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활성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4 no.2, 2017년, pp.296 - 304  

유선희 (건국대학교 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아바 잎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 세포 내 ROS 측정, B16F10 melanoma cell 에서의 세포 독성 및 자외선A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 시험관 내 tyrosinase 억제 효과,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아바 잎 추출물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세포 내 ROS 활성 억제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에서의 세포 생존율이 모든 농도에서 98%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UVA로부터의 세포 보호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10%의 시험관 내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와 20%의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되었다. 구아바 잎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독성이 적고, 높은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통해 안전하고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진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of the Psidium guajava leaf extract as a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We measur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tracellular ROS, cytotoxicity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cytoprotective effect on ultraviolet A, in vitr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는 구아바 잎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를 가진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구아바 잎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고,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 및 UVA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멜라닌 생 합성 억제 및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미백 효과를 검증하고, 구아바 잎 추출물의 미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구아바 잎 추출물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통한 항산화 효과와 B16F10 melanoma 세포에서의 자외선으로 부터의 피부 세포 보호 및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를 연구하였다. 실험 결과 구아바 잎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92.
  • Tyrosinase는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속도 제한(ratelimiting) 효소로써, 멜라닌 합성의 중요한 조절 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다[41].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 내에서 구아바 잎 추출물이 0.1, 0.25, 0.5, 1 mg/mL 농도에서 tyrosinase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L-DOPA를 사용하여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tyrosinase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상백피 추출물[42,43]을 실험군과 동일한 농도로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아바는 무엇인가? 구아바(Psidium guajava)는 도금양과(Myrtaceae)에 속하는 아열대성 식물로써 Guava 혹은 Kuawa로 불려지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아열대성 기후대에 널리 분포 하고 있다[14]. 구아바는 예로부터 나무 껍질이나 잎, 열매 등을 약용으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급성 위장염이나 설사, 당뇨의 치료, 감기나 폐결핵, 항염증과 지혈제로도 사용하고 있다[15-18].
멜라닌의 과도한 생성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멜라닌(melanin)은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 세포로써,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과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피부 보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도한 생성은 기미, 주근깨, 검버섯, 점 등을 유발하고, 멜라닌 전구 물질의 독성으로 인하여 세포의 사멸과 피부 암 생성이 촉진되기도 한다[1,2]. 피부에서의 멜라닌 생 합성은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소체에서 L-tyrosine으로부터 일련의 반응 단계를 거쳐 생성 되어[3-7], 세포질 돌기를 통하여 표피의 기저층과 유극층의 각질화 세포로 운반되어 진다[8].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로 천연물질을 이용하고자 하는 관심이 증대된 이유는 무엇인가? tyrosinase는 멜라닌 중 합체를 생성하는 중요한 효소로 세포 내에서 활성화 되어 멜라닌이 과잉 생산되면 피부의 기미, 주근깨, 검버섯, 점 등의 색소 침착이 일어나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은 미백 원료 개발의 1차 screening 단계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보고되고 있다[10]. 현재까지 알려진 멜라닌 생성 억제 물질로는 arbutin, kojic acid, hydroquinone, oxyresveratrol, deroxybenzyl alcohol 등이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세포 독성이 강하고, 잠재적인 돌연변이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1-13]. 이에 따라 최근 독성이 적고, 다양한 생리활성 효능을 가진 천연물질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면서 천연물질 탐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hoi SY, Kim YC, Chang BS. Inhibitory efficacy of black tea water extract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nd its action mechanisms. Korean J Microscopy. 41, 169-77 (2011). 

  2. Urabe K, Aroca P, Tsukamoto K, Mascagna D, Palumbo A, Prota G. The inherent cytotoxicity of melanin precursors: a revision. Biochim Biophys Acta. 1221, 272 -278 (1994). 

  3. Kobayashi T, Urabe K, Winder, A, Jimenez-Cervantes C, Imokawa G, Brewington T, Solano F, Garcia-Borron JC, Hearing VJ. Tyrosinase related protein(TRP-1) functions as a DHICA oxidase activity in melanin biosynthesis. EMBO J. 13, 5818, (1994). 

  4. Curo EV, Kwong C, Hermersdorfer H, Glatt H, Santis C, Virador V, Hearing VJ, Dooley P. Inhibitors of mamalian melanocytes tyrosinase: In vitro comparisons of alkyl esters of gentisic acid with other putative inhibitors. Biochemical Pharmacology. 57, 663-672 (1999). 

  5. No JK, Soung DY, Kim YJ, Shim KH, Jun YS, Rhee SH, Yokizawa T, Chung HY. Inhibition of tyrosinase by green tea components. Life Science. 65, 241-246 (1999). 

  6. Prota G.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melanogenesis in mammals. J. Invest. Dermatol. 75, 122-129 (1990). 

  7. Lee SH, Park JS. Kim SY, Kim JJ, Chung SR. Isolation of inhibitory components of tyrosinase activity from the bark of Paeonia moutan. Yakhak Hoeji. 42, 353 (1998). 

  8. Bloom W, Fawcett DW. A Textbook of Histology, 11th ed., W.B. Saunders Company. USA, p. 543 (1986). 

  9. Del Marmol V, Ito S, Jackson I, Vachtenheim J, Berr P, Ghanem G, Morandini R, Wakamatsu K, Huez G. TRP-1 expression correlates with eumelanogenesis in human pigment cells in culture. FEBS Lett. 327, 307-310 (1993). 

  10. Lee SH, Kim SY, Kim JJ, Jang TS, Chung SY. The isolation of the inhibitory constituents on melanin polymer formation from the leaves of Cercis chinensis. Korean J. Pharmacogn. 30, 397-403 (1999). 

  11. Chakraborty AK, Funasaka Y, Komoto M, Ichihashi M. Effect of arbutin on melanogenic proteins in human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1, 206 (1998). 

  12. Liu SJ, Pan IH, Chu IM. Inhibitory effect of p-hydroxybenzyl alcohol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Biol. Pharm. Bull. 30, 1135-1139 (2007). 

  13. Shin NH, Ryu SY, Choi EJ, kANG SH, Chang IM, Min KR, Kim Y. Oxyresveratrol as the potent inhibitor on dopa oxidase activity of mushroom tyrosinase. Biochem. Biophys. Res. Commun. 243, 801-803 (1998). 

  14. Begum S, Hassa SI, Siddiqui BS, Shaheen F, Ghayur MN, Gilani AH. Triterpenoids from the leaves of Psidium guajava. Phytochemistry. 61, 399-403 (2002). 

  15. Fransworth NR, Bunyaprapatsara N. 1990. Thai medicinal plants recommended for primary health care in Thailand. Mahidol University, Bangkok, Thailand, 202-207 (1990). 

  16. Lozoya X, Reyes-Morales H, Chacez-Soto MA, Martinez- Garcia MC, Soto- Gonzalex Y, Doubova SV. Intestinal anti-spasmodic effect of a phytodrug of Psidium guajava folia in the treatment of acute diarrheic disease. J Ethenopharmacol. 83, 19-24 (2002). 

  17. Hong NL. Chinese Medicinal Herbs of Hong Kong. 2. Hand Chiewing Sa Kwang, Hong Kong. 104-105 (1998). 

  18. Misra K, Seshadri TR. Chemical components of the fruits of Psidium guajava. Phytochemistry. 7, 641-645 (1968). 

  19. Mercadante AZ, Steck A, Pfander H. Carotenoids from guava (Psidium guajava L.) :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J Agric Food Chem. 47, 145-151 (1999). 

  20. Miean KH, Mohamed S. Flavonoid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luteolin, and apigenin) content of edible tropical plants. J Agric Food Chem. 49, 3106-3112 (2001). 

  21. Meckes M, Calzada F, Tortoriello J, Gonzalez JL, Martinez M. Terpenoids isolated from Psidium guajava hexane extract with depressant activity on central nervous system. Phytother Res. 10, 600-603 (1996). 

  22. Lozoya X, Meckes M, Abou-Zaid M, Tortoriello J, Nozzolillo J, Arnason JT. Quercetin glycosides in Psidium guajava L. leaves and determination of spasmolytic principle. Arch. Med. Res. 25, 11-15 (1994). 

  23. Jaiarj P, Wongkrajang Y, Thongpraditchote S, Peungvicha P, Bunyapraphatsara N, Opartkiattikul N. Guava leaf extract and topical haemostasis. Phytother Res. 14, 388-391 (2000). 

  24. Tanaka T, Ishida N, Ishimatsu M, Nonaka G, Nishioka I. Tannins and related compounds. CXVI. Six new complex tannins, guajavins, psidinins and psiguavin from the bark of Psidium guajava L. Chem. Pharm. Bull. 40, 2092-2098 (1992). 

  25. Kim MJ, Choi HY, Kim SI.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Guavapyun Added Korean Guava Fruit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246-251 (2010). 

  26. Jeong SA.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uajava Leaf (Psidium guajava) depending on Extract Solvent.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012. 

  27. Heo YJ, Sim KH, Choi HY, Kim SI. Antioxidative Activity of Crackers Made with a Guava(Psidium guajava Linn.) Leaf Extract Harvested in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171-179, 2010. 

  28. Park SY, Kwon HJ. The beauty effects of cosmetics made from Guava leaf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Beauty Art Society. 6, 8-12 (2012). 

  29. Jin YJ, Kang SH, Choi SY, Park SY, Park JG, Moon SW, Park DB, Kim SJ. Effect of Fermented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Extract on Hyperglycemia in Low Dose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79-683, 2006. 

  30. Roh SG, Kim KH, Choi WC. Antidiabetic effects of leaves extracts of psidium guajava L. and Lagerstroemia speciosa L. in STZ-induced Rats. J. Life Sci., 19, 40-45 (2009). 

  31. Jo YH, Ok DL, Lee SC. Antiicrobi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uava against Food-Borne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73-1778, 2009. 

  32. Jeong CH, JeonG HR, Choi GN, Kwak JH, Kim JH, Park SJ, Kim DO, Shim KH, Choi SG, Heo HJ.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Guava (Psidiu guajava L.) Fruit and Leaf. Korean J Food Preserv, 18, 124-129, 2011. 

  33. Jo YH, Ok DL, Lee SC.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arts of Guava against Food-Borne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73-1778 (2009). 

  34.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35. You SH, Moon JS. A study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sibiricum extract. 

  36. Park BJ, Onjo M. Antioxidant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f. Korean J. Plant Res. 21, 408-412 (2008). 

  37. Chen H.Y. and G.C. Yen. Antioxidant activity and free radical-scavenging capacity of extracts from guava leaves. Food Chemistry. 101, 686-694 (2007). 

  38. Choi SY, Lim SH, Kim JS, Ha TY, Kim SR, Kang KS, Hwang IK. Evaluation of the estr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Technol. 37, 549-556 (2005). 

  39. Fransworth NR, Bunyapraphatsara N. Thia Medicinal Plants Recommended for Primary Health Care in Thailand. Mahidol University, Bangkok. 202-207 (1990). 

  40. Sander CS, Chang H, Salzmann S, Muller CS, Ekanayake-Mudiyanselage S, Elsner P, Thiele JJ. Phothoaging is associated with protein oxidation in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18, 618-625 (2002). 

  41. Lee BC, Kim JH, Sim GS, Zhang YH, Pyo HB. The Inhibitiory Effects of the Scirpi rhizoma ON Melanogenesi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1, 305-310 (2005). 

  42. Sun ok jee Antioxidant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 of the Mulberry (Morus alba L.) Root Bark Extracts. 韓資植誌 Korean J. Plant Res. 22, 145-151 (2009). 

  43. You MJ. Inhibitory Effect of Morus alba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SK-MEL-2 cells. Asian J Beauty Cosmetol. 9, 19-30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