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여성의 수면시간과 치주염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 Women: Data from KNHNES 2014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4, 2017년, pp.298 - 305  

도경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이은선 (한양여자대학교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여성의 수면시간과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바탕으로, 만 19세 이상의 한국 성인 여성 총 3,29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당뇨, 고혈압, 비만)에 따라 치주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흡연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이 7시간 이상인 대상자에 비해 7시간 미만인 대상자의 치주염 위험도가 1.37배(crude OR, 1.37; 95% CI, 1.13~1.65) 높았다. 그러나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 당뇨, 고혈압, 비만)을 보정한 후의 수면시간이 치주염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이상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두 요인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성인 여성의 적절한 수면습관을 도모하고 아울러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periodontitis in adult Korean wome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based on the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We selected the data from 3,292 women (over 19 years of age) out of 7,55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상자수의 한계 때문에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며, 결과가 서로 불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을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2차년도(2014)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여성만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 부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적절한 수면은 인간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요인이고, 지친 피로를 풀어주며, 손상된 세포와 근육의 회복, 면역 기능과 두뇌 기능 그리고 신체 기능 및 신진대사를 적절히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4,9,10). 반면 수면이 부족하면 호르몬 변화와 면역력 저하로 감염에 취약해지며, 집중력 저하, 만성피로감 증가, 스트레스 증가로 인한 코르티졸 분비 증가, 인지기능 저하,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발현 등 신체기능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질병에 이환되기 쉽다4,5,10,11). 특히 만성 염증성 질환인 치주염과 관련이 있음이 여러 선행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12-14).
적절한 수면이 인간에게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수면 부족은 복잡한 현대사회의 세계적인 추세이며, 보건학적 이슈이다8). 적절한 수면은 인간이 건강한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요인이고, 지친 피로를 풀어주며, 손상된 세포와 근육의 회복, 면역 기능과 두뇌 기능 그리고 신체 기능 및 신진대사를 적절히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4,9,10). 반면 수면이 부족하면 호르몬 변화와 면역력 저하로 감염에 취약해지며, 집중력 저하, 만성피로감 증가, 스트레스 증가로 인한 코르티졸 분비 증가, 인지기능 저하, 염증성 바이오마커의 발현 등 신체기능의 변화로 인한 다양한 질병에 이환되기 쉽다4,5,10,11).
치주염은 무엇인가? 치주염은 다 요인 질병인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치면세균막이 치아표면에 축적되어 증식된 세균으로 인해 치은 및 치아 주위조직에 염증을 일으키고,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염증이 악화되어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치조골이 병적으로 소실되어 성인의 치아상실의 주요한 원인이 된다1). 또한 여러 가지 위험 요인과 감수성이 당뇨와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대사증후군 등 전신질환과도 관련이 있으며, 사회 경제적 지위, 교육수준, 생활습관, 수면장애(sleep disorders, SDs), 흡연, 심리적 요인 등도 치주염의 관련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Reners M, Brecx M: Stress and periodontal disease. Int J Dent Hyg 5: 199-204, 2007. 

  2. Elter JR, Beck JD, Slade GD, Offenbacher S: Etiologic models for incident periodontal attachment loss in older adults. J Clin Periodontol 26: 113-123, 1999. 

  3. Genco RJ: Current view of risk factors for periodontal diseases. J Periodontol 67(10 Suppl): 1041-1049, 1996. 

  4. Feng D, Zhang J, Fu J, et al.: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cardiac structure in youths at risk for metabolic syndrome. Sci Rep 6: 39017, 2016. 

  5. Sundararajan S, Muthukumar S, Rao SR: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hronic periodontitis. J Indian Soc Periodontol 19: 294-296, 2015. 

  6. Jung JO: Effects of metabolic syndrome on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J Dent Hyg Sci 12: 245-252, 2012. 

  7.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Periodontitis prevalence rate. 2015. Retrieved January 10, 2017,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07&vw_cdMT_ZTITLE&list_id117_11702_B01&se 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2016, December 27). 

  8. Dinges DF, Douglas SD, Hamarman S, Zaugg L, Kapoor S: Sleep deprivation and human immune function. Adv Neuroimmunol 5: 97-110, 1995. 

  9. Majde JA, Krueger JM: Links between the innate immune system and sleep. J Allergy Clin Immunol 116: 1188-1198, 2005. 

  10. Mullington JM, Simpson NS, Meier-Ewert HK, Haack M: Sleep loss and inflammation. Best Pract Res Clin Endocrinol Metab 24: 775-784, 2010. 

  11. Nakada T, Kato T, Numabe Y: Effects of fatigue from sleep deprivation on experimental periodontitis in rats. J Periodontal Res 50: 131-137, 2015. 

  12. Carra MC, Schmitt A, Thomas F, Danchin N, Pannier B, Bouchard P: Sleep disorders and oral health: a cross-sectional study. Clin Oral Investig 21: 975-983, 2017. 

  13. Grover V, Malhotra R, Kaur H: Exploring association between sleep deprivation and chronic periodontitis: a pilot study. J Indian Soc Periodontol 19: 304-307, 2015. 

  14. Wiener RC: Relationship of routine inadequate sleep duration and periodontiti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Sleep Disord 2016: 9158195, 2016. 

  15. Young E, Korszun A: Sex, trauma, stress hormones and depression. Mol Psychiatry 15: 23-28, 2010. 

  16. Lee ES, Do KY, Lee KS: Association of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with periodontal disease in Korean women. J Dent Hyg Sci 17: 73-80, 2017. 

  17. Sanders AE, Akinkugbe AA, Slade GD, Essick GK: Tooth loss and obstructive sleep apnea signs and symptoms in the US population. Sleep Breath 20: 1095-1102, 2016. 

  18. Al Habashneh R, Khassawneh B, Khader YS, Abu-Jamous Y, Kowolik MJ: Association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and periodontitis among male adults attending a primary healthcare facility in Jordan. Oral Health Prev Dent 14: 157-164, 2016. 

  19. Gamsiz-Isik H, Kiyan E, Bingol Z, Baser U, Ademoglu E, Yalcin F: Does obstructive sleep apnea increase the risk for periodontal disease? A case-control study. J Periodontol 88: 443-449, 2017. 

  20.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Examination manual. 201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song, 2014. 

  21.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treatment guidelines for diabetes. 5th ed. KDA, Seoul, 2015. 

  22.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et al.: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JAMA 289: 2560-2572, 2003. 

  23. Mukherjee S, Patel SR, Kales SN, et al.: An official American thoracic society statement: the importance of healthy sleep. Recommendations and future prioritie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1: 1450-1458, 2015.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Periodontal country profiles 2005. Retrieved June 16, 2017, from http://www.who.int/oral_health/databases/niigata/en/(2005, March 15). 

  25. Besedovsky L, Lange T, Born J: Sleep and immune function. Pflugers Arch 463: 121-137, 2012. 

  26. Dew MA, Hoch CC, Buysse DJ, et al.: Healthy older adults' sleep predicts all-cause mortality at 4 to 19 years of follow-up. Psychosom Med 65: 63-73, 2003. 

  27. Irwin MR: Sleep and infectious disease risk. Sleep 35: 1025-1026, 2012. 

  28. Irwin MR: Why sleep is important for health: a psychoneuroimmunology perspective. Annu Rev Psychol 66: 143-172, 2015. 

  29. Park H, Tsai KM, Dahl RE, et al.: Sleep and inflammation during adolescence. Psychosom Med 78: 677-685, 2016. 

  30. Lee DH, Lee YH: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J Dent Hyg Sci 17: 38-45, 2017. 

  31. Acar M, Turkcan I, Ozdas T, Bal C, Cingi C: Obstructive sleep apnoea syndrome does not negatively affect oral and dental health. J Laryngol Otol 129: 68-72, 2015. 

  32. Hong MH: Risk factors for the prevalence of periodontal disease among adult workers. J Korean Acad Indust Coop Soc 15: 3706-3713, 2014. 

  33. Romandini M, Gioco G, Perfetti G, Deli G, Staderini E, Lafori A: The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sleep duration. J Clin Periodontol 44: 490-501, 2017. 

  34. Kolte AP, Kolte RA, Lathiya VN: Association between anxiety, obesity and periodontal disease in smokers and non-smokers: a cross-sectional study. J Dent Res Dent Clin Dent Prospects 10: 234-240, 2016. 

  35. Gupta N, Gupta ND, Goyal L, et al.: The influence of smoking on the levels of matrix metalloproteinase-8 and periodontal parameters in smoker and nonsmoker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linicobiochemical study. J Oral Biol Craniofac Res 6(Suppl 1): S39-S43, 2016. 

  36. Katuri KK, Alluri JK, Chintagunta C, et al.: Assessment of periodontal health status in smokers and smokeless tobacco users: a cross-sectional study. J Clin Diagn Res 10: ZC143-ZC146, 2016. 

  37. Koss MA, Castro CE, Gramajo AM, Lopez ME: sIgA, peroxidase and collagenase in saliva of smokers aggressive periodontal patients. J Oral Biol Craniofac Res 6(Suppl 1): S24-S28,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