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맞춤형 영양교육 프로그램과 운영시스템 개선을 위한 질적 연구 : 프로그램 제공자 측면
Qualitative Study on Improvement of Operating System and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s to Korea: Program Providers' Perspectiv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4, 2017년, pp.323 - 335  

조미영 (연세대학교 심바이오틱 라이프텍 연구원(급식외식경영연구실)) ,  황지윤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Methods: In-depth interviews of a total of 21 multicultural experts were conducted; 15 people were interviewed individu...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결혼이민여성들이 가장 먼저 직면하는 문제는 무엇인가? 결혼이민여성들은 한국 정착 1~2년 내에 아내, 엄마로의 역할 수행도 뒤따르게 되어 많은 정신적 스트레스와 갈등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가장 먼저 당면하게 되는 어려움이 식문화 적응 및 언어소통의 어려움인 것으로 많은 선행연구들이 보고하고 있다[3-5]. Kim (2013)[5]의 연구에서 결혼이민여성들은 자국 식문화와 다른 한국 식문화를 갑자기 겪으면서 식품 섭취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고 특히, 임신 시 섭취하는 음식이 모국 음식과 전혀 달라 섭취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등 음식 관련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민여성이 영양과 식생활에 관해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결혼이민여성의 인구 비중이 높아지고, 다문화 가족이 새로운 인구 계층으로 부각되면서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정책들을 입안하고, 교육 프로그램들을 진행하고 있다. 결혼이민여성들이 영양과 식생활 관련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은 대표적으로 보건복지부 산하 각 지역 보건소에서 실시하고 있는 영양플러스 사업이 있으며, 2012년 기준 전체 영양 플러스 수혜가구 중 13.2%(7,294가구)가 다문화 가족이다[2].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어떤 변화가 생겼는가? 2000년대 들어 한국은 외국인 주민들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노동이주자와 국제결혼이주자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국인 이민이 증가하면서 ‘다문화 가족’이라는 새로운 인구 계층이 형성되었다. 결혼이민자는 2015년 기준 약 30만 명에 육박하며,이 중 약 25만 명이 여성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DANURI. Statistics of multicultural family. Available from : https://www.liveinkorea.kr/portal/KOR/page/contents.do 

  2. Kim HR, Yeo JY, Jeong JJ, Baek SH. Health statu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health policy recommendations. KIHASA. 2012. 10 

  3. Seol DH, Lee HK & Cho SN. Survey on international marriage female migrants and policy measures for health welfare support.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05. 

  4. Seol DH, Yoon HS. Socioeconomic adaptation and welfare policy for immigrant women on marriag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countries of origin. Korean Soc Secur Stud 2008; 24(2): 109-133. 

  5. Kim HR. Health issue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policy direc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15. 

  6. Kim JE, Kim JM, Seo SH.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Korean J Nutr 2011; 44(4): 312-325. 

  7. Lee JS.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6): 807-815. 

  8. Joe MY, Hwang JY.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ietnam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J Korean Diet Assoc 2017; 23(1): 64-77. 

  9. Strauss A, Corbin J.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2001. 

  10. Kim HR. Maternal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marriagebased women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Health elf Policy Forum 2009; 155: 50-64. 

  11. Kim HR. Health Status of Marriage-based Immigrants in Korea and Policy Directio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185. 

  12. Survey on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3. Kim HK, Yoo SH, Cho S, Kwon EJ, Kim SY, Park JY.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health risks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Korea.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0; 27(5): 79-89. 

  14. Yun HK, Choi GY. Factors affecting the oral health behavior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J Korea Content Assoc 2012; 12(3): 268-275. 

  15. Park SS, Rhu HS. A exploratory study on adaptation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Korean J Parent Educ 2009; 6(2): 25-47. 

  16. Smith A, Kaminskas G. Female Philippino migration to Australia: An overview. Asian Migr 1992; 5: 72-81. 

  17. Hofstede G. Gender stereotypes and partner preferences of Asian women in masculine and feminine cultures. J Cross Cult Psychol 1995; 27: 533-546. 

  18. Imamura AE. The loss that has no name: Social womanhood of foreign wives. Gend Soc 1998; 12: 291-307. 

  19. Kang EJ. What are inside the Korean-Chinese international marriage? An exploratory study. J Korea Assoc Fam Relat 1999; 4: 61-80. 

  20. Han GS. Family life and cultural encounter of foreign wives in rural area. J Korean Soc Cult Anthropol 2006; 39(1): 195-2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