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ife Stress, Depression, Smart-phone Addiction on Quality of Life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8, 2017년, pp.248 - 256  

백선숙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조주연 (수원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교 재학생 19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생활스트레스는 평균 $.62{\pm}.33$점, 우울 $.24{\pm}31$점, 스마트폰 중독 $2.59{\pm}.63$점, 삶의 질 $3.48{\pm}.54$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우울은 학년, 대인관계, 음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 스마트폰 이용시간, 외모 만족도, 운동, 음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삶의 질은 성별, 스마트폰 이용시간, 외모 만족도, 대인관계, 운동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과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삶의 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ife stress,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n quality of life as well as to verify the variables related to quality of life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quality of life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4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삶의 질 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 및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이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질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중독,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스마트폰 중독 및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 변수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질 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생활스트레스는 무엇인가? 대학생활에서 경험하고 있는 생활스트레스는 사회심리적 가치관 수용, 학업문제, 대인관계, 진로 및 취업, 경제문제, 이성문제 등 매우 다양하며,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인관계보다는 당면과제에 대한 생활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강한 성인으로서 성장하여 사회에 나아가기 위해 준비과정에 놓인 대학생들의 삶의 질 수준을 확인하고 삶의 질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심은 부족한 편이다.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은 어떤 영향을 받는가? 대학생의 건강은 향후 개인과 사회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3] 스스로의 선택과 책임이 요구되는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들은 실망하고 좌절하여 결국 부정적 행동에 빠지게 되며, 이 기간 동안의 적응여부와 환경, 스트레스, 개인의 생활양식 등은 이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4,5].
대학생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동안 국내연구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생활환경과 건강형태[2], 건강행위[13], 정신건강문제[14] 등으로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대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인간은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시켜 질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자신의 생활양식과 건강행위를 변화시켜야 하므로[15]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에 대한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마련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 I. Shin, J. J. Lee, S. O. Choi, S. N. Kim, "Meaning in Life of College students:Q Methodological Approach",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2, no. 2, pp. 269-294, 2005. 

  2. S. H. Choi, Y. M. Ahn, M. Y. Im, "Relationship between Living Environment,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by Gender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 23, no. 1, pp. 57-71, 2016. DOI: https://doi.org/10.21086/ksles.2016.02.23.1.57 

  3. N. S. Park,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olicie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5, no. 5, pp. 17-34, 2011. 

  4. W. Chang, Y. Park, U. Kim,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arents", Journal of Future Oriental Youth Society, vol. 4, no. 2, pp. 1-17, 2007. 

  5. N. Kim, "The relationship among stress, resilience, and quality of lif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vol. 13, no. 4, pp. 1-19, 2011. 

  6. M. M. Clark, B. A. Warren, P. T. Hagen, B. D. Johnson, S. M. Jenkins, K. D. Olsen, "Stress level, health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in employee joining a wellness center",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 26, no. 1, pp. 21-25, 2011. DOI: https://doi.org/10.4278/ajhp.090821-QUAN-272 

  7. K. K. Chon, K. H. Kim, "Development of the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A control theory approach",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10, no. 1, pp. 137-158, 1991. 

  8. Y. S. Song, "Stressful Life Events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 pp. 71-80, 2012.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71 

  9. K. K. Chon, K. H. Kim, J. S. Yi, "De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5, no. 2, pp. 316-335, 2000. 

  10. H. S. Jeon, S. O. Jang,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Gend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1, no. 8, pp. 103-129, 2014. 

  11. M. Y. Sim, D. N. Lee, E. H. Kim, "A study on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227-236,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5.227 

  12. E. H. Lee,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9, no. 1, pp. 25-48, 2004. 

  13. Y. M. Lee,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 24, no. 2, pp. 77-91, 2007. 

  14. H. J. Chon, "Multiple mediating effects between attachment and life quality among freshmen in University: Stress, affect, social support, mental health",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2, no. 2, pp. 257-266, 2013. DOI: https://doi.org/10.5934/kjhe.2013.22.2.257 

  15. B. S. Lee, M. Y. Kim, M. H. Kim, S. K. Kim,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health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0, no. 1, pp. 213-224, 2000. DOI: https://doi.org/10.4040/jkan.2000.30.1.213 

  16. S. K. Min, C. I. Lee, K. I. Kim, S. Y. Suh, D. K. Kim,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WHOQOL-BRE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3), 571-579, 2000. 

  17. A. T. Beck,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1967. 

  18. D. I. Kim, Y. J. Chung, J. Y. Lee, M. C. Kim, Y. H. Lee, E. B. Kang, C. M. Keum, J. E. K. Nam,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Self-repor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2, pp. 629-644, 2012. DOI: https://doi.org/10.15703/kjc.13.2.201204.629 

  19. Y. R. Park, E. H. Jang, "Impact of Stress on Depress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5, no. 5, pp. 549-558, 2013. DOI: https://doi.org/10.7475/kjan.2013.25.5.549 

  20. M. K. Shin, H. R. Yi, J. S. Won, "Influence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n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0, no. 4, pp. 419-428, 2013.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3.20.4.419 

  21. S. S. Baek, E. H. Ha, E. N. Ryo, M. S. Song,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in Undergraduates on Suicidal Ide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18, no. 4, pp. 157-163, 2012. DOI: https://doi.org/10.4094/jkachn.2012.18.4.157 

  22. K. H. Park, "Development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stimate University Student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6, pp. 779-788, 2008. DOI: https://doi.org/10.4040/jkan.2008.38.6.779 

  23. K. H. Hwang, Y. S. Yoo, O. H. Cho,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10, pp. 365-375, 2012. DOI: https://doi.org/10.5392/JKCA.2012.12.10.365 

  24. S. H. Cho, G. S. Jeon, "Correlates of Problematic Mobile Phone Us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4, no. 1, pp. 13-22, 2016. 

  25. M. S. Lee, K. S. Kim, M. K. Cho, J. W. Ahn, S. O. Kim, "Study of Stres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of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Quality of Life",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vol. 21, no. 2, pp. 125-134, 2014. DOI: https://doi.org/10.5953/JMJH.2014.21.2.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