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유정원 조성을 위한 계획요소의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for Healing Garden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4, 2017년, pp.81 - 91  

정명자 (호남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박원규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효과적인 치유정원 계획에 필요한 치유정원 계획요소의 체계를 세우기 위해 선행 연구문헌을 종합 분석하여 치유정원 계획분야와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치유정원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개 계획분야와 19개 계획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LARGE{\cdot}$ 계획분야: 물리적 환경, 사회적 환경, 인지적 환경, 기능적 환경, 심리적 환경 $\LARGE{\cdot}$ 계획요소: 식물식재, 정원경관, 수경공간, 그늘공간, 작업공간, 레크레이션공간, 커뮤니티공간, 운동공간, 랜드마크요소, 사인시스템, 안전한 시설물과 재료, 재해안전시설, 유니버설디자인, 접근이 쉬운 동선, 경제적 유지관리, 시각적 개방성, 프라이버시 보장, 휴식공간의 다양성, 예술적 요소 둘째, 계획요소의 중요도 순위 분석 결과, 상위요소로 1순위는 식물식재, 2순위는 재해안전시설, 3순위로는 휴식공간의 다양성이 차지하였고, 하위요소로 예술적 요소와 랜드마크 요소가 각각 18위와 19위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요소의 중요도 수준을 평가하여 3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가장 중요한 A그룹은 식물식재, 재해안전시설이 포함되었고, 다음으로 중요한 B그룹은 휴식공간의 다양성, 커뮤니티공간, 수경공간, 유니버설 디자인, 안전한 시설물과 재료, 경제적 유지관리, 접근이 쉬운 동선, 프라이버시 보장, 정원경관, 작업공간, 시각적 개방성이 포함되었으며,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C그룹은 그늘공간, 운동공간, 레크레이션공간, 사인시스템, 예술적 요소, 랜드마크 요소가 포함되었다. 그룹의 중요도 1순위의 2개 요소는 치유정원 계획 시에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할 요소로 판단되며, 2순위의 11개 요소는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로 해석된다. 또한, 3순위의 6개 요소는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 수준을 보여 치유정원 계획 시 설계자가 임의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요소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 of planning elements necessary for effective healing garden. We suggested new planning parts and elements for healing garden through analyzing prior literature and evaluated the importance of planning elements through expert surveys. The result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용대상자의 치유효과가 높은 치유정원 모델을 만들기 위한 사전단계의 연구로서 기존의 관련 연구문헌들을 정리․분석하여 치유정원 계획분야를 분류한 뒤, 계획분야에 따른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전문가의 중요도 분석을 통하여 치유정원 설계 시에 필요한 계획요소의 중요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는 치유정원 설계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행복 보고서 2017’에 의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유엔자문기구 SDSN의 ‘세계 행복 보고서 2017’에 의하면,우리나라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세계 56위로 국민의 삶의 질이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미래 세대인 어린이와 청소년, 청년들의 행복지수가 OECD 국가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정원활동의 장점은? Maslow는 인간이 감성적, 사회적, 윤리적으로 보다 성숙하려면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 자아존중 욕구, 자아실현 욕구가 충족이 되어야 하고, 이것은 정원활동에서도 가능하다고 하였으며, 정원활동은 공통적인 흥미와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인간관계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서로에게 잠재적인 상호작용을 자연스럽게 전개하도록 하여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해 더 큰 존경심을 배우고, 더욱 더 없어서는 안 될 사회의 구성원으로 느끼게 한다. 이처럼 정원은 단순히 경관 감상과 휴식만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 서로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서 또한 치유공간으로서의 역할이 확대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Park, 2016).
치유정원은 어떻게 조정되어야 하는가? 1980년대 초에 미국에서 원예치료가 도입되면서 치료정원에 대한 관심도 증대하게 되었으나, 우리의 문화에 맞는 정원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서구의 정원 형태와 특성을 그대로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으며(Jang et al., 2008), 쾌적성과 심미성을 강조하는 일반정원과 달리 이용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궁극적으로는 원예치유의 정확한 목적과 목표를 지원 받을 수 있는 공간으로 조정되어야 한다(Son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D. S.(2004) Preference analysis for healing garden construction on psychiatric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8(2): 55-66. 

  2. Choi, E. M.(2012) A Study on Expressi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ior Landscape Designs As Healing Environment Elemen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3. Jang, E. J., C. H. Park and N. R. Joo(2008) Garden culture and therapeutic garden of Korea and Japan.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Research 16: 38-48. 

  4. Jeong, Il-Yeong(2001) A Study on the Planning of Healing Garden for the School of Mentally Retard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5. Kim, I. H., M. H. Choi and Y. K. Park(2007) An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healing garden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 303-306. 

  6. Kim, J. A.(2010) The Components and Design Guidelines for Healing Environments -Focused on Roof Gardens in General Hospital-.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7. Kim, J. Y.(2003) A Design of Therapeutic Garden in Healing Impairment School -A Case of Ae-wha School in Mia Dong, Seoul-.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 

  8. Kim, S. Y., H. J. Joo, H. S. Sim and D. S. Ahn(2008) A basic survey for healing garden construction on the elderly nursing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1): 11-20. 

  9. Kim, S. H.(2004)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Healing Garden for Mental Disorder and their Satisfaction Evaluation Master's Program in Depart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Korea. 

  10. Kim, S. A.(1994) Landscape Design for Notre Dame Rehabilitation Educational Center.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1. Lee, B. R.(2012) A Study on Guidelines for Designing Healing Garden for Handicapped Childre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2. Lee, E. Y., J. A. Park, J. Y. Shim and S. Y. Lee(2014) A study on the planning guidelines of healing landscape in the residential complex, Journal of Natural Sciences Pai Chai University, Korea 25(1): 11-26. 

  13. Lee, S. Y., R. Choi, N. H. Park and S. E. Yoo(2014) Supportive design of healing environments -Focused on maggie's center-. Journal of the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31: 409-419. 

  14. Lee, S. S.(2013) A Study on the Space Planning Direction of Healing Garden based on Residential Feng Shui. Master's Thesis, Youngsan University. Korea. 

  15. Park, S. K. and J. M. Moon(2011) A study on the design research tendencie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Focused on the theses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nstitu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4): 21-28. 

  16. Park. S. H., D. S. Ahn and C. M. Park(2008). Analysis on the preference of women on the healing gard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2): 11-20. 

  17. Park, W. K.(2016) Study on the plants-preference patter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enneagram) for the creating of healing garde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 Restoration Technology 19(6): 31-40. 

  18. Shin, Y. J., S. E. Hyoung and J. P. Hong(2013) A basic study on extraction of healing design elements for silver generation. Journal of Digital Interaction 10 Design 12(4): 9-20. 

  19. Sung, Y. J., J. Y. An and J. K. Paik(2013) A review of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guidelines of the supportive design of healing environment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1): 507-523. 

  20. Seo, Jung-geun(2000) Horticultural Therapy. Seoul: Dankook University Press. 

  21. Son, K. C., M. G. Cho, J. E. Song, S. Y. Kim and S. S. Lee(2006)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Horticultural Therapy. Seoul:Coo book. 

  22. Clare Cooper Marcus and Naomi A. Sachs(2014) Therapeutic Landscapes. New Jersey: John Wiley & Sons. 

  23. Marcus, C. and M. Barnes(1999) Healing Gardens. New York: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