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 시뮬레이션(FDS)을 이용한 거실제연설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nment of Livingroom Smoke-control System using the FD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1 no.4, 2017년, pp.26 - 34  

김미선 (동신대학교 대학원 소방학과) ,  백은선 (동신대학교 소방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거실제연설비의 인접구역 상호제연방식의 성능 확인 및 향상을 위한 논문으로써 국가화재안전기준(NFSC)과 NFPA 연기제어에 관한 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화재 시뮬레이션(FDS)을 통해 모델링을 실시하여, 급기량 변화, 제연경계의 폭, 화재실내 가연물 변화, 유입공기의 풍속차이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청결층 확보를 위해 급기량을 배출량 이하로 하였을때 화재실에서의 청결층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급기실에서는 급기량을 배출량 이상으로 하였을때 청결층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연경계의 폭이 길어질수록 성능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연물의 종류에 따라 급기량과 배출량을 고려해야 하며, 공기유입구 풍속은 급기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공기유입구 풍속을 낮게 하므로써 화재실의 청결층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djacent room ventilation system in living room ventilation facilitie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smoke control regulations of the NFPA code and the national fire safety standard (NFSC). The analysis method was fire dynami...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FSC와 NFPA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의 상이함을 화재 시뮬레이션(FDS)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기준으로 급기량 변화, 제연경계 폭의 변화, 가연물의 종류에 따른 특성분석, 공기유입 풍속의 변화를 통해 거실제연설비의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화재 시뮬레이션(FDS)을 통하여 거실 제연설비 중 대규모 거실의 인접지역 상호제연 방식의 개선에 관하여 국가화재안전기준(NFSC)과 NFPA의 규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동일한 연기 배출량 등을 적용하려 하였으나 산정하는 방법 및 산정 시 변수가 동일하지 아니하여 실질적인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는 NFSC 와 NFPA의 상이한 규정 중 급기량, 제연경계 폭, 공기유입구 풍속, 가연물의 종류(열방출률)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FDS를 수행하여 수치해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 수치해석한 모델은 가상의 단층 건축물로 바닥면적 1,800 m2이며 용도는 판매시설로 가정하였다. 건물의 실 높이(바닥에서 반자까지의 높이)는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DS를 사용하여 무엇을 평가할 수 있는가? 본 연구 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Fire Dynaimics Simulatior: FDS)을 사용하였다. FDS는 Navier-Stokes Equations을 토대로 연산된 결과를 연기와 온도 및 유동에 의한 영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질량보존의 법칙, 운동량 보존의 법칙, 에너지 보존의 법칙,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실행된다. 또한 후처리 프로그램인 Smokeview 프로그램을 통해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가시화시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결과 값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화재 시뮬레이션과 Smokeview 프로그램을 통한 시뮬레이션은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가? FDS는 Navier-Stokes Equations을 토대로 연산된 결과를 연기와 온도 및 유동에 의한 영향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질량보존의 법칙, 운동량 보존의 법칙, 에너지 보존의 법칙, 이상기체상태 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실행된다. 또한 후처리 프로그램인 Smokeview 프로그램을 통해 시뮬레이션의 결과를 가시화시켜 보다 편리하고 정확한 결과 값을 도출하는데 도움을 준다. 당해 프로그램을 통해 건축물의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설계에 반영하므로써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 대책을 수립에 큰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FDS Ver 5.
거실제연설비의 역할은 무엇인가? 국내 제연설비는 크게 화재실에서 연기배출과 동시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청결층을 확보하는 거실제연설비와 차압을 이용한 전실제연설비로 구분하고 있다. 거실제연설비의 경우 화재실에서의 연기 배출과 동시에 급기를 실시함으로서 청결층 확보와 소화활동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전실제연 설비의 경우 차압, 방연풍속, 과압방지를 통한 연기제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92 (Standard for Smoke Control Systems 2015 Edition)", Quincy, MA, USA (2015). pp. 92-98. 

  2. S. J. Park, J. H. Jo, T. H. Ahn, M. S. Yeo, H. T. Seok and K. W. Kim,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Double-Skin Facade to Apartment Buildings",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2, No. 1, pp. 453-456 (2002). 

  3. Y. B. Lee, "A Study on Decrease and Improvement Plan by Stack Effect in Skyscrapers", Kyong-Gi University, Korea (2008). 

  4. D. H. Park, "A Comparative study of technical standards for the fire alarm system in Korea, United states and Japan", University of Seoul, Korea (2000). 

  5.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72 (National fire alarm code)", Quincy, MA, USA (2002). 

  6. M. J. Lee, "An Improved Design for Audibility of Fire Alarm Sound in Residential Buildings", University of Seoul, Korea (2012). 

  7. Brithsh Standard Institution, "BS 5839 Part 1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 for buildings)", London, UK (2002). 

  8. J. S. Yoon, "Fire Analysis for High-rise Apatrment Building By Fire Simulation Progra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0). 

  9. Y. S. Sonh, S. K. Dan, B. W. Lee, S. P. Kwon, D. I. Shin and T. O. Kim, "Simulation of Heat and Smoke Behavior for Wood and Subway Fires by Fire Dynamics Simulator (FD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4, No. 6, pp. 31-37 (2010). 

  10. ThunderHead Eng, "PyroSim User Manual", The RJA Group Inc, Chicago, USA (2011). 

  11. U. 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Verification and Validation of Selected Fire Models for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Fire Dynamics Simulator (FDS) (NUREG-1824, Volume 7)", U.S.NRC, USA (2007). 

  12. G. P. Forney, "Smokeview User's Guide", Fire Research Division, Building and Fire Research Laboratory, NIST, USA (2007). 

  13. K. McGrattan, R. McDerMott, S. Hostikka and J. Floyd.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User's Guide", NIST SP 1019-5, NIST, USA (2010). 

  14. T. T. Lie, "Fire Protection Handbook",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UK (1997). 

  15.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Fire Protection Simulation",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Korea (2009). 

  16.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Fire Science",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Korea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