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 비교 -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
The Comparisons of Perception for Operation Form among Science Academy, Science High School, and Ordinary High School : Focusing on Educational Experiences of Beneficiaries of Science-Gifted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4, 2017년, pp.625 - 636  

박경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류춘렬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운영 형태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이 중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큰 핵심 변인은 무엇인지 과학영재교육 수혜자의 인식을 토대로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혜자 288명을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육 경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후 응답 결과를 졸업한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대유사체계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및 교원 운영 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수혜자들의 교육경험을 토대로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의 교육과정 운영 및 교사 전문성 측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 걸쳐 과학영재학교일수록 만족도가 높고 과학고, 일반고로 갈수록 만족도가 낮았다. 셋째,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형태에 대한 수혜자들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의 운영 형태에 차이를 보이는 핵심 변인은 교육과정 측면의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및 학습 환경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향후 영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form of science academy, science high school, and ordinary high school. We tried to find what kinds of variables differ in operation form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beneficiaries. For this purpose, 288 beneficiaries wer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대유사체계 분석기법을 활용해 비교한 결과 교원 운영, 교육과정 운영, 수업 운영 등은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상이성을 보이는 변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는 문헌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고등학교 유형별 운영 형태 중에서 상이성이 큰 교육과정 및 교원 측면을 중심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영재 교육과정과 관련된 교육내용, 교수-학습과정, 학생 산출물, 학습환경과 교원과 관련된 교사 전문성에 대한 설문을 토대로 졸업한 고등학교 유형이 다른 수혜자들의 인식을 비교해 보았다.
  • 이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및 일반고가 운영 형태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 이 중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큰 핵심변인은 무엇인지를 수혜자의 인식 차원에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및 일반고의 운영 형태를 비교하고, 그 결과 도출된 여러 변인 중에서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큰 핵심 변인은 무엇인지를 과학영재교육 수혜자들의 교육 경험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및 일반고의 운영 형태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하고, 그 결과 도출된 여러 변인 중에서 차이가 큰 핵심 변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중학교 시절 다양한 영재교육 경험을 가지고 있으면서 과학영재학교, 과학고, 일반고 등 졸업한 고등학교 유형이 서로 다른 과학영재교육 수혜자(이하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했던 고등학교의 운영 형태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한편, 영재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 선발, 교육프로그램, 학습 환경 및 교육 인프라 등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영재 교육과정은 과학영재의 능력수준, 학습속도 및 요구, 흥미와 관심에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을 적절한 방법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교육 효과를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영재교육에서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Lee & Kim, 2007).
초기의 과학고가 ‘영재교육’이라는 개념을 명확히 도입하여 대학 입시에 대한 부담 없이 과학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과 교육방법을 적용하여 매우 도전적이고 실험적인 교육을 실시한 결과는? , 2011). 그 결과 과학고 졸업생들이 수학, 과학 분야의 재능을 발휘하면서 국내 유수 이공계열 대학에 높은 진학률을 보이는 등의 성공을 거두게 된다. 이에 고무된 각 지방자치단체들이 경쟁적으로 과학고를 설립하여 졸업생의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입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현상을 초래하였으며(Seo & Son, 2007), 1996년 과학고 졸업생에게 적용되어 온 비교내신 성적제도가 폐지되면서 과학고의 교육과정은 설립취지에 부합한 영재교육보다는 대학입시에 초점을 맞춘 교육과정이 운영되었다(Jung et al., 2006).
과학영재학교의 문제점은? 이처럼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는 일반고와는 달리 우수 과학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지만 설치 근거가 되는 법령의 차이로 인해 운영상에 많은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즉, 과학영재학교는 영재교육진흥법 상의 새로운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으로 지정되어 과학영재의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성이 보장된 반면, 과학고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90조 5항에서 ‘과학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계열의 고등학교’로 정의하고 있어 과학 분야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구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있지만 설치 근거법령의 영향으로 인해 학생선발, 교육과정, 교원정책 및 행⋅재정적 지원 등 학교 운영에 대한 지원 체계에 많은 제약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Jung et al., 2006; Kwon & Sim, 2010). 이와 같은 설치 근거 법령의 차이로 인해 과학고를 과학 분야의 영재교육기관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M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S., Yoon, J., Park, S., Kim, H., Kim, S., Jung, H., & Kim, T. (2004).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special high schools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 Gallagher, J. & Gallagher, S. A. (1994). Teaching the gifted child. Boston: Allyn & Bacon. 

  3. Han, K. & Yang, T. (2009).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al program: The case of C gifted education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2), 137-155. 

  4. Jung, H. & Heo, N. (2015). Elements and changes of teacher expertise for the science gifted: Focused on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in science high school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5(2), 183-194. 

  5. Jung, H., Kim, H., Lee, Y., & Chae, Y.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gifted science high school. Daejeon: KAIST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6. Jung, H., Seo, H., Choi, H. Son, J., & Yoo. H. (2006). A study on the reform of high school system for the gifted in science.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7. Kang, C. (2011). A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 insurance system of Korea and Taiwan.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27(1), 351-374. 

  8. Kang, K. & Chung, C. (2012). The perce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of a university-affiliated gifted education center toward its educational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4), 751-759. 

  9. Kim, J. (2013). Applying the mixed cases design: A cross cases analysis of the parliamentary stability in Fiji, Vanuatu, and Samoa. Comparative Democratic Studies, 9(2), 109-128. 

  10. Kim, K. & Sim, J. (2008).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act of R&E program based on KAIST freshman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4), 282-290. 

  11. Kim, Y. & Kim, H. (2010). A study of recognition for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ing educated at local centers for the gift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2), 192-205. 

  12. Koh, E. & Jeong, D. (2014). Study on korean teachers' perception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of core competencies in science education worldwi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35-547. 

  13. Kwon, J. & Sim, J. (2010). A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management between general high school, science high school and science academy. Biology Education, 38(1), 84-101. 

  14. Lee, J. & Kim, H. (2007). The comparison and reform of curriculum of the high school for the gifted.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6(1), 5-22. 

  15. Maker, C. J. & Nielson, A. B. (1996). Curriculum development and teaching strategies for gifted learners (2nd ed.). Texas: Austin. 

  16. Min, C., Kim, W., Park, K., Um, M., Park, Y., & Woo. S. (2010). Research for amending the law and regulation of securing talented students. Seoul: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17. Park, K., Ryu, C., Choi, J., & Jung, H. (2016). An analysis o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recipients' perception for education program us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6(3), 427-447. 

  18. Park, K. & Seo, H. (2005).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to educational program of Korea Science Academy.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3), 159-185. 

  19. Renzulli, J., Smith, L., White, A., Callahan, C., & Hartman, R. (1976).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Center. 

  20. Seo, H. & Son, J. (2007).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science high school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2), 197-219. 

  21. Seo, H., Jung, H., Son, J., Choi, K., Ha, B., Park, J., & Seong, Y. (2006). Directions for establishment of a science academy in Gyeonggi-Do. Gyeonggi: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2. Stake, J. E. & Mares, K. R. (2005). Evaluating the impact of science-enrichment programs on adolescents' science motivation and confidence: The splashdown eff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2), 359-375. 

  23. Tyler, R. (2007). School innovation in science: A model for supporting school and teacher development.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 189-216. 

  24. Yeum, S., Jang, K., Kim, S., Chung, B., & Park, J. (2008). Evaluating the impact of educational programs at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by its graduate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1), 100-110. 

  25. Yuk, K. & Moon, J. (2004). A longitudinal study of the achievement and effect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o have taken a ultra high speed accelerated education for the early entrance of KAIST.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4(2), 1-18.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