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된 콜레스테롤 감소능을 가진 젖산세균의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olesterol-lower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4, 2017년, pp.377 - 382  

박홍엽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박슬기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보금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류대규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임은서 (동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영목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LAB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감소능을 가지고 있는 LAB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23 종의 분리 LAB 중에서 L. plantarum FMB 31 균주가 99.4%의 높은 콜레스테롤 감소 활성을 나타내었고, 프로바이오틱스로서 활용하기 위한 중요한 특성인 내담즙성, 내산성 그리고 내염성 등이 대조구로 사용된 L. rhamnosus KCTC 5033 균주보다 우수하거나 동등하였다. 또한 L. plantarum FMB 31 균주는 인체 안전성과 관련된 용혈독성 및 생체아민 생성능 실험에서도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이 분리균은 콜레스테롤 저하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건강 기능 식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characterize lactic acid bacteria (LAB) exhibiting cholesterol-lowering activity from th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kimchi. The previously isolated LAB strains were assessed for cholesterol-lowering efficacy in the presence of 0.1% choleste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식품인 김치에서 분리된 LAB를 이용하여 콜레스테롤 감소능을 가지고 있는 LAB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23 종의 분리 LAB 중에서 L.
  • 대부분의 LAB는 낮은 pH 조건에서의 생존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프로바이오틱스로서 갖추어야 할 중요한 조건들 중의 하나는 내산성으로, 강한 산성 조건의 위를 통과 후 장까지 도달하여생존하여야 한다(19). 이에 본 연구에서 분리된 LAB의 내산성을확인하였다. pH 3.
  • LAB는 기본적으로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어야만 장내에서 생존하고 증식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5,16). 이에 본 연구에서 사용된 LAB의 인공담즙에 대한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해 황소쓸개즙 농도별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황소쓸개즙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부분 균의 생존율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Fig.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가지는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개발을 목적으로,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인 김치에서 분리한 LAB 중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이 우수한 LAB를 분리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내산성, 내담즙성, 장 정착성 및 인체에대한 안전성 등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콜레스테롤 저하 활성이 우수한 LAB는 향후 콜레스테롤 저하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건강 기능식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편, Victoria와 Carmen(29)은 와인에서 분리한 31종의 LAB중에서 6종이 생체아민을 생성한다고 보고하고 있고, Curiel 등(30)도 식품에서 분리한 93종의 LAB 중에서 13종이 생체아민을생성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프로바이오틱스균주로서 L. plantarum FMB 31 균주의 인체 안전성 분석을 위해 생체아민 생성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Table 2에 나타낸것과 같이, 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젖산세균은 어디에 사용되는 가? 젖산세균(lactic acid bacteria, LAB)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균 주로, 여러 나라의 전통 발효식품 제조 및 가공에 사용된다.LAB는 발효 식품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당을 분해해 유기산 등의 대사산물을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제품의 풍미는 좋아지고 부패균의 증식은 억제되며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는LAB가 생산하는 대사산물을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로 인증하고 있다(1).
젖산세균은 발효 식품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무엇을 생산하는 가? 젖산세균(lactic acid bacteria, LAB)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균 주로, 여러 나라의 전통 발효식품 제조 및 가공에 사용된다.LAB는 발효 식품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당을 분해해 유기산 등의 대사산물을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제품의 풍미는 좋아지고 부패균의 증식은 억제되며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는LAB가 생산하는 대사산물을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GRAS)로 인증하고 있다(1).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어떻게 정의하는 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가 숙주의 건강에 좋은 효과를 주는 살아있는 균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프로바이오틱스는 신체 내 유해 세균 성장의 억제(2), 장내 기능의개선(3), 콜레스테롤 감소(4) 등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유엔식량기구(FAO)와 WHO에서도 적당한 양의 프로바이오틱스 섭취가 사람 또는 동물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essels S, Axelsson L, Hansen EB, de Vuyst L, Laulund S, Lahteenmake L, Lindgren S, Mollet B, Salminen S, Wright A. The lactic acid bacteria, the food chain, and their regulation. Trends Food Sci. Technol. 15: 498-505 (2004) 

  2. Widyastuti Y, Rohmatussolihat, Febrisiantosa A. The role of lactic acid bacteria in milk fermentation. Food Nutr. Sci. 5: 435-442 (2014) 

  3. Lee JJ, Lee YM, Kim AR, Chang HC, Lee MY. Effect of Leuconostoc kimchii GJ2 Isolated from kimchi (Fermented Korean Cabbage)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Fed Rats. Korean J. Food Preserv. 15: 760-768 (2008) 

  4. Jackson MS, Bird AR, McOrist AL. Comparison of two selective media for the detection and enumeration of lactobacilli in human faeces. J. Microbiol. Methods 51: 313-321 (2002) 

  5. Pereira DI, Gibson GR. Effects of consumption of probiotics and prebiotics on serum lipid levels in humans. J. Biochem. Mol. Biol. 37: 259-281 (2008) 

  6. Fatemeh M, Mutarned A, Frank S, Lily S. Cholesterol reduction mechanism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ellular membranes of probiotics Lactobacilli and Bifidobacterium. J. Funct. Foods 9: 295-305 (2014) 

  7. Homayouni A, Azizi A, Javadi M, Mahdipour S, Ejtahed H. Factors influencing probiotic survival in ice cream: A review. Int. J. Dairy Sci. 10: 3923 (2012) 

  8. Rudel LL, Morris MD.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using ophthalaldehyde. J. Lipid Res. 14: 364-366 (1973) 

  9. Choi HJ, Lim BR, Kim DW, Kwon GS, Joo WH.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J. Life Sci. 24: 1231-1237 (2014) 

  10. Ji KH, Jang YN, Kim YT. Isol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howing antioxidative and probiotic activities from Kimchi and infant feces. J. Microbiol. Biotechnol. 25: 1568-1577 (2015) 

  11. Khedid K, Faid M, Mokhtari A, Soulaymani A, Zinedine A.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he one humped camel milk produced in Morocco. Microbiol. Res. 164: 81-91 (2009) 

  12. Lim ES, Kim YM, Lee EW. Probiotic properties and safety assessment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salt-fermented anchovy. Korean J. Food Sci. 48: 306-316 (2016) 

  13. Bover-Cid S, Holzapfel WH. Improved screening procedure for biogenic amine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Int. J. Food Microbiol. 53: 33-41 (1999) 

  14. Choi EA, Chang HC.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a putative probiotic strain Lactobacillus plantarum EM isolated from kimchi. LWT- Food Sci. Technol. 62: 210-217 (2015) 

  15. Lim HJ, Kim SY, Lee WK. Isolation of cholesterol-lower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human intestine for probiotic use. J. Vet. Sci. 5: 391-395 (2004) 

  16. Custy FF, Khem MS. Effect of nutrient media and bile salts on growth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J. Dairy Sci. 71: 3222-3229 (1988) 

  17. Vinderola CG, Medici M, Perdigon G.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sites in the gut hydrophobicity, mucosal immunomodulating capacities and cell wall protein profiles in indigenous and exogenous bacteria. J. Appl. Microbiol. 96: 230-243 (2004) 

  18. Papamanoli E, Tzanetakis N, Litopoulou-Tzanetaki E, Kotzekidou P.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a Greek dry-fermented sausage in respect of their technological and probiotic properties. Meat Sci. 65: 859-867 (2003) 

  19. Burns P, Patrignani F, Serrazanetti D, Vinderola GC, Reinheimer JA, Lanciotti R, Guerzoni ME. Probiotic Crescenza cheese containing Lactobacillus case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manufactured with high-pressure homogenized milk. J. Dairy Sci. 91: 500-512 (2008) 

  20. Liong MT, Shah NP. Acid and bile tolerance and cholesterol removal ability of lactobacilli strains. J. Dairy Sci. 88: 55-66 (2005) 

  21. Jo GY, Ha DM.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from Nuruk. Agric. Chem. Biotechnol. 38: 95-99 (1995) 

  22. Seo JG, Lee GS, Kim JE, Chung MJ. Development of probiotic products and challenges cell biotech. Korean Soc. Biotechnol. Bioeng. J. 25: 303-310 (2010) 

  23. Lee NK, Kim SY, Han KJ, Eom HD. Probiotic potential of Lactobacillus strains with anti-allergic effects from kimchi for yogurt starters. Food Sci. Technol. 58: 130-134 (2014) 

  24. Jung SE, Kim SH.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raw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44-50 (2015) 

  25. Estifanos H.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from curd and in vitro evaluation of its growth inhibition activitie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fr. J. Microbiol. 8: 1419-1425 (2014) 

  26. Simone P, Robson A, Thiago A, Flavio C, Adriano B. Probiotic potenti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nterococcus durans strain LAB 18s. Food Control 37: 251-256 (2014) 

  27. Bodmer S, Imark C, Kneubuhl M. Biogenic amines in foods: Histamine and food processing. Inflamm. Res. 48: 1023-3830 (1999) 

  28. Kim JH, Ryu SJ, Lee JW, Kim YW, Hwang HJ, Kwon OK. Investigation on biogenic amines in plant-based minor Korean fermented foods. J. Appl. Biol. Chem. 56: 113-117 (2013) 

  29. Victoria MAM, Carmen PM. Occurrenc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biogenic amines in biologically aged wines. Food Microbiol. 25: 875-881 (2008) 

  30. Curiel JA, Ruiz-Capillas C, de las Rivas B, Carrascosa AV, Jimenez-Colmenero F, Munoz R.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by lactic acid bacteria and enterobacteria isolated from fresh pork sausages packaged in different atmospheres and kept under refrigeration. Meat Sci. 88: 368-373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