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스피스 작업치료에 관한 범위 고찰
Scoping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v.7 no.2, 2017년, pp.33 - 45  

김지윤 (부산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작업치료실) ,  김환 (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호스피스 작업치료 연구방향과 한국 호스피스 작업치료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임상에서 호스피스 작업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범위 고찰을 통하여 1980년에서 2013년 12월까지 발행된 논문을 CHINAHL, MEDLINE, Scopus에서 검색하여 연구에 적합한 45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연구 연도, 연구 출처, 저자특성, 연구 설계, 연구 대상, 연구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첫째, 호스피스 작업치료 논문은 1980년대부터 꾸준히 게재되다 2000년도부터 그 수가 약 3배 증가하였다. 연구 출처는 총 21개 학술지로, 가장 많은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는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였다. 둘째, 호스피스 작업치료 논문의 저자 특성은 직업은 작업치료사가, 지역은 미국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설계는 질적 연구가 양적 연구보다 약 4배 정도 많이 나타났다. 셋째,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임상적 적용을 위한 중재방법으로는 공예활동, 일상생활활동훈련, 이완요법, 보호자 교육, 영성의 적용 등이 있었다. 호스피스 작업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방법으로는 하기-되기-되어가기 이론의 틀과 인간 작업 모델이 소개되었다. 교과과정과 임상교육을 통해 호스피스 작업치료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하며 죽음에 대한 이해와 대처 기술에 대한 꾸준한 교육의 필요성이 언급되었다. 결론 :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연구 방향과 논문 수의 증가는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발전과 그 흐름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임상과 연구영역에서 균형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질적 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하기-되기-되어가기 이론의 틀과 인간 작업 모델은 임상에 적용 가능한 이론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학교에서는 교육 과정을 개발하고 임상에서는 여러 교육을 제공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호스피스 작업치료가 시작되는 거점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hospice occupational therapy and to develop hospice occupational therapy curriculum in Korea. Methods : 45 articles were selected from CINAHL, MEDLINE, and Scopus, which were published from 1980 to 2013. The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호스피스 작업치료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지며, 교육과정 개발과 임상에서 호스피스 작업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은 무엇인가?
  • 학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전문 분야에서 일정기간 동안 시행된 연구 논문들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은 미래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되고, 지난 연구 업적에 대한 분석과 평가는 필요 없는 반복 연구를 피하고 선행 연구 결과로부터 미래의 후속 연구에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이영은과 최은정, 2011). 이에 작업치료 분야에서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호스피스 작업치료의 발전에 기여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국외에서 연구된 호스피스 작업치료 연구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국내 작업치료 분야에서 호스피스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연구의 탐색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적 활용을 위한 방법으로 행동은 어떻게 하고 있었나? 임상적 활용을 위한 방법들은, 활동(activity), 일상생 활활동훈련, 이완요법, 보호자 교육, 영성의 적용 등이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되었다. 활동은 공예활동을 주 2-3회 1 시간 30분 이상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말기 질환으로 신체적 활동의 제한으로 인한 일상생활활동의 감소를 치료하고, 통증, 호흡곤란 등을 이완요법을 통해 조절하도록 하고 있었다.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도 치료 대상으로 보았고 영성의 적용에 대해 언급하고 있었다.
호스피스란? 고령화와 암환자 증가 등으로 인한 말기질환 환자가 증가로 치료를 중심으로 하는 보건의료뿐만 아니라 건강 증진, 재활 등으로 영역이 확대되고 있고 그에 따라 말기 질환 환자와 그 가족들의 건강 서비스와 삶의 질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황희경 등, 2002). 호스피스(hospice)란 임종 6개월 이내의 말기환자와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의학적으로 관리함과 동시에 말기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으로 도우며 사별가족의 고통과 슬픔을 경감시키기 위해 지지와 격려를 제공하는 총체적인 돌봄이며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김수지 등, 2001).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캐나다 작업치료사 협회는 모든 사람들은 마지막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권리를 가지고 있고 이것은 자신에 대한 죽음을 결정하고, 고통에서 해방되며 자신의 의지에 따라 사랑하는 사람들 사이에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고 하였다(CAOT, 2011).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환자의 통증과 괴로움을 경감시켜주고, 의미 있고 목적 있는 일상생활 작업에 참여하도록 도와 주어 삶의 질이 높아지도록 도와주는 것이다(AOTA, 2011). 또한 작업치료사는 삶의 마지막 기간 동안 환자와 가족이 감정적, 사회적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사별 후 가족이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도록 돕는다(AOTA, 198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S. G., Oh, S. J., Choi, H., S., (2001). Hospice, care for love. Seoul: a publishing company Sumoon. 

  2. Sung, N., Y. (2009). This allows you to write better papers. Seoul: a publishing company Chomtop. 

  3. Sung, T., J. (2008). Research Methodology. Seoul: a publishing company Hakji. 

  4. Lee, Y., E. (2011). Trend in research on hospice car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4(3), 152-162. 

  5. Lee, H., S. (2005). Qualitative Research: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Paju: a publishing company Hakhyun. 

  6. Hwang, I., C., Kang, K., A., An, H., H. (2013). Analysis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The first issue-2012).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6(2), 74-79. 

  7. Hwang, H., K., Lee, S., U. (2000). A study on community-oriented hospice care enhance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ly ill patients. The Korean Association for Survey Research, Fall Conference Presentation, 2002(0), 343-362. 

  8.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1986). Occupational therapy and hospice (position Paper).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0(12), 839-840. 

  9.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1).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n end-of-life car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suppl.), S66-S75. 

  10. Arksey, H. & O'Malley, L. (2005). Scoping studies: Towards a methodological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Research Methodology, 8(1), 19-32. 

  11.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2005). Occupational therapy and end of lif care.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2(2), 121. 

  12. Canadi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y. (2011). CAOT Position Statement: Occupational Therapy and End of Life care. http://www.caot.ca/default.asp?pageid1284 

  13. Harris, E. (2008). The meanings of craft to occupational therapist. Australian Occupational Therapy Journal, 55, 133-143. 

  14. Levac, D., Colquhoun, H., & O'brien, K. (2010). Scoping studies: advancing the methodology. Implementation Science, 5(69), 1-9. 

  15. Pedretti, L. W., & Early, M. B. (2001).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5th edition. Philadelphia, Mosby. 

  16. Woodside, G. (2010). Case study research : theory, methods, practice. 1st edition e-book. Bingley,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7. Worldwide Palliative Care Alliance. (2014). Global atlas of palliative care at the end of life. http://www.who.int/cancer/publications/palliative-care-atlas/e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