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기계 사고와 안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A Review of Studies on Injury and Safety of the Agricultural Machine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11 no.3, 2017년, pp.223 - 229  

곽효연 (수원과학대학교 산업경영과) ,  손병창 (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농기계 사고 대책 및 안전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농업기계로 인한 안전을 다룬 연구는 사고 현황 조사와 사고조사 방법의 문제를 제기한 연구들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농기계 안전사고의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국가차원과 포괄적인 농작업 재해 테두리 내에서 다루어지고 있었다. 안전사고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연구는 농기계 종류에 따른 사용자 요구 분석과 관리적, 교육적, 재정적 지원책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었다. 또한 보다 적극적으로 농기계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서 고령자의 기능과 능력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any accidents occurred by agricultural machines and comprehended the safety for trends in the current research. The researches pertaining to the safety for agricultural machines are identified by two different methods: scrutinizing the statistical data for accidents and sugges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이에 대 한 적절한 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기계 사고 대책 및 안전에 대한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농업 기계와 관련된 안전 연구와 농업인의 안전에 관련된 최근의 연구현황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여 증가하고 있는 농작업 안전사고 경감을 위한 대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기계 안전관리가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농업 분야의 고도화 및 노동력 감소로 인해 농기계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농기계 안전 확보에 대한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농기계 안전은 작업자의 상해를 중요시 한다는 것은 다른 산업과 유사하지만, 안전관리의 책임이나 사고 후 대응이 사업자나 국가가 아닌 개인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사회적으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농업인이 체감하는 위험성 수준에 대한 인식은 낮은 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작업환경은 다른 산업에 비하여 위험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비율은 높은 추세에 있다[1-2].
농기계 안전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농업 분야의 고도화 및 노동력 감소로 인해 농기계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농기계 안전 확보에 대한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농기계 안전은 작업자의 상해를 중요시 한다는 것은 다른 산업과 유사하지만, 안전관리의 책임이나 사고 후 대응이 사업자나 국가가 아닌 개인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사회적으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농기계 안전사고의 발생비율이 높은 추세에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농기계 안전은 작업자의 상해를 중요시 한다는 것은 다른 산업과 유사하지만, 안전관리의 책임이나 사고 후 대응이 사업자나 국가가 아닌 개인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사회적으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농업인이 체감하는 위험성 수준에 대한 인식은 낮은 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작업환경은 다른 산업에 비하여 위험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비율은 높은 추세에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 H. Lee and S. H. Kang, "A Study on Approach of the Ergonomic Case Study Analysis to Agricultural Machinery Safety", Proceedings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pp.306-311, 2009. 

  2. H. S. Kim, "Agricultural Accident of the Farm Worker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007. 

  3. K. S. Lee, G. R. Kim, H. C. Kim and K. S. KIm, "Korea's Agricultural Work Disasters and Research Trend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05. 

  4. http://riss4u.net 

  5. http://dl.nanet.go.kr 

  6. http://farmer.rda.go.kr 

  7. Y. D. Go, "Research on the Accident Situation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at Mungyeong & Yecheon)", Sangju University, 2003. 

  8. S. Y. Shin, B. G. Kim, J. H. Yun and Y. B. Lee, "Current Status on Farm Work Accidents of Agricultural Machiner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vol. 9, no.1, pp. 252-255, 2004. 

  9. S. Y. Shin, W. W. Lee, H. K. Kim, C. H. Kang and B. G. Kim, "Current Status on Farm Work Accidents of Agricultural Machiner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he Agricultural machinery, vol. 12, no. 2, pp. 329-333, 2007. 

  10. Y. H. Choi and H. S. Kim, "Modelling on Complex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18, no. 4, pp. 643-650, 2007. 

  11. K. S. Kim, K. R. Kim, H. C. Kim and K. S. Lee, "Status of Korean Older Farmers' Agricultural Injuries and Diseas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Vol. 2005, pp.144, 2006. 

  12. S. J. Le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ork Related Disasters Using Farmer Safety Exemption Data", Farmers' Health Study Group presentation materials, 2009. 

  13. S. J. Lee, "The Actual Situation of Farmers' Health and Safety related to Agricultural Work in Korea", Farmers' Health Study Group presentation materials, 2012. 

  14. K. S. Lee, K. R. Kim and H. C. Kim, "Agricultural Disorder and Occupational Accident and Injury of farmers",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Medicine, 2007. 

  15. Y. S. Ahn, "Occupational Disasters and Diseases of Farmers, Forestry Workers and Fishermen", Farmers' Health Study Group presentation materials, 2009. 

  16. S. Y. Yun, J, W. Lee, G. D. Kim and Y. S. Kim, "Accident Analysis in Forest Operations and Agriculture Operation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02. 

  17. Y. J. Kwon, H. J. Lim, K. S. KIm and K. R. Kim, "Status of Agricultural Accidents - Focused on Accidental Damage", Rural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2009. 

  18. K. R. Kim, S. B. Kim, K. S. Lee, H. C. Kim and J. H. Song, "Analysis of Agricultural Accident Cause using Logic Tree Method",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vol.41, pp.73-74, 2008. 

  19. H. S. Chae, K. R. Kim, S. B. Kim, K. S. Lee and H. C. Kim, "A Cause Analysis of Agricultural Accident Cas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vol. 42, pp. 601-602, 2009. 

  20. G. H. Choi, K. S. Lee, K. R. Kim, H. C. KIm and H. S. Chae, "Establishment of Agriculture Work Accident Status and Cause Statistic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 

  21. H. S. Lim, "Cohort Study for Investigation of the Causes in Agricultural Injuries and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vol. 31, no. 2, pp.119-144, 2006. 

  22. D. Y. Park, M. H, Yoon, Y. K. Gee, Y. J. Choi and J. H. Lee, "A Study of Safety Guideline and Customer Needs on Agricultural Machinery",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and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pp. SB5-5-SB5-8, 2004. 

  23. J. C. Song, S. J. Lee, Y. J. Kown, S. H. Yoo, Y. K. Kim and E. C. Jang, "Development and Operation Plan of Agricultural accident Monitoring System",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2005. 

  24. J. W. Koh, S. C. Kwon, K. R. Kim, K. S. Lee, E. C Jang, Y. J. Kwon, S. H. Ryu, S. J. Lee and J. C. Song,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rveillance System for Agricultural Injuries in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vol. 32, no. 3, pp.139-153, 2007. 

  25. B. S. Kim, "A Study on Model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gricul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Theses Collection, vol. 44, pp. 77-81, 2009. 

  26. K. S. Lee, H. C. Kim and H. S. Cha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vention and Assurance System of Agricultural Injuries and Disease",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vol. 11, pp. 184-188, 2011. 

  27. K. S. Lee, K. R. Kim, H. C. Kim and K. S. Kim, "A Study on Incident Management System in Farmer's Work",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2006. 

  28. Y. C. Kim, Y.S Shin, M. S. Lee, G. D. Song, K. S. Park, C. S. Park and C. W. Hong,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griculture Safety Manager", Proceedings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2010, no. 5, pp.1-5, 2010. 

  29. J. M. Kim, J. H. Lee, M. Y. Kong and Y. J. Lee, "Job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based on Rapid Prototyping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42, no. 4, pp.1-26, 2010. 

  30. J. M. Kim, T. S. Lee, K. S. Lee, K. R. Kim, D. H. Kil, H. C. Kim, C. Lee, "Developing an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Training Program Based on ISD Mode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39, no. 3, pp. 69-95, 2007. 

  31. K. S. Park, C. H. Kim, K. S Lee, K. R. Kim and H. C. Kim,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Safety Supervision on Farm Work and Life Environment of Farmer", Proceedings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2008, no. 10 pp. 306-311, 2008. 

  32. J. S. Kim, H. J. Jeon and Y. W. Byun, "A Scheme of Compensation System for Farmers' Accidents in Korea", Journal of Social Security, vol. 26, no.1 , pp.209-231, 2010. 

  33. NAAS, "A Study on a Institutionalization Support for the Social Security Insurance and Prevention project Development against Accidents for Farmers", 2011. 

  34. B. C. Son, "A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Safety Enhancement for the Convenience Equipment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2013. 

  35. B. C. Son, Y. S. Lee, G. S. Park and Y. G. Gong, "Development of Evaluation and Measurement Method to Improve Convenience Equipment Safet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s,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