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계란 단백질 가수 분해물 제조 및 한외여과 분획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특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Ogae (Korean Native Black Fowl) Egg White Protein Hydrolysates Fractionated by Ultrafiltration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3, 2017년, pp.673 - 682  

하유진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김슬기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유선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 및 동물성 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형태의 단백질 가수 분해물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연산오계란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Ultrafiltration를 이용하여 HDS(분획되지 않은 가수 분해물), 1 kDa, 5 kDa, 10 kDa, 50 kDa로 분획된 기능성 펩타이드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Fe^{2+}$ chelation ability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최대값은 1 kDa(70.83 %),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최대값은 5 kDa (47.01 %),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최대값은 5 kDa(40.57 %), $Fe^{2+}$ chelation ability 최대값은 5 kDa(29.87 %)로 나타났다. Ultrafiltration를 이용하여 fractionation된 단백질 가수 분해물의 항산화 저해 능력 $IC_{50}$ 평가하였다. 그 결과 HDS의 최대값은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IC_{50}$, 5.42 mg/ml)이고, 1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1.67 mg/ml)이고, 5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2.09 mg/ml)이고, 10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2.61 mg/ml)이고, 50 kDa의 최대값은 $Fe^{2+}$ chelation ability($IC_{50}$, 4.53 mg/ml)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5 kDa를 이용하여 오계란 단백질에서 분획한 펩타이드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tein hydrolysates derived from plants and animals having antioxidant, suppression of hypertension, immunodulatory, alleviation of pain, and antimicrobial activity has been known as playing important role like hormone. This study was fractioned to hydrolysis of Ogae egg white protein using the ul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DPPH의 측정 방법은 산소인 free radical이 생체 고분자들인 지질 단백질 등과 결합하여 피부의 노화 및 질병을 유발하는 물질로 밝혀진 이래로 항산화 물질의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 이용되고 있다[17].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18].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결건조분말 가수 분해물을 DIW(deionized water)에 용해를 한 다음 10 kDa 한 외막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 Hydroxyl radical 에 대한 소거활성 측정은 Fan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19].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결건조분말 가수 분해물을 DIW에 용해를 한 다음 10 kDa 한 외막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Yu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20].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결건조분말 가수 분해물을 DIW에 용해를 한 다음 10 kDa 한 외막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 chelation ability이 다르게 나타났다. 가수 분해물들의 항산화 저해 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각각 가수 분해물에 대하여 IC50 평가하였다. (Table 1).
  • Fe, Cu, Ni 등과 같은 금속은 지질산화과정에서 촉매로 작용한다[36]. 금속 킬레이트 능력은 ferrozine이 Fe2+와 결합하여 붉은색을 띠게 되는데 이때 킬레이트 효과를 가진 성분이 존재하면 Fe2+-ferrozine 복합체 형성을 방해하여 붉은색이 탈색되어 흡광도가 저해되는 정도를 지표로 하여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였다[37]. 또한 일부 단백질과 펩타이드는 Fe2+와 같은 금속 이온을 킬레이트 한다고 보고되었고, 산성 및 염기성 아미노산이 펩타이드에 의한 Fe2+ chelation ability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산성 아미노산과 염기성 아미노산의 측쇄에 있는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는 단백질과 펩타이드의 Fe2+ chelation ability에 관여하기 쉽다고 한다[38].
  • 혼합물은 30분간 실온에서 암실 보관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였다. 대조구로는 ascorbic acid를 이용하였으며 시료와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아래의 식에 의해 값을 산출하였다.
  • 수거된 가수분해 상등액은 초저온 냉동고(-50 ℃)에서 동결 후 동결 건조하였다. 동결 건조된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정제수에 용해하였고, 분획 전 가수 분해물을 HDS(hydrolysates)로 명하고, 1 kDa, 5 kDa, 10 kDa, 50 kDa 의 ultrafiltration을 이용하여 각각 분획하여 항산화 능력을 분석하였다. Fig 1.
  • Hydroxyl radical 에 대한 소거활성 측정은 Fan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19].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결건조분말 가수 분해물을 DIW에 용해를 한 다음 10 kDa 한 외막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표준물질 제조는 ascorbic acid 10 mg을 10 mL DIW에 혼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연산오계란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Ultrafiltration를 이용하여 1 kDa, 5 kDa, 10 kDa, 50 kDa로 분획된 기능성 펩타이드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elation of metal ion radical activity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오계란 단백질 가수 분해물을 1 kDa, 5 kDa, 10 kDa, 50 kDa ultrafiltration를 이용하여 분획된 기능성 펩타이드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및 Fe2+ chelation ability을 평가하였다.
  • 시료용액의 Metal chelating effect는 Gulcin의 방법을 약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21]. 동결건조 분말 가수 분해물을 DIW에 용해를 한 다음 10 kDa 한 외막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 공급된 오계란은 100 ℃ 항온수조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오계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였으며 흰자만을 골라내어 골고루 다진 후 – 20 ℃ 냉동 보관하였다. 연산오계란 단백질의 가수분해는 Bromelain을 선발하여 처리하였다. 시료의 10 % PBS buffer를 넣고 효소처리는 발효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3 %를 혼합한 후 반응기에서 50℃, 100 rpm,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18].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결건조분말 가수 분해물을 DIW(deionized water)에 용해를 한 다음 10 kDa 한 외막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추출된 시료를 일정한 농도로(10 %) 증류수에 용해한 후 시료가 포함된 용액 2 mL와 DPPH-radical(0.
  • Hydroxyl radical 에 대한 소거활성 측정은 Fan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19].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동결건조분말 가수 분해물을 DIW에 용해를 한 다음 10 kDa 한 외막을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표준물질 제조는 ascorbic acid 10 mg을 10 mL DIW에 혼합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된 오계란은 지산농원(Nonsan, Choongnam, Korea)에서 제공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bromelain은 대종상사(Seoul,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항산화활성 측정에 사용된 시약 DPPH-radical, ascorbic acid, 1,10-phenanthroline, FeSO4, hydrogen peroxid, Tris–HCl buffer(pH 8.
  • 본 실험에 사용된 연산 오계란은 지산농원에서 제공되었다. 공급된 오계란은 100 ℃ 항온수조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여 오계 노른자와 흰자를 분리하였으며 흰자만을 골라내어 골고루 다진 후 – 20 ℃ 냉동 보관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된 오계란은 지산농원(Nonsan, Choongnam, Korea)에서 제공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bromelain은 대종상사(Seoul, Korea)로부터 구입하였다.
  • 항산화활성 측정에 사용된 시약 DPPH-radical, ascorbic acid, 1,10-phenanthroline, FeSO4, hydrogen peroxid, Tris–HCl buffer(pH 8.3), pyrogallol, FeCl2, methanol, ferrozine, ethylene diamine tetra acetic acid(EDTA)는 Sigma (Seoul, Korea)에서 구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hosvitin는 어떤 구조로 되어있는가? 천연기념물 265호로 지정이 된 한국 재래 오골계인 연산 오계는 예로부터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개선하는 식품으로 알려져 왔다. 특히 항암효과로 알려진 오계의 난황 단백질인Phosvitin은 아미노산 사슬의 50 % 이상을 인산화 된 serine이 차지하고 있는 특이한 구조로 되어있는데[2], 이러한 특이구조로 인해 phosvitin은 강력한 Fe2+ metal chelator로 작용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3], Fe2+ chelation ability으로 인해 phosvitin이 항산화제로서 금속이온에 의해 발생되는 지방 산패를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4, 5]. 이외에 닭 가공 공정 부산물 단백질, 닭 가슴살 단백질, 닭 날개 단백질, 난 단백질, 닭 피부 단백질로부터 기능성 펩타이드 생산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6-12].
막 분리는 무엇인가? 막 분리(membrane separation)는 환경 친화적이고 비교적 적은 공정비로 유용한 물질을 분획하는 기술이다[13]. 많은 연구들이 단백질 및 단백질 가수 분해물들의 분획을 pH, 온도, 이온강도 등 조건에 따라 막과 물질과의 상호 연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 되어 오고 있다[14].
항산화제의 프로톤공여 능력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의 어떤 지표를 통해 나타나는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DPPH radical이 항산화제와 같은 프로톤공여(proton donating) 물질과 반응하면 radical이 scavenging된다. 그리고 항산화제의 프로톤공여 능력에 따라서 짙은 보라색이 탈색되어 노란색으로 변하는 정도를 지표로 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E. Salminen, J. Rintala, "Anaerobic digestion of organic solid poultry slaughterhouse waste a review", Bioresour. Technol, Vol. 83, pp. 13-26, (2002). 

  2. RC. Clark, "The primary structure of avian phosvitins. Contributions through the Edman degradation of methylmercaptovitins prepared from the constituent phosphoproteins". Int. J. Biochem. Vol. 17, pp. 983-988, (1985). 

  3. G. Tarborsky, Interaction between phosvitin and iron and its effect on a rearrangement of phosvitin structure, Biochem.-US, Vol. 2, pp. 266-271, (1963). 

  4. I. Choi, C. Jung, H. Seog, H. Choi, "Purification of phosvitin from egg yolk and determination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od Sci. Biotechnol. Vol. 13, pp. 434-437, (2004). 

  5. S.K. Lee, J.H. Han, E. A. Decker, "Antioxidant activity of phosvitin in phosphatidylcholine liposomes and meat model systems". J. Food Sci. Vol. 67, pp. 37-41, (2002). 

  6. K. Elavarasan, B.A. Shamasundar, B. Faraha, H. Howell,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ovenand freeze-dried protein hydrolysate from fresh water fish (Cirrhinus mrigala)", Food Chemistry, Vol. 206, pp. 210-216, (2016). 

  7. I.V. Nikolaev, S. Sforza, F. Lambertini, D.Y. Ismailova, V.P. Khotchenkov, V.G. Volik, A. Dossena, V.O. Popov, O.V. Koroleva, "Biocatalytic conversion of poultry processing leftovers: Optimization of hydrolytic conditions and peptide hydrolysate characterization", Food Chemistry, Vol. 197, pp. 611-621, (2016). 

  8. Y.Y. Sun, D.D. Pan, Y.X. Guo, J.J. Li, "Purification of chicken breast protein hydrolysate and analysi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Vol. 50, pp. 3397-3404, (2012). 

  9. T. Mesut, E. Nevzat, O Serkan, "Efficient production of l-lactic acid from chicken feather protein hydrolysate and sugar beet molasses by the newly isolated Rhizopus oryzae TS-61Original", Food and Bioproducts Processing, Vol. 90, pp. 773-779, (2012). 

  10. F. Nahed, K. Naourez, H. Anissa, H.M. Ibtissem, D. Ines, N. Moncef, "Total solubilisation of the chicken feathers by fermentation with a keratinolytic bacterium, Bacillus pumilus A1, and the production of protein hydrolysate with high antioxidative activity", Process Biochemistry, Vol. 46, pp. 1731-1737, (2012). 

  11. O. John, O.G. Abraham, T.M. Sunday, A.A. Rotimi, E.A. Michel, "Kinetics of in vitro renin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by chicken skin protein hydrolysates and their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ournal of Functional Foods, Vol. 14, pp. 133-143, (2015). 

  12. S. Jain, A.K. Anal,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functional protein hydrolysates from chicken egg shell membrane (ESM) by ultrasonic assisted extraction (UAE) and enzymatic hydrolysis", LWT -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69, pp. 295-302, (2016). 

  13. L. Vandanjon, S. Cros, P. Jaouen, F. Quemeneur, P. Bourseau, "Recovery by nan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of marine flavours from seafood cooking waters". Desalination, Vol. 144, No.1-3, pp. 379-385, (2002). 

  14. Z.Y. Li, A.H. Kittikun, W. Youravong, "Separation of protease from yellowfin tuna spleen extract by ultrafiltration: Effect of hydrodynamics and gas sparging on flux enhancement and selectivity", Journal of Membrane Science, Vol. 311, No. 1-2, pp. 104-111, (2008). 

  15. L. Chabeaud, P. Vandanjon, P. Bourseau, M. Jaouen, F. Chaplain-Derouiniot, "Guerard Performances of ultrafiltration membranes for fractionating a fish protein hydrolysate: Application to the refining of bioactive peptidic fractions",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Vol. 66, No. 3, pp. 463-471, (2009). 

  16. K.C. Hsu, E.C.Y. Li-Chan, C.L. Jao,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tides prepared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tuna dark muscle o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MCF-7", Food Chemistry, Vol. 126, No. 2, pp. 617-622, (2011). 

  17. S.S. Pitchumoni, P.M. Doraiswamy, "Current status of antioxidant therapy for Alzheimer's disease", J Am Geriatr Soc., Vol. 46, pp. 1566-1572. (1998). 

  18. M.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 Nature, Vol. 18, pp. 1000, (2004). 

  19. X.B. Fan, C.J. Li, D.N. sha, "The establishment of o-phenanthroline chemiluminescent system for measuring OH radica", Basic Medical Sciences and Clinics. Vol. 18, No. 6, pp. 468-471. (1998). 

  20. W. Yu, Y. Zhao, Z. Xue, H. Jin, D. Wang,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lycopene concentrate extracted from tomato past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Vol. 78, No. 7, pp. 697-701. (2001). 

  21. I. Gulcin, "Antioxidant activity of caffeic acid (3,4 dihydroxycinnamic acid)". Toxicol., Vol. 217, No. 2, pp. 213-220, (2006). 

  22. I. Gulcin, D. Berashvili, A. Gepdiremen,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anthocyanins from Perilla pankinensis decne", J. Ethmopharmacol., Vol. 101, No. 1-3, pp. 287-293, (2005). 

  23. R.E. Aluko, E. Monu, "Functional and bioactive properties of quinoa seed protein hydrolysates", Journal of Food Science, Vol. 68, pp. 1254-1258. (2003). 

  24. A.T. Girgih, C.C. Udenigwe, R.E. Aluko,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hemp seed (Cannabis sativa L.) protein hydrolysate frac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Vol. 88, pp. 381-389, (2010). 

  25. I. Batista, C. Ramos, J. Coutinho, N.M. Bandarra,M.I. Nunes, "Characterisation of protein hydrolysates and lipids obtained from blackscabbard fish (Aphanopus carbo) by-produc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hydrolysates produced", Process Biochemistry, Vol. 45, pp. 18-24, (2009). 

  26. S.N. Jamdar, V. Rajalakshmi, A. Sharma,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properties of poultry viscera protein hydrolysate and its peptide fractions".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Vol. 36, pp. 494-501, (2012). 

  27. C.C. Udenigwe, Y.L. Lu, C.H. Han, W.C. Hou, R.E. Aluko, "Flaxseed protein-derived peptide fractions: Antioxidant properties and inhibition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s". Food Chemistry, Vol. 116, pp. 277-284, (2009). 

  28. H.C. Wu, H.M. Chen, C.Y. Shiau, "Free amino acids and peptides as related to antioxidant properties in protein hydrolysates of mackerel (Scomberaustiasicu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Vol. 36, pp. 949-957, (2003). 

  29. S. Sakanaka, Y. Tachibana, Y. Okada, "Prepar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f Japanese persimmon leaf tea (kakinoha-cha)". Food Chemistry, Vol. 89, pp. 569-575, (2005). 

  30. H. Agrawal, R. Joshi, M. Gupta,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peptide of pearl millet (Pennisetum glaucum) protein hydrolysate", Food Chemistry, Vol. 204, pp. 365-372, (2016). 

  31. T.Y. Kim, T.W. Jeon, S.H. Yeo, S.B. Kim, J.S. Kim, J.S. Kwak,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Korean J Food Nutr, Vol. 23, pp. 299-305, (2010). 

  32. H.W. Kang,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chorium endivi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 41, pp. 1487-1492, (2012). 

  33. K. Kitani, C. Minami, T. Yamamoto, S. Kanai, G.O. Ivy, M.C. Carrillo,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 N Y Acad Sci, Vol. 959, pp. 295-307, (2002). 

  34. D.X. Jin, X.L. Liu, X.Q. Zheng, X.J. Wang, J.F. He, "Preparation of antioxidative corn protein hydrolysates, purification and, evaluation of three novel corn antioxidant peptides", Food Chemistry 204, pp.427-436, (2016). 

  35. H.M. Li, X. Hu, P. Guo, P. Fu, L. Xu, X.Z. Zhang, "Antioxidant properties and possible mode of action of corn protein peptides and zein peptides".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Vol. 34, pp. 44-60. (2010). 

  36. M.Y. Yoo, S.K. Kim, J.Y. Yang,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nt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ol. 32, pp. 307-311, (2004). 

  37. E. Graf, J.W. "Eaton Antioxidant functions of phytic acid", Free Radic Biol Med, Vol. 8, pp. 61-69, (1990). 

  38. A. Saiga, S. Tanabe, T. Nishimura, "Antioxidant activity of peptides obtained from porcine myofibrillar proteins by protease treatment".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51, pp. 3661-3667, (2003). 

  39. A.T. Girgih, C.C. Udenigwe, R.E. Aluko,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hemp seed (Cannabis sativa L.) protein hydrolysate frac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Vol. 88, pp. 381-389. (2010). 

  40. D. Huang, B. Ou, R.L. Prior,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53, pp. 1841-1856,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