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 환자에서 적극적 가온 요법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Active Warming Intervention for Women Undergoing Cesarean Se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4 no.3, 2017년, pp.167 - 180  

최정은 (고려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  김미선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  송진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best available evidence for active warming interventions during cesarean section. Methods: A database search was done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utilizing active warming interventions. Maternal temperature, shivering and neonatal tempera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온 요법의 중재별로 효과를 분석해보면 수액가온 요법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고가온매트리스 요법도 체온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나 강제공기가온 요법은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전율을 제외하고 산모의 체온과 신생아 체온의 분석 시 이질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제왕절개 환자에게 시행된 적극적 가온 요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왕절개 환자에게 적극적 가온 요법 적용에 대한효과를 체계적 고찰하고 분석하여 바람직한 가온 요법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제왕절개 환자에 있어서 적극적 가온 요법은 산모의 저체온을 예방하고 전율을 낮추는 효과를 보였으나 신생아의 체온에는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 본 연구는 제왕절개 환자에서 적극적 가온 요법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13편의 문헌 총 1,306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체계적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적극적 가온 요법의 중재방법은 강제공기가온, 수액가온, 가온매트리스로 분류되었으며 그 효과와 대상자, 중재방법, 설정 온도, 적용 부위, 측정시점 등이 다양하였다.
  • 본 연구는 코크란 연합(Cochrane Collaboration)의 중재법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핸드북 및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그룹이 제시한 체계적인 문헌고찰 보고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제왕절개 환자에서 적극적 가온 요법에 대한국내외의 가이드라인과 간호실무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왕절개 환자를 대상으로 적극적 가온 요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신의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결과를 합성하여 제왕절개 환자에 있어서 바람직한 가온 요법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적극적 가온 요법: 열 생산을 증가시키거나 외부에서 열 이동을 시켜 체내 열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중 정상체온 유지와 저체온 방지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일련의 중재 중 강제공기가온 요법과 수액가온, 그리고 가온매트리스를 수술 전, 중, 후에 시행한 것을 뜻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제왕절개 환자에서 적극적 가온 요법에 대한 효과를 검증함으로서 바람직한 가온 요법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제왕절개 환자에서 적극적 가온 요법에 대한국내외의 가이드라인과 간호실무지침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제왕절개 환자를 대상으로 적극적 가온 요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신의 신뢰할 수 있는 과학적 결과를 합성하여 제왕절개 환자에 있어서 바람직한 가온 요법 지침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술 중 가온 요법이란 무엇인가 수술 중 가온 요법은 수술 중 정상 체온 유지와 저체온 예방을목적으로 시행되는 일련의 중재로 Kumar 등[2]은 가온 요법전략에 따라 소극적 가온 요법(passive warming)과 적극적 가온 요법(active warming)으로 구분하였다. 소극적 가온 요법은 더 이상의 열 손실을 막아 체내의 열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재로 이불을 덮어주거나 양말, 장갑 등으로 신체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수술 중 가온 요법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수술 중 가온 요법은 수술 중 정상 체온 유지와 저체온 예방을목적으로 시행되는 일련의 중재로 Kumar 등[2]은 가온 요법전략에 따라 소극적 가온 요법(passive warming)과 적극적 가온 요법(active warming)으로 구분하였다. 소극적 가온 요법은 더 이상의 열 손실을 막아 체내의 열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재로 이불을 덮어주거나 양말, 장갑 등으로 신체 노출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수액가온 요법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7℃씩 증가시켜 저체온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27]를 바탕으로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NICE)는 수술 중 저체온을 예방하기 위해 500ml 이상 수액 투여 시 37℃까지의 수액가온을 시행할 것을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다[1]. 그러나 이는 임신하지 않은 환자만을 적용대상으로 한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수액가온 요법이 제왕절개 환자에 있어서도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이고 있어 수액가온 요법이 제왕절개를 시행 받는 환자들의 정상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간호실무로 표준화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 management of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adults [Internet]. UK: National Collaborating Centre for Nursing and Supportive Care commissioned by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 (NICE); 2008 [cited 2017 May 18]. Available from: http://www.ncbi.nlm.nih.gov/books/NBK53788/ 

  2. Kumar S, Wong PF, Melling AC, Leaper DJ. Effects of perioperative hypothermia and warming in surgical practice. International Wound Journal. 2005;2(3):193-204. https://doi.org/10.1111/j.1742-4801.2005.00102.x 

  3. Andrzejowski J, Hoyle J, Eapen G, Turnbull D. Effect of prewarming on post-induction core temperature and the incidence of inadvertent perioperative hypothermia in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aesthesia.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08;101(5):627-631. https://doi.org/10.1093/bja/aen272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Clinical quality indicators: Percentage of patients maintaining normal body temperature during and after surgery [Internet].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4 [cited 2017 May 18].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re/invst/getInvstInfo.do?pgmidHIRAA030085000000. 

  5. John M, Ford J, Harper M. Peri-operative warming devices: Performance and clinical application. Anaesthesia. 2014;69(6): 623-638. https://doi.org/10.1111/anae.12626 

  6. Hooper VD, Chard R, Clifford T, Fetzer S, Fossum S, Godden B, et al. ASPAN'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promotion of perioperative normothermia: Second edition.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10;25(6):346-365. https://doi.org/10.1016/j.jopan.2010.10.006 

  7. AORN Recommended Practices Committee. Recommended practices for the prevention of unplanned perioperative hypothermia. Association of Perioperative Registered Nurses Journal. 2007;85(5):986-988. https://doi.org/10.1016/j.aorn.2007.04.015 

  8. Petsas A, Vollmer H, Barnes R. Peri-operative warming in caesarean sections. Anaesthesia. 2009;64(8):921-922. https://doi.org/10.1111/j.1365-2044.2009.06026.x 

  9. Butwick AJ, Lipman SS, Carvalho B. Intraoperative forced airwarming during cesarean delivery under spinal anesthesia does not prevent maternal hypothermia. Anesthesia and Analgesia. 2007;105(5):1413-1419. https://doi.org/10.1213/01.ane.0000286167.96410.27 

  10. Munday J, Hines S, Wallace K, Chang AM, Gibbons K, Yates P.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warming interventions for women undergoing cesarean section.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2014;11(6):383-393. https://doi.org/10.1111/wvn.12067 

  11. Sultan P, Habib AS, Cho Y, Carvalho B. The effect of patient warming during caesarean delivery on maternal and neonatal outcomes: A meta-analysis.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15;115(4):500-510. https://doi.org/10.1093/bja/aev325 

  12. Higgins JPT, Green S, editor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https://handbook.cochrane.org 

  13. Chakladar A, Dixon MJ, Crook D, Harper CM. The effects of a resistive warming mattress during caesarean section: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 Anesthesia. 2014;23(4):309-316. https://doi.org/10.1016/j.ijoa.2014.06.003 

  14. Chan VW, Morley-Forster PK, Vosu HA. Temperature changes and shivering after epidural anesthesia for cesarean section. Regional Anesthesia. 1989;14(1):48-52. 

  15. Chung SH, Lee BS, Yang HJ, Kweon KS, Kim HH, Song J, et al. Effect of preoperative warming during cesarean section under spinal anesthesia.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12;62(5):454-460. https://doi.org/10.4097/kjae.2012.62.5.454 

  16. Cobb B, Cho Y, Hilton G, Ting V, Carvalho B. Active warming utilizing combined IV fluid and forced-air warming decreases hypothermia and improves maternal comfort during cesarean delivery: A randomized control trial. Anesthesia and Analgesia. 2016;122(5):1490-1497. https://doi.org/10.1213/ANE.0000000000001181 

  17. Fallis WM, Hamelin K, Symonds J, Wang X. Maternal and newborn outcomes related to maternal warming during cesarean delivery.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6;35(3):324-331.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6.00052.x 

  18. Goyal P, Kundra S, Sharma S, Grewal A, Kaul TK, Singh MR. Efficacy of intravenous fluid warming for maintenance of core temperature during lower segment cesarean section under spinal anesthesia. Journal of Obstetric Anaesthesia and Critical Care. 2011;1(2):73-77. https://doi.org/10.4103/2249-4472.93990 

  19. Paris LG, Seitz M, McElroy KG, Regan 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improve outcomes utilizing various warming techniques during cesarean birth.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14;43(6):719-728. https://doi.org/10.1111/1552-6909.12510 

  20. Yokoyama K, Suzuki M, Shimada Y, Matsushima T, Bito H, Sakamoto A. Effect of administration of pre-warmed intravenous fluids on the frequency of hypothermia following spinal anesthesia for cesarean delivery.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2009;21(4):242-248. https://doi.org/10.1016/j.jclinane.2008.12.010 

  21. Woolnough M, Allam J, Hemingway C, Cox M, Yentis SM. Intra-operative fluid warming in elective caesarean section: A blinded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 Anesthesia. 2009;18(4):346-351. https://doi.org/10.1016/j.ijoa.2009.02.009 

  22. Horn EP, Schroeder F, Gottschalk A, Sessler DI, Hiltmeyer N, Standl T, et al. Active warming during cesarean delivery. Anesthesia and Analgesia. 2002;94(2):409-414. https://doi.org/10.1213/00000539-200202000-00034 

  23. Oshvandi K, Shiri FH, Fazel MR, Safari M, Ravari A. The effect of pre-warmed intravenous fluids on prevention of intraoperative hypothermia in cesarean section.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4;19(1):64-69. 

  24. Grant EN, Craig MG, Tao W, McIntire DD, Leveno KJ. Active warming during cesarean delivery: Should we SCIP it? Americ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5;32(10):933-938. https://doi.org/10.1055/s-0034-1543986 

  25. Shaw CA, Steelman VM, DeBerg J, Schweizer ML. Effectiveness of active and passive warming for the prevention of inadvertent hypothermia in patients receiving neuraxial anesthes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 of Clinical Anesthesia. 2017;38:93-104. https://doi.org/10.1016/j.jclinane.2017.01.005 

  26. Sessler DI, Moayeri A. Skin-surface warming: Heat flux and central temperature. Anesthesiology. 1990;73(2):218-224. 

  27. Smith CE, Fisgus JR, Kan M, Lengen SK. Efficacy of IV fluid warming in cesarean section patients undergoing regional anesthesia. Anesthesiology. 1999;91(3A):U437. 

  28. John M, Ford J, Harper M. Peri-operative warming devices: Performance and clinical application. Anaesthesia. 2014;69(6): 623-638. https://doi.org/10.1111/anae.12626 

  29. Wrench IJ, Singh P, Dennis AR, Mahajan RP, Crossley AW. The minimum effective doses of pethidine and doxapram in the treatment of post-anaesthetic shivering. Anaesthesia. 1997;52(1):32-36. https://doi.org/10.1111/j.1365-2044.1997.006-az006.x 

  30. Mori R, Khanna R, Pledge D, Nakayama T. Meta-analysis of physiological effects of skin-to-skin contact for newborns and mothers. Pediatrics International. 2010;52(2):161-170. https://doi.org/10.1111/j.1442-200X.2009.02909.x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