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xtracts from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lodes)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2, 2017년, pp.189 - 202  

이미란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강창희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  부희정 (제주대학교 생명과학기술혁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연구는 콜라비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콜라비는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조추출한 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을 이용하여 용매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총폴리페놀 함량 측정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총폴리페놀 함량($27.33{\pm}0.26mg\;GAE/g$)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IC_{50}\;172.9{\pm}1.6{\mu}g/mL$)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항염 활성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였으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염 활성을 보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전염증성 매개인자들에 대한 저해효과를 농도별로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콜라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NO, $PGE_2$ 생성과 iNOS와 COX-2 및 TNF-${\alpha}$, IL-6, IL-$1{\beta}$와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의 단백질 발현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콜라비가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가지는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lodes) extract. Kohlrabi was extracted using 7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sequentially with n-hexane, ethyl acetate and butanol. Antioxidative ability was evalu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폴리페놀 화합물들은 구조적인 특성상 생체 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천연항산화물로서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콜리비의 항산화 활성 효능 평가를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연관하여 ABTS 라디칼 소거 효능을 측정하여 그 상관관계를 확인코자 하였다. 실험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결과와 같은 경향인 EtOAc>BuOH>70%  EtOH>H2O>Hexane 순으로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Table 2)함으로써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비례적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재배된 자색 콜라비(Brassica Oleracea var. Gonglodes)의 항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7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용매 분획물들을 확보하여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 LPS를 자극한 후 NO, iNOS, COX-2 및 전염증성 cytokine을 유도하여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EtOAc 분획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NO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PGE2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색 콜라비 추출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기능성 식품 소재 자원으로 활용 가치가 있는지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매 분획을 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제작된 70% ethanol(EtOH)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들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를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갖는 분획물을 확인하였고, 염증성 매개인자인 NO, PGE2의 생성 억제 및 이를 합성하는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 억제와 염증성 cytokine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expressed as mean±SD of triplicate measureme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콜라비는 무엇인가? 콜라비(Brassica Oleracea var. Gonglodes)는 순무양배추라고도 하는데, 이름은 독일어 Kohl(양배추)과 rabic(순무)의 합성어로 만들어졌다. 양배추에서 분화된 두해살이풀로 원산지는 북유럽의 해안지방이며.
콜라비의 생리활성에 관한 기존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가? 비타민 C와 칼슘이 풍부하고 칼로리는 낮아 건강식품으로 많이 활용된다. 기존 콜라비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착즙액이나 부위별 혹은 새싹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 새싹으로부터 sterol 화합물 분리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활성 등이 되어있다[21,22,23,24].
활성 산소종 과다 생성에 의한 항상화시스템 기능 저하는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가? 그러나 염증과 관련된 인체질환이 야기되거나, 자외선, 공해물질, 화학약품, 스트레스 등의 환경적 요인들, 또는 비정상적인 대사 작용으로 인하여 활성 산소종이 너무 많이 생성되어 항산화시스템 기능이 저하되면 세포는 superoxide anion radical (O2•-)과 hydroxyl radical (․OH), 과산화수소(H2O2), hypochlorous acid (HOCl) 등의 활성산소를 과도하게 생성하게 되면 세포 구성성분과 강하게 반응하여 세포에 유해 작용을 가하게 된다. 그로 인하여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세포간질성분을 파괴시키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화, DNA 산화와 같은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손상의 결과로 고혈압, 협심증, 당뇨병, 암, 동명경화, 파킨슨병, 뇌졸중 등과 같은 성인병 및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2, 3, 4]. 현재 상용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 anisole (BHA),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는 단용 혹은 혼용으로 일정수준 이상 섭취 시 심각한 여러 질병을 유발 시킬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J. Nordberg and E. S. J. Arner, Reactive Oxygen species, antioxidants, and the mammallan thioredoxin system.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31(11), 1287 (2001). 

  2. Y. Duan, G. H. Kim, J. H. Seong, H. S. Chung, and H. S. Kim, Antioxidant activities of n-butanol and ethyl acetate extracts from Yam (Dioscorea batatas Decne).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32(4), 599 (2015). 

  3. E. A. Decker, A. D. Crum, and J. T. Calvert, Differences in the antioxidant mechanism of carmosine in the prescence of copper and iron. J. Agr. Food Chem, 40, 756 (1992). 

  4. S. I. Jeong, H. S. Kim, I. H. Jeon, H. J. Kang, J. Y. Mok, C. J. Cheon, H. H. Yu, and S. I. Ja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erilla frutesc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87 (2014). 

  5. S. H. You and J. S. Moon, A study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J. of Koreac Oil Chemists's Soc, 33(4), 762 (2016). 

  6. S. S. Chang, B. O. Matatijasevic, O. A. L. Hsieh, and C. H. Hwang, Natural antioxidants rosemary and sage. J. Food Sci, 42, 1102, (1977). 

  7. E. Schafer and L. Arnrich,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on serum and pulmonary fatty acid as prostaglandins in rats fed excess linoleic acid. J. Nutr, 144, 1130 (1984). 

  8. J. H. Ryu, H. Ahn, J. Y. Kim, and Y. K. Kim,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 Phytother. Res, 17, 485 (2003). 

  9. W. J. Yoon, J. A. Lee, K. N. Kim, J. Y. Kim, and S. Y. Park,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rtemisia fukudo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64 (2007). 

  10. T. Yayeh, H. Jung, H. Y. Jeong, J. H. Park, Y. B. Song, Y. S. Kwak, H. S. Kang, J. Y. Cho, J. W. Oh, S. K. Kim, and M. H. Rhee, Korean red ginseng saponin fraction downregulates proinfl ammatory mediators in LPS stimulated RAW264.7 cells and protects mice against endotoxic shock. J. Ginseng Res, 36, 263 (2012). 

  11. S. H. Oh, S. Y. Choi, N. R. Lee, J. N. Lee, D. S. Kim, S. H. Lee, and S. M. Park, Cell migration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s fermented with laetiporus sulphureu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40, 297 (2014). 

  12. V. Willeaume, V. Kryus, T. Mijatovic, and G. Huez, Tummor necrosis factor-alpha production induced by viruses and by lipopolysaccharides in macrophag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Journal of Inflammation, 46, 1 (1996). 

  13. D. Hwang, B. C. Jang, G. Yu, and B. Mary, Expression of mitogen-inducible cyclooxygenase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Biochem. Pharmacol, 54, 87 (1997). 

  14. J. Y. Kim, K. S. Jung, and H. G. Jeong, Suppressive effects of the kaweol and cafestol on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macrophases. FEBS Lett, 569, 321 (2004). 

  15. J. H. Ryu, H. Ahn, J. Y. Kim, and Y. K. Kim,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LPS-activated macrophage. Phytother. Res, 17, 485 (2003). 

  16. M. M. Mu, D. Chakravortty, T. Sugiyama, N. Koide, K. Takahashi, I. Mori, T. Yoshida, and T. Yokochi, The inhibitory action of querceti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J. Endotoxin. Res,7, 431 (2001). 

  17. M. E. Assar and J. Angulo, Oxidative stress and vascular inflammation in aging. Free Radic. Biol. Med, 65, 380 (2013). 

  18. R. Dubois, S. B. Abramson, L. Crofford, R. A. Gupta, L. S. Simon, L. B. A Van De Putte, and P. E. Lipsky, Cyclooxygenase in biology and disease. FASEB J, 9, 2045 (1998). 

  19. W. L. Smith, G. R. Michael, and D. L. De-Witt, Prostaglandin endoperoxide H synthases (cyclooxygenases)-1 and 2. J. Biol. Chem, 271, 33157 (1996). 

  20. S. K. Chang, W. C. Hyun, J. H. Kim, Y. J. Ko, S. M. Song, M. H. Ko, J. C. Lee, C. S. Kim, and W. J. Yoon, Anti-inflammatory effects on 80%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of Acrosorium yendoi Yamada in murin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Plant Res, 28, 574 (2015). 

  21. D. B. Kim, J. W. Oh, J. S. Lee, I. J. Park, J. H. Cho, and O. H. Lee,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and Purple Kohlrabi Jui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01 (2014). 

  22. M. J. Yang, S. S. Cha, and J. J. Lee, Effects of purple kohlrabi (Brassica olercea var. gongylodes) flesh and peel ethanol extract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Korean J Comunity Living Sci, 26, 405 (2015). 

  23. J. W. Lee, D. Y. Lee, J. G. Cho, N. I. Baek, and Y. H. Le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erol compounds from the red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sprouts. J. Appl. Biol. Chem, 53, 207 (2010). 

  24. Y. J. Lee, J. H. Kim, J. W. Oh, G. H. Shin, J. S. Lee, J. H. Cho, J. J. Park, J. H. Lim, and O. H. Le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kohlrabi and radish sprou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531 (2014). 

  25. Q. Zhang, J. Zhang, J. Shen, A. Silva, D. Dennis, and C. J. Barrow, A simple 96-well microplate method for estimation of total polyphenol content in seaweeds. J. Appl. Phycol, 18, 445 (2006). 

  26. R. Roberta, P. Nicoletta, P. Anna, P. Anath, Y. Min, and R. E. Catherine,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 1231 (1999). 

  27. H. J. Chei, H. J. Lee, B. G. Shin, I. C. Lee, and J. S. Hwang, Deoxypodophyllotoxin reduces skin pigmentation of brown guinea pigs. Planta Medica, 70, 378 (2004). 

  28. C. Giovannini, B. Scazzocchio, R. Vari, C. Santangelo, M. D'Archivo, and R. Masella, Apoptosis in cancer and atherosclerosis: polyphenol activities. Ann Ist Super Sanita, 43, 406 (2007). 

  29. A. L. Jeon, J. E. Kim and N. H. Lee,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 of Citrullus lanatus vines. J. Soc. Cosmet. Sci. Korea, 43(1), 53 (2017). 

  30. C. S. Ko, W. C. Hyun, J. H. Kim, Y. J. Ko. S. M. Song, M. H. Ko, J. C. Lee, C. S. Kim and W. J. Yoon, Anti-inflammatory effects on 80%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fraction of Acrosorium yendoi Yamada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Plant Res. 28(5), 574 (2015). 

  31. Y. Tezuka, S. Irikawa, T. Kaneko, A. H. Banskota, T. Nagaoka, Q. Xiong, K. Hase, S. Kadota, Screening of Chinese herbal drug extracts for inhibitory activity on nitric oxide 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ctive compound of Zanthoxylumbugeanum. J. Ethnopharmacol, 77, 209 (2001). 

  32. R. G Kim, K. M. Shin, S. K. Chun, S. Y. Ji, S. H. Seo, H. J. Park, J. W. Choi, K. T. Lee,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from Ligularia fischeri var. spiciformi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Yakhak Hoeji, 46, 343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