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유발제인 알루미늄으로 손상된 배양 C6 Glioma 세포에 대한 금은화 추출물의 보호 효과
The Protective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 on Cultured C6 Glioma Cells Damaged by Aluminum of Dementia Inducer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3, 2017년, pp.271 - 278  

정재윤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산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  정인주 (동신대학교 뷰티미용학과) ,  제갈승주 (원광보건대학교 임상병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매유발제인 염화알루미늄(aluminum chloride, $AlCl_3$)의 세포독성을 대뇌교종세포인 C6 glioma 세포를 대상으로 산화적 손상측면에서 조사하였으며, 또한 $AlCl_3$의 세포독성에 대한 금은화(Lonicerae flos, LF) 추출물의 영향을 세포생존율을 비롯한 DPPH-라디칼 소거능, superoxide anion-radical (SAR) 제거능 및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 LP) 억제능과 같은 항산화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 배양 C6 glioma 세포에 $120{\sim}160{\mu}M$$AlCl_3$가 각각 포함된 배양액에서 처리한 결과 처리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생존율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 때 $XTT_{50}$값은 $128.8{\mu}M$에서 나타나 중간독성(mid-toxic)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인 BHT는 $AlCl_3$의 세포독성을 유효하게 방어하였다. 한편, $AlCl_3$의 세포독성에 대한 금은화(LF) 추출물의 영향에 대한 조사에 있어서, LF 추출물은 $AlCl_3$에 의하여 감소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킴으로써 세포독성을 방어하였다. 이와 동시에, LF 추출물은 DPPH-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하여 SAR 제거능 및 LP 억제능을 보임으로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위의 결과로부터 $AlCl_3$의 세포독성에 산화적 손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또한 LF 추출물은 $AlCl_3$의 독성을 항산화능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어하였다. 따라서, LF 추출물과 같은 천연성분은 알루미늄과 같이 산화적 손상과 관련된 치매유발제의 독성을 방어함으로써 차후 치매와 같은 산화적 손상 관련의 질환 치료를 위한 항산화 물질로서의 개발적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aluminum chloride ($AlCl_3$), and the protective effect of Lonicerae flos (LF) extract on $AlCl_3-induced$ cytotoxicity in the cultured C6 glioma cells. Here, the cell viabil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such as DPPH-r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근래에 세포배양기법이 빠르게 발전되면서 독성물질의 독성정도를 비롯하여 신약제의 효능분석 및 안전성 검정과 같은 다양한 분석도구로 활용되고 있다[14]. 본 연구는 치매유발제인 염화알루미늄(AlCl3)의 세포독성을 산화적 손상 측면에서 조사하였으며, 동시에, AlCl3에 대한 금은화 추출물의 영향을 항산화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치매(dementia)는 혈관손상에 의한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VD)와 연령증가에 따른 노인성 치매인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으로 구분된다[1]. 최근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AD가 사회적 문제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AD의 발병에는 어떤 인자들이 작용하는가? 최근 대부분 선진국에서는 급속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AD가 사회적 문제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AD의 발병에는 많은 요인들이 관여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염색체에 의한 유전적 요인을 비롯하여 신경전달물질, 신경영양인자 및 유해중금속류 등 다양한 인자들이 작용하고 있다[2]. 처음으로 발견된 알츠하이머병에서 관련유전자는 21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β-amyloid precursor protein (βAPP)으로 밝혀졌으며[3],이 밖에도 apoprotein E (APOE)나 presenilin (PS) 역시 AD의 발병 가능성을 높여 준다고 알려져 있다[4].
인동덩굴의 건조 꽃봉오리의 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인동덩굴은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데 주로 산비탈의 덤불속에 서식하고 있으며, 맛은 달고 성은 냉하여 오래전부터 관절염을 비롯한 종독, 임파선염 및 인후염의 치료에 사용하여 왔었다[12]. 금은화의 성분으로는 saponin을 비롯하여 luteolin, tannin, triterpenoid glycoside, loniceran과 같은 다양한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페놀화합물 또는 플라보노이드 계통인 luteolin이나 tannin 성분이나 saponin 같은 성분들은 항산화를 비롯한 항염이나 항균작용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11]. 금은화의 효능은 시험관 내에서는 물론 생체에서도 동물을 대상으로 피부염과 같은 질환에 대해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4], 치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Ellis JM. Cholinesterase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dementia. J Am Osteopath Assoc. 2005;105(13):145-158. 

  2. Kim SJ, Yu YW, Lee JK. Cytotoxicity and protective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on cultured neuroglioma cells damaged by aluminum of dementia-induced agent. J Kor Soc Plants Environ. 2013;16(5):251-256. 

  3. Kourie JI. Mechanisms of amyloid beta protein-induced modification in ion transfort systems; implications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 Cell Mol Neurobiol. 2001;21(3):173-213. 

  4. Kim SC, Lee JR, Choi KI, Park ST, Kwon YK, Byun SH. Effect of Lonicerae flos on contact hypersensitivity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Kor J Herbol. 2006;21(1):9-15. 

  5. Bryan-Sisneros AA, Fraser SP, Suh YH, Djamgoz MB. Toxic effect of the beta-amyloid precursor protein C-terminus fragment and Na+/ $Ca^{2+}$ gradients. Neuroreport. 2000;11(15):3357-3360. 

  6. Stephen LY, Loyd HB, June KA, Joyce MA, Michael DD, Paula BE, et al. Amyloid ${\beta}$ and amylin fibrils induce increase in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chemokine production by THP-1 cells and murine microglia. J Neurochem. 2000;74(3):1017-1025. 

  7. Kontush A. Amyloid-beta ; an antioxidant that becomes a pro-oxidant and critically contributes to Alzheimer's disease. Free Radic Bio Med. 2001;31(19):1120-1131. 

  8. Kim YJ.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Parkinson's disease. J Kor Neurol Assoc. 2004;22(5):421-432. 

  9. Roger DG, Olivier F, Clank P, Courtosis M, Piriou A. Aluninum transfer as complex through blood-brain barrier. Biological Rrace Element Res. 1990;25(5):39-45. 

  10. Son YW, Choi YS. Protective of Chenopodium album var. exract by oxidative effect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damaged by cadmium.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15(3): 155-161. 

  11. Li YL, Gan GP, Zhang HZ, Wu HZ, Li CL, Hung YP, et al. A flavonoid glycoside isolated from Smilax china L. rhizome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n human cancer cell lines. J Ethnopharmacol. 2007;113(1):115-124. 

  12. Choi CW, Jung HA, Kang SS, Choi JS. Antioxidant constituents and a new triterpenoid glycoside from Lonicerae flos. Arch Pharm Res. 2007;30(1):1-7. 

  13. Kwon SH, Kim HC, Lee SY, Jang CG. Loganin improves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scopolamine in mice. Eur J Pharmacol. 2009;619(1):44-49. 

  14. Kim TY, Jekal SJ. Antioxidative effect of Chelidonium majus extract on cultured NIH3T3 fibroblasts injured by cadmium chloride of toxicant. Kor J Clin Lab Sci. 2016;48(1):1-7. 

  15. Han DS, Baeck KH, Kim YO, Choi KE, Kwag JS, Baeck SH. Development of anticancer age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Part 6. Cytotoxic activity of the ethyl acetate soluble fraction of Lonicerae flos against human oral epithelioid carcinoma cells. Kor J Pharmacogn. 1998;29(1):22-27. 

  16. Zhang X, Guo Q, Yu B. Rapid quantitative analysis of adulterant Lonicera species in preparations of Lonicerae Japonicae flos. J Sep Sci. 2015;38(23):4014-4020. 

  17. Park ST, Lim KT, Chung YT, Kim SU. Methymercury-induced neurotoxicity in cerebral neuron culture is blocked by anti-oxidants and NMDA receptor antagonists. Neurotoxicol. 1996; 17(1):37-46. 

  18.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1983;65(1-2):55-63. 

  19.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181(4617):1199-1200. 

  20. Kikuzaki H. Nakatani N. antioxidant effects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1993;58(6):1407-1410. 

  21. Borenfreund E, Puerner JA. A simple quantitative procedure using monolayer culture for cytotoxicity assay (HTD/NR-90). J Tiss Cult Meth. 1984;9(1):7-9. 

  22. Verstraeten SV, Amio L, Oteiza PI. Aluminum and lead molecular mechanisms of brain toxicity. Arch Toxicol. 2008;82(11): 789-802. 

  23. Deloncle R, Guillard O. Mechanism of Alzheimer's disease: arguments for a nerotransmitter-aluminum complex implication. Neurochem Research. 1990;15(12):1239-1245. 

  24. Waltz JA, Knowlton BJ, Holyoak KJ, Boone KB, Back-Madruga C, McPherson S, et al. Relational integration and executive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Neuropsychology. 2004;18(2): 296-302. 

  25. Kim SE, Yang BS, Choi YS. Cytotoxicity and effect of Lonicerae flos extract against chromium, contact dermatitis-induced agent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2012;15(6):407-412. 

  26. Kwak WJ, Han CK, Chang HW, Kim HP, Kang SS, Son KH. Loniceroside C , an antiinflammatory saponin from Lonicerae japonica. Chem Pharm Bull. 2003;51(3):333-335. 

  27. Ma J, Luo XD, Protiva P, Tang H, Ma C, Basile MJ, et al. Bioactive novel polyphenols from the fruit of Manikara zapota (Sapodolla). J Nat Prod. 2003;66(7):983-986. 

  28. Rim BM, Rim CW, Choi YJ, Chung YS, Jeong HG. Effects of Lonicerae japonica extract as a biological response modifier. Environ Mut Car. 1992;12(1):45-54. 

  29. Oh YL, Choi YR, Chang BS, Jung IJ. Antioxidative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gent, copper in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J Invest Cosm. 2012;8(4):243-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