 학대를 받은 아동의 경우 또래와의 관계에 있어서 부모로부터 학습된 부정적인 관계양식을 적용하게 되어 친밀한 또래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여진다(우수정, 2013; 이복희, 2007;Shonk & Cicchetti,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강지영 (2002). 피학대 아동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광혁 (2006). 가족배경이 아동의 신체적 학대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5, 53-74. 

  3. 김나예 (2012). 다문화 가정아동의 학대경험 수준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아동의 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민수 (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선미, 고하영, 박수현, 양은주 (2012). 메타분석을 통한 국내아동 청소년의 우울 관련 및 변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4), 533-555. 

  6. 김성경, 김혜영, 최현미 (2015). 아동복지론. 경기도: 양서원. 

  7. 김수정, 정익중 (2013). 아동학대가 우울, 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지속 효과와 최신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43, 1-28. 

  8. 김연희, 박경자 (2001).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및 귀인 성향과 아동의 자아 존중감의 관계. 아동학회지, 22(2), 49-64. 

  9. 김은경, 이정숙 (2009). 아동의 학대경험이 정서와 인지적 편향을 매개로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3), 1-18. 

  10. 김재엽, 정윤경, 이진석 (2008). 부모간 폭력 목격경험이 학교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과 지지적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5(4), 89-115. 

  11. 김진아 (2001). 청소년의 가족 및 또래 환경과 우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형모, 김영민 (2007). 부부폭력 목격과 아동학대 경험이 청소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1(1), 31-60. 

  13. 노병일 (2016). 아동복지론. 경기도: 공동체. 

  14. 박경진 (2005).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현선 (1998).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박혜미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남녀 유아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서울아동패널 (2005). 서울 아동발달 및 복지실태조사. 서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8. 신현균 (2006). 청소년의 신체증상 경험에서 부정적인 정서의 영향 및 정서표현과 자기개념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3), 727-746. 

  19. 안형숙 (2014). 부모로부터의 학대 경험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85-203. 

  20. 양숙경, 문혁준 (2012). 가족기능,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일반자녀와 직업군인자녀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9(2), 115-130. 

  21. 양유정 (2012). 자아존중감과 가족스트레스가 중년부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커플관계 자료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 (1998). K-CBCL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23. 우수정 (2013).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학령기 아동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6), 583-590. doi:10.6115/fer.2013.51.6.583 

  24. 유영신, 유연옥 (2015).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7(3), 123-140. 

  25. 윤혜미 (1997). 아동의 학대 및 방임 경험이 아동의 부모자녀관계 지각과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5, 95-120. 

  26. 이복희 (2007).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적응변인 연구. 교육문화연구, 13(1), 99-121. 

  27. 이재연, 홍강의, 조흥식, 이양희, 안동현, 곽영숙 등 (2000). 한국의 아동학대 실태에 관한 연구 I. 아동과 권리, 4(2), 97-112. 

  28. 이희영, 배효심 (2007). 학령기 아동의 어머니와 교사에 대한 애착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열린교육연구, 15(2), 127-143. 

  29. 장안나, 노안영, 임수진 (2008). 학교상담: 지각된 초기 대상관계가 청소년기의 또래관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9(2), 727-737. 

  30. 장인실, 장석진 (2012).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19(6), 291-313. 

  31. 전효정, 이귀옥 (2002). 유아기 부모와의 애착경험이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스트레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9(2), 191-210. 

  32. 정미선 (2010).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25, 140-173. 

  33. 정영주, 정영숙 (2007).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관련된 우울, 인지적 와해 및 친구 지지간의 관계분석.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1), 67-88. 

  34. 정익중 (2007).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18(3), 127-166. 

  35. 정지나, 이영 (2006).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 아동학회지, 27(4), 65-80. 

  36. 조미숙 (2003). 가정폭력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홀리스틱교육연구, 7, 75-88. 

  37.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산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8. Achenbach, T. M. (1991).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4-18 and 1991 profile. Burlington: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39. Bolger, K. E., & Patterson, C. J. (2001). Development pathways from child maltreatment to peer rejection. Child Development, 72(2), 549-569. doi:10.1111/1467-8624.00296 

  40.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Y: Basic Books. 

  41. Cicchetti, D., & Toth, S. L. (2006). Building bridges and crossing them: Translational research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8(3), 619-622. doi:10.1017/S0954579406060317 

  42. Cole, D. A. (1991). Change in self-perceived competence as a function of peer and teacher evalu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682-688. doi:10.1037/0012-1649.27.4.682 

  43. Damon, W., & Hart, D. (1988). Self understand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Green, A. (1985). Child abuse and neglect. In D. Shaffer, A. A. Ehrharot, & L. L. Greenhill (Eds.), The clinical guide to child psychiatry (pp. 315-325). NY: The Free Press. 

  45. Harter, S. (1990). Issues in the assessment of the self-concep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A. M. La Greca (Ed.), Through the eyes of the child: Obtaining self-reports from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92-325).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46. Harrington, R., Fudge, H., Rutter, M., Pickles, A., & Hill, J. (1990). Adult outcome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I. Psychiatric statu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7(5), 465-473. doi:10.1001/archpsyc.1990.01810170065010 

  47. Hoyle, R., Kernis, M., Leary, M., & Baldwin, M. (1999). Self-hood: Identity, esteem, and regulation. Boulder, CO: Westview Press. 

  48. Kaplow, J. B., & Widom, C. S. (2007). Age of onset of child maltreatment predicts long-term mental health outcom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6(1), 176-187. doi:10.1037/0021-843X.116.1.176 

  49. Kernis, M. H. (2002). Self-esteem as a multifaceted construct. In T. M. Brinthaupt & R. P. Lipka(Eds.), Understanding early adolescent self and identity (pp. 57-88).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0. Kline, R. B.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NY: The Guilford Press. 

  51. Kim, H. (2008. 9). Domestic violence and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제1회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구두발표 논문, 서울. 

  52. Okun, A., Parker, J. G., & Levendosky, A. A. (1994). Distinct and interactive contributions of physical abuse,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negative life events to children's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adjust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6(1), 57-77. doi:10.1017/S0954579400005897 

  53. Patrick, M. R., Snyder, J., Schrepferman, L. M., & Snyder, J. (2005). The joint contribution of early parental warmth, communication and tracking, and early child conduct problems on monitoring in lat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76(5), 999-1014. doi:10.1111/j.1467-8624.2005.00893.x 

  5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estee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5.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Y: Basic Books. 

  56.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ports, 51(2), 663-671. 

  57. Shonk, S. M., & Cicchetti, D. (2001). Maltreatment, competency deficits, and risk for academic and behavioral maladjust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7(1), 3-17. doi:10.1037/0012-1649.37.1.3 

  58. Tennen, H., & Herberger, S. (1987). Depression, self-esteem, and the absence of self-protective attributional bia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1), 72-80. doi:10.1037/0022-3514.52.1.72 

  59. Toth, S. L., Manly, J. T., & Cicchetti, D. (1992). Child maltreatment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4(1), 97-112. doi:10.1017/S09545794000055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