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을철 동해 남서부해역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전체 식물플랑크톤 생체량에 대한 기여도 변동성
Variability of Contribution of Picophytoplankton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2 no.3, 2017년, pp.77 - 87  

박미옥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이예지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미소플랑크톤은 빈영양해역의 중요한 일차생산자로서, 동해에서도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해는 전 세계 평균에 비해 표층 수온이 가파르게 증가하여, 이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다양한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생태계의 변화 중 가장 기본적인 일차생산자의 군집구조의 변동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까닭에 식물플랑크톤 군집 조성의 장기적인 변동성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동해 남서부해역에서의 환경 변화에 따른 초미소플랑크톤의 생체량 기여도와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기 위해, 2011, 2013, 2015년 가을철에 초미소플랑크톤(<$3{\mu}m$)의 전체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크기별 분급 결과, 초미소플랑크톤의 전체 Chl a 생체량에 대한 평균 기여도는 각각 2011년 약 38%, 2013년 59%, 2015년 7%로 연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각 연도 별, 환경요인 중 평년대비 수온 변화(${\Delta}T$)는 2013년에 $+1.6^{\circ}C$로 최고치를, 그리고 2015년에 $-0.9^{\circ}C$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동해 남부 해역의 표층수온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대한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기여도 사이에 밀접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R^2$>0.9). 향후 기후 변화에 의한 동해에서의 해수 수온 증가가 미치는 일차생산자의 군집구조의 장기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cophytoplankton, an important primary producer especially at the oligotrophic region, is known to contribut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total phytoplankton biomass in the East Sea of Korea. During autumn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frequent upwellings and oligotrophic conditions occur and an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또한 동해가 최근 겪고 있는 환경 변화 중 급격한 수온 증가와 성층화에 의한 영양염 공급의 제한에 의해, 동해 남서부해역의 가을철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변동성과 환경 요인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 2013년, 2015년까지 3회에 걸쳐 가을철 동해 남서부해역의 초미소식물플랑크톤(<3 µm)이 차지하는 비중을 size fraction을 이용해 조사하고, 수온 변화와 영양염, 그리고 혼합층 수심에 의한 영향을 고찰하였다.
  • 이번 조사에서는 가을철 동해남서부해역에서 size fraction을 통해 초미소식물플랑크톤의 전체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기여도의 변동성을 조사하고, 표층수온 변화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변동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 (2012)는 황해, 남해 및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일차생산자인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변동과 일차생산력의 변동 양상을 보고한 바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플랑크톤 군집 조성의 장기적인 변동성을 모니터링을 위해 시행한 것은?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생태계의 변화 중 가장 기본적인 일차생산자의 군집구조의 변동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까닭에 식물플랑크톤 군집 조성의 장기적인 변동성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동해 남서부해역에서의 환경 변화에 따른 초미소플랑크톤의 생체량 기여도와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기 위해, 2011, 2013, 2015년 가을철에 초미소플랑크톤(<$3{\mu}m$)의 전체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크기별 분급 결과, 초미소플랑크톤의 전체 Chl a 생체량에 대한 평균 기여도는 각각 2011년 약 38%, 2013년 59%, 2015년 7%로 연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생태계의 변화 중 어떤 연구가 필요한가? 동해는 전 세계 평균에 비해 표층 수온이 가파르게 증가하여, 이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다양한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동해 생태계의 변화 중 가장 기본적인 일차생산자의 군집구조의 변동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까닭에 식물플랑크톤 군집 조성의 장기적인 변동성을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동해 남서부해역에서의 환경 변화에 따른 초미소플랑크톤의 생체량 기여도와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변화를 알기 위해, 2011, 2013, 2015년 가을철에 초미소플랑크톤(<$3{\mu}m$)의 전체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기여도를 측정하였다.
초미소플랑크톤의 역할은? 초미소플랑크톤은 빈영양해역의 중요한 일차생산자로서, 동해에서도 전체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해는 전 세계 평균에 비해 표층 수온이 가파르게 증가하여, 이에 따른 해양생태계의 다양한 변화가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아람, 2014. 동해 남부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8-61 pp. 

  2. 성기탁, 황재동, 한인성, 고우진, 서영상, 이재영, 2010. 한국 연근해 수온의 시공간적 장기 변동 특성.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6(4): 353-360. 

  3. 이영주, 2012. 황해의 동하계 식물플랑크톤군집 변동 및 일차생산력 변동 양상에 관한 고찰.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전슬기, 2016. 동해 남서해역에서 용존태 유기질소 화합물이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4-75 pp. 

  5. Arar, E.J. and G.B. Collins, 1997. Method 445.0: In Vitro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 and Phaeophytin a in Marine and Freshwater Algae by Fluorescence.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Exposure Research Laboratory. 

  6. Belkin, I.M., 2009. Rapid warming of large marine ecosystems. Prog. Oceanogr., 81: 207-213. 

  7. Chiba, S. and T. Saino, 2002. Variation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Japan/East Sea (1991-1999) with possible influence of the ENSO scale climatic variability. Prog. Oceanogr., 213: 23-25. 

  8. Chisholm, S.W., R.J. Olson, E.R. Zettler, R. Goericke, J.B. Waterbury and N.A. Welschmeyer, 1988. A novel free-living prochlorophyte abundant in the oceanic euphotic zone. Nature., 334: 340-343. 

  9. Decembrini, F., C. Caroppo and M. Azzaro, 2008. Size structure and produc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carbon pathways channelling in the Southern Tyrrhenian Sea (Western Mediterranean). Deep-Sea Res. II. doi:10.1016/j.dsr2.2008.07.022 

  10. Harold, G.M., 2002. Autotrophic picoplankton : Their presence and significance in marine and freshwater ecosystems. Virginia Journal of Science, 53: 13-33. 

  11. Jo, Y.H., L.C Breaker, Y.-H.,Tsemg and S.-W. Yeh, 2014. A temporal multiscale analysis of the water off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over the past four decades. Terr. Atoms. Ocean. Sci., 3: 415-434. 

  12. Jones, P.D., K.E. Trenberth, P. Ambenje, R. Bojariu, D. Easterling, T. Klein and B. Soden, 2007. Observations: surface and atmospheric climate change. Climate Change The pysical Sciences Basis, 2007: 235-336. 

  13. Joo, H.T., S.H. Son, J.W. Park, J.J. Kang, J.Y. Jeong, C.I. Lee, C.K. Kang and S.H. Lee, 2016. Long-Term Pattern of Primary Productivity in the East/Japan Sea Based on Ocean Color Data Derived from MODIS-Aqua. Remote Sens., 8, 25; doi:10.3390/rs8010025. 

  14. Kang D.J., S. Park, Y.G. Kim, K. Kim and K.-R. Kim, 2003. A moving-boundary box model (MBBM) for oceans in change: An application to the East/Japan Sea. Geophys. Res. Lett., 30:1299. 

  15. Kang, S.W., 2008.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East China Sea in spring and autumn, 2004. Department of Oceanography,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6. Lin, C., X. Ning, J. Su, Y. Lin and B. Xu, 2005.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responses of the ecosystems of the yellow sea during 1976-2000. J. Mar. Sys., 55: 223-234. 

  17. Mackey, D.J., H.W. Higgins, M.D. Mackey and D. Holdsworth, 1998. Algal class abundances in the western equatorial Pacific: Estimation from HPLC measurements of Chloroplast pigments using CHEMTAX. Deep-Sea Res. I, 45: 1441-1468. 

  18. Moon C.R., D.J. Kang, M.O. Park, J.H. Noh, S.J. Yoo, J.E. Moon, K.H. Shin, Y.S. Kim, J.K. Choi and Y.S. Suh, 2014. An inter-laboratory comparison study on chlorophyll a determination in seawater. J. Kor. Soc. Oceanogr., 19: 76-87. 

  19. Park, M.O., 2006.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with size fraction results at Southwestern East/Japan Sea. Ocean Sci. J., 41(4): 301-313. 

  20. Park, M.O., S.W. Kang, C.I. Lee, T.S. Choi and F. Lantoine, 2008.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ic communities in Jeju Strait and Northern East China Sea and Dinoflagellate Blooms in Spring 2004: Analysis of Photosynthetic Pigments. J. Kor. Soc. Oceanogr., 13(1): 27-41. 

  21. Partensky, F., J. Blanchot and D. Vaulot, 1999. Differential distribution and ecology of Prochlorococcus and Synechococcus in oceanic waters: a review. Bullentin de 1'Institute Oceanographique, 19: 457-475. 

  22. Partensky, F., J. Blanchot, F. Lantoine, J. Neveux and D. Marie, 1996. Vertical structure of picophytoplankton at different trophic sites of the tropical northeastern Atlantic Ocean. Deep-Sea Res. I, 43: 1191-1213. 

  23. Riemann, Bo., 1978. Carotenoid interference in the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degradation products from natural populations of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23(5): 1059-1066. 

  24. Suk M.S. and S.J. Yoo, 2002. Marine ecosystem responses to climate variability in the East Sea.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Report No. BSPE 817-00-1396. 

  25. Susan, M., 2012. Introduction to Marine Biogeochemistry, 2nd Ed. A-Jin Publishing, 500-501 pp. 

  26. Yona, D., 2014. Diversity of Cyanobacteria Synechococcus spp. based on DNA Analysis and phycoerythrin Chromophores in the East Sea, Korea, master thesis, 68-70 p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