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위한 전략 및 기본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 고산골마을을 대상으로 -
Strategy and Basic Planning for Creating an Urban Agricultural Park -Focusing on Gosangol Village in Daegu City-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4, 2017년, pp.23 - 34  

이종일 ((주)이노조경) ,  권진욱 (영남대학교 산림자원 및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지속가능한 실현과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된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대구광역시 고산골 마을을 대상으로 계획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내용은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는데, 주제공원으로서 도시농업 공원 조성 시 고려하여야 할 개발전략을 제안하는 것과 실제 적용을 위한 공간프로그램 및 도입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이에 해당하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공원의 조성은 도시공원의 수요적 진화로부터 유도된 지역 커뮤니티 공간으로서 역할을 담당하며, 이의 실현을 위한 농업 행위가 주제로 결합하여야 한다. 따라서 조성전략으로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둔 도시농업의 장마련', '농업 경관 중심의 녹지체계 구축', 그리고 '지역소통을 위한 여가 공간 조성'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도시농업공원이 갖추어야 할 주요 기능은 '생산적 측면'의 농산물 생산과 거래, 농지임대, '환경적 측면'의 토양보존, 자원순환, 녹지제공 등, '사회문화적 측면'의 여가 및 체험, 공동체 활성화, 교육, 사회복지 등이 해당되며, 아울러 도시공원이 요구하는 위락적 기능, 생태적 기능, 보호적 기능 등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주요 시설로는 공원관리시설을 제외한 도시농업시설, 조경시설, 휴양시설, 운동시설, 교양시설, 편익시설 등을 포함하여야 하며, 도시농업시설의 중심시설인 텃밭의 경우, 다양한 이용목적과 행태를 고려한 다양한 유형과 규모의 도입이 요구되므로, 본 계획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계획대상지가 특정 지역에 국한된 한계를 지니나, 공원형 도시농업 공간 조성을 위한 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a planned site located in Gosangol Village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at aims to build an urban agricultural park combining urban agriculture and urban park for the sustainable re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ccordingl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wo perspectives: fi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에 대한 계획적 접근은 보편적으로 어떤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형태를 가질 것인가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어떤 이용 특성을 수용하여야 할 것인가, 그리고 이용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과 시설들은 무엇인가에 대한 해결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농업공원에 대한 계획은 도시농업 공간의 유형화로부터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 그러므로 본 연구는 도시농업에 대한 본질을 찾아가고, 거시적으로 도시공원의 지속적 이용을 통한 여가와 수요창출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며, 도시재생을 위한 농업활동 커뮤니티 활성화 등을 위하여, 도시농업이 내재한 다양한 농업적 활동을 근간으로 지속적 운영과 관리가 가능한 도시공원과의 접목을 계획적 관점으로 접근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주요 목적은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계획지표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하였을 때 수용하여야 할 프로그램과 시설들을 추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대상지에 계획·적용함으로써 도시농업공원 또는 공원형 도시농업에 대한 계획 사례를 제시하였다.
  • 따라서 공원과 농업 상호 간의 지속가능한 필요·충족이 융합된 공간으로서 작동하여야 하며, 발전적으로 도시녹지로서 그린인프라 스트럭처의 역할과 지역 활성화에 대한 기대를 목적으로 하여야 한다.
  • 따라서 연구의 주요 목적은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요구되는 계획지표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하였을 때 수용하여야 할 프로그램과 시설들을 추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대상지에 계획·적용함으로써 도시농업공원 또는 공원형 도시농업에 대한 계획 사례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지속가능한 실현의 일환으로 도시농업과 도시공원이 융합된 도시농업공원 조성을 목적으로 한 계획 연구이다. 그러므로 연구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는데, 주제공원으로서 도시농업공원 조성 시 고려하여야 할 계획지표를 제안하는 것과, 실제 적용을 위한 공간프로그램 및 도입시설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그 내용이며, 결과는 아래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적 환경에서 자연과 관계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무엇으로 나타나는가? 오늘날 도시적 환경에서 자연과 관계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는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는데, 시민들의 ‘환경적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이(Han and Chang, 2014) 그 예라 하겠다. 이러한 도시농업의 유행에는 도시민들이 기대하는 농촌의 환경과 삶에 대한 복합적인 사고와 행위 즉, ‘건강한 것’, ‘자급자족 행위’에 대한 행위참여가 관심의 근간이 되었는데, 사람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생산 활동을 목적으로 했던 농업이 도시 속에서 여가와 휴식을 즐기는 지역공동체 활성화로 그 목적이 확대된 이유이다(Choi et al.
도시농업에 대한 본질은 무엇인가? 그러나 도시농업의 흥행과 더불어 우선으로 주목하여야 할 것은 도시농업의 본질, 즉 ‘다양한 생활공간을 활용하여 농작물을 경작하고 재배하는 행위’가 희석되어 일부 도시농업의 경우, 단편적인 이벤트 사업으로 추진되어 농사활동에 대한 거부감 및 특정인만 참여한다는 부정적 인식 등이 제기되는 것(Nam et al., 2015)에 대한 회복이 요구된다.
우리나라에서 도시농업이 활성화 된 계기는 무엇인가? 도시농업의 기원에 대하여는 약 4천 년 전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주변의 농업형태를 이에 대한 기원으로 보기도 하고, 이와 유사한 맥락적 접근으로 도시농업은 최근 새롭게 등장한 것이 아닌 농업의 초기 모습이라 하였다(Lee and Cho, 2012).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도시농업이 활성화를 맞이하는 계기는 2011년 『도시농업의 지원 및 육성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그 이듬해의 시행을 기점이라 할 수 있고, 그 전개 양상은 규모적인 측면으로 가정에서 식용작물을 재배하는 일련의 행위로부터 외부 텃밭의 영역으로 확장되었으며, 내용으로 작물의 생산과 경작의 행위로부터 관광농업이나 학습농원과 같은 주제형 농업체험 활동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술적 관점으로 점진적인 농업에 대한 이해와 체계화된 지식요구가 증가하는 현재에 직면하여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n, Y. U., J. S. Youn, J. H. Jung, T. H. Lee, H. K. Jung and J, I. Baek(2008) Analyzing the user's behavior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a multi-regional urban neighborhood park: Focused on Gooryong Park in Cheongju 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12(21): 185-203. 

  2. Chang, D. H.(2009) Policy implication for improving urban agricultur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2(2): 979-994. 

  3. Choi, E. Y., Y. N. Jeong and S. Y. Kim(2014)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urban farming ordinance factors and participation satisfaction as well as sustainability for vitalizing of the urban farming: Focused on Seoul City urban farming participant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6): 173-188. 

  4. Han, J. H. and D. M. Chang(2014)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theory, paradigm and typology of urban agriculture.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6): 33-46. 

  5. Hou, J., J. Johnson, L. Lawson, and K. O. Lee(2013) Greening Cities Growing Communities: Learning from Seattle's Urban Com- munity Gardens". Paju: Jokyung. 

  6. Hwang, J. I., Y. J. Choi, B. G. Jang and S. Y. Rhee(2010) Segment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urban farmers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1(4): 619-631. 

  7. Keum, S. K.(2013) Busan, departure of vitalization on urban agriculture, development urban agriculture park. BDI Focus 196. 

  8. Kim, H. K. and S. W. Sung(2010) An analysis of the behavior pattern of user for open space in the urban park.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6(11): 37-44. 

  9. Kim, J. D.(2002) Globalization of agriculture and the movement of alternative agriculture. Journal of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2(1): 586-590. 

  10. Kim, M. J.(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use characteristics and the sense of community by the type of urban neighborhood park".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10): 149-158. 

  11. Kim, S. J., D. S. Lee and C. Y. Yoon(2006) A study on the nee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usu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8(2): 27-35. 

  12. Kim, S. B., J. H. Cho and U. H. Chung(2002) Environmental friendly city and city farming". Journal of Nakdonggang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7(1): 71-91. 

  13. Kim, T. G., M. H. Park and J. N. Heo(2010) Vision and Assignment for the Urban Agriculture. Reports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4. Kim, Y. S., H. Kim and J. S. Ko(2014) Analysis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citizen based on urban green spaces type: Focuses on Suwon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5): 31-40. 

  15. Lee, B. J.(2012) The study of securing urban farmland for vitalizing urban agriculture.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5(4): 89-122. 

  16. Lee, D. G. and S. H. Cho(2016) The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urban agriculture types in accordance with lifestyl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6): 40-50. 

  17. Lee, E. H. and Y. A. Kim(1998) An analysis of weekend farm usage in Seou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6(1): 83-95. 

  18. Lee, Y. J. and H. J. Cho(2012) Revitalization planning of urban agriculture in Gyeonggi-Do. Policy Brief 2010. No.12, Gyeonggi Research Institute. 

  19. Nam, K. H., S. Y. Kim, E. J. Kang and Y. G. Kim(2015) "Public park awareness along with community garden cultivation participation within an urban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120-131. 

  20. Nam, T. H. and T. Y. Jung(2014)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use of urban farms: A case study of the Siji region in Daeg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6): 1-9. 

  21. Oh, J. N. and H. S. Park(2015) A study on the complex building planning for urban agriculture including the program and space characteristics to activate the loc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2(3): 357-368. 

  22. Oh, J. S. and S. Y. Kim(2014)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planning of urban agriculture within multiple housing complex.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5(5): 47-66. 

  23. Park, Y. B., B. E. Cho and S. O. Kim(2008) The study of living agriculture for vitalizing urban agriculture. L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4. Yeo, H. S., J. H. Seo and Y. S. Jeong(2012) A case study on urban agricultural activation according to classification of Design.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24: 41-50. 

  25. Yun, H. J. and M. K. Cho(2012) The consideration of progressive urban park and the possibility of urban agricultur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2): 81-90. 

  26. Daegu City Namgu(2015) Daegu City Statistics Annual Report. Vol.29. 

  27. https://ko.wikipedia.org/wiki/%EB%8F%84%EC%8B%9C_%EB%86%8D%EC%97%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