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북 일부 지역 과체중 및 비만 중년 여성 대상 보건소 영양교육 효과 -개인별 하루필요에너지 및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on Overweight and Obese Middle-aged Women in Jeonbuk Area-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s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4, 2017년, pp.307 - 322  

김세연 (전북대학교병원 영양팀) ,  김숙배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인간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on anthropometric, biochemical characteristic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 intakes for overweight and obese in a publ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8년과 2012년을 비교했을 때, 30세 이상 여성의 비만 유병률은? 3%로 증가한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30세 이상 여성의 비만 유병률 또한 1998년 30.3%, 2012년 33.2%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3], 여성의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암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유병률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4]. 특히 중년기 여성은 임신 및 출산 등에 의한 신체적 변화 뿐 아니라, 난포호르몬과 황체호르몬의 분비 감소에 따른 자율신경 조절 기전의 변화로 일시적인 심리불안 상태가 나타나기도 하며[5, 6], 이는 비만 발생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7].
영양교육은 무엇인가? 영양교육은 영양적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이 자신의 식습관을 잘못된 점을 파악하고, 올바른 식생활에 대해 배우고, 자신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영양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영양지식을 토대로 스스로 올바른 식생활을 도모하는 것이다[7, 13]. 보건소를 방문하는 비만, 고혈압, 당뇨병, 고혈압 위험 요인을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정상 체중을 도모하는 영양교육을 통해, 올바른 식태도를 습득하고, 알맞은 에너지 및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를 통해,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14].
한국이 실행한 1993년부터 2010년 사이의 질병예방 중심의 정책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는 1990년대를 기점으로, 국민 건강증진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질병예방 중심의 정책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었다[13]. 보건소 영양사업이 1993년 시범보건소를 중심으로 출발한 이래, 일선 보건소를 중심으로 영양사업을 포함한 건강증진사업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2004년부터는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만성질환 관리사업을 시행하여, 보건소를 중심으로 지역사회 주민 중 비만, 고혈압, 당뇨병 위험요인을 가진 사람들과 환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및 관련단체와의 협력을 통한 비만, 고혈압, 당뇨병 관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2010년에는 국민영양관리법이 제정됨으로써 국민영양관리계획의 수립과 시행, 생애주기별 및 영양취약군의 영양관리 사업, 시설이나 단체에서의 영양관리사업, 임상영양사 제도 등의 기반이 마련되었고, 이에 따른 영양교육이 더욱 강화되게 되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ang YK, Chung YJ, Moon HK, Yoon JS, Park HR, Kim BH. Nutritional assessment. 2nd ed. Seoul: Shingwang publishing; 2009. p. 65-70. 

  2. Choi HM, Kim JH, Kim CI, Song KH, Jang KJ, Min HS et al. 21st century nutrition. 3rd ed. Paju: Kyomunsa; 2009. p. 77-96.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cited 2014 May 15]. Available from: http://www.knhanes.cdc.go.kr/. 

  4. Koo JO.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lood pressure, calcium, intake among adult women in Seoul, Kyunggi area: based on 2011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3): 269-282. 

  5. Carr MC. The emerg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menopause.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88(6): 2404-2411. 

  6. Kim SK, Sunwoo JG, Lee EJ. Relation of mineral nutrition status and climacteric symptoms in pre-and post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006; 39(2): 121-132. 

  7. Lee EJ.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nutrient intakes and physical fitness in obese Korean adult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2009; 14(6): 756-766. 

  8. Lee MS. The characteristics of dietary habits of obese, overweight or normal subjec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2004; 9(2): 161-172. 

  9. Kwon GJ. Effect of eating behavior on obese female. New Med 2003; 46(6): 64-80. 

  10. Lee OH, Kim JK, Lee HSY, Choue RW. Nutritional status, quality of diet and quality of life postmenopausal women with mild climacteric symptoms based on food group intake patterns.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1): 69-80. 

  11. Kim YH, Kim YN. A study on body mass index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middle aged women in small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4): 506-515. 

  12. Choi JH, Yang JH, Han JP. A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 during exercise and detraining in exercise type in the middle-aged obese women. J Korea Sports Med 2006; 45(3): 526-536. 

  13. Park YS, Lee JW, Seo JS, Lee BK, Lee HS, Lee SK. Nutrition education and counseling. 5th ed. Paju: Kyomunsa; 2016. p. 2-13. 

  14. Oh JY, Kim SB.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diabetes mellitus at community health center: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485-497. 

  15. Korean Diabetes Association. Guideline of food exchange system for diabetes. 3rd ed. Seoul: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0. p. 1-124. 

  16. Kim SB, Choi JH.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food exchange system: changes in elementary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and nutrients intak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6): 922-933. 

  17. Guo JL, Kim SB. Effects on nutrition education of Chinese college students in Korea: Focused on personalized daily energy requirement and food exchange uni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6): 565-576. 

  18. Oh SW.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pamphlet for the elderly diabetes mellitus: Focused on individual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0. 

  19. Hwang ER.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n middle-aged women by weight control program performed in the community health center [master's thesis]. Shilla University; 2008. 

  20. Kang JS, Kim HS.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the middle aged obese women. Korean J Food Nutr 2004; 17(4): 356-367. 

  21. Yim KS. Th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female elderly at the public health center.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40-652. 

  22. Eom HS, Jeong MJ, Kim SB.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574-581. 

  23.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General information of obese [Internet].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4 [cited 2014 Apr 8]. Available from: http://www.kosso.or.kr. 

  24. Son SM, Im HS, Kim JH, Lee JH, Seo JS, Son JM. Clinical Nutrition. 4th ed. Paju: Kyomunsa; 2009. p. 147-149.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n Community Nutrition Society. Easy knowing database by one portion size of foods. 2nd ed. Paju: Kyomunsa; 2013. p. 4-350. 

  2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p. 25-499. 

  27. Jang HJ.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with oriental therapy for overweight and obese adult at the public health center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2010. 

  28. Kim KJ, Lee WJ, Lee SJ, Ann NY, Oh HR, Sin YJ et al. Health status and lifestyle including diet, exercise, and daily activities in obese adults. J Korean Sports Med 2005; 23(1): 54-63. 

  29. Ahn NY, Kim KJ. Effects of health education for the nutrient intakes and eating habits in youth athletes. Korean J Coach Sci 2011; 13(1): 277-282. 

  30. Yoon JS, Jeong YH, Park JA, Oh HM.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nutritional education on adults having two or more symptoms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6): 794-802. 

  31. Shim JE, Paik HY, Moon HK.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in adults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Nutr Health 2007; 40(5): 451-462. 

  32. Mclnnis, KJ. Diet, exercise, and the challenge of combating obesity in primary care. J Cardiovasc Nurs 2003; 18(2): 93-100. 

  33. Law M. Salt, blood pressure and cardiovascular diseases. J Cardiovasc Risk 2000; 7(1): 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