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도구 개발과 적용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Competency Tool of University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88 - 98  

강경희 (공주대학교 대학교육기획단) ,  박선희 (한남대학교 교직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교육의 책무를 지닌 교원들의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고 변화 필요도를 분석한 것이다. 대학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원의 책무 수행과 대학내외 공동체 활동에 필요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수역량을 도출하였고, 24명의 교수학습 전문가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토받아 교수역량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충청남도에 소재한 K대학의 교원 83명을 대상으로 진단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기초역량, 교육실천역량, 공동체역량을 도출하였다. 기초역량에는 '대학교육의 이해', '교육철학과 자세', '교수자 태도', 교육실천역량에는 '분석설계', '수업실행', '지도관리', '평가환류', 공동체역량에는 '창조적 학문융합', '공감학습문화', '글로벌 공유'로 분류하였다. K대학 교원들의 교수역량을 진단한 후, 대응표본 t-검정Borich 계수 분석을 통한 변화필요도를 살펴본 결과 기초역량에서는 대학교육의 이해(4순위), 교육실천역량에서는 분석설계(5순위), 수업실행(2순위), 공동체역량에서는 공감학습문화(1순위), 글로벌 공유(3순위)로 나타났다. 대학 교원의 역량은 잘 가르치기 위한 교육실천의 역량뿐 아니라 대학교육에 대한 이해와 대학내외 공동체 구성원과의 공감과 공유의 역량이 필요하다. 대학에서는 앞으로 교수들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 제공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competency tool of university teachers with responsibility for college education and analyze the need for change. We have developed teaching competency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university professors' responsibilities and commun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 교원들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수역량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교수역량 변화 필요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개발 및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교원의 교수역량을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수역량과 진단 도구 개발과 관련된 문헌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를 예측하여 교육공학 4명의 검토를 거쳐 1차 진단도구를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수 역량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해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의 차이를 비교하여 역량 강화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개발한 교수역량 진단도구는 전국 대학의 교수학습 지원 조직에 근무 중인 교수학습 전문가의 내용 타당도 검토를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확보하였고, 충청남도에 소재한 3개 캠퍼스를 가진 지방 대규모 4년제 종합대학 소속 교원에게 적용하여 변화 필요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역량은 어떤 측면에서 구분될 수 있는가? 오은주는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역량 탐구에서 교수역량에 대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3]. 교수역량 진단 결과 수업설계자, 학습촉진자, 평가자 세 가지 측면에서 역량을 구분하였다. 수업설계자의 경우 핵심역량으로는 수업분석력, 수업계획능력, 학습환경 조성능력으로 구분하였고, 기반역량으로는 창의력, 입체적 사고, 감수성으로 나누었다.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competency)의 개념은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정의를 하고 있다. 역량에 관심을 가진 Boyatzis[13]는 역량에 특정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효과적이며 우수한 성과와 관련된 개인의 내재적 특성이라고 정의하였고 그 특성을 우수 수행자와 평균 수행자, 낮은 수행자와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지식, 기술, 특질, 동기, 자기 이미지, 사회적 역할이라고 하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기본소양, 실천역량은 각각 어떤 하위 역량으로 구분될 수 있는가? 교수역량의 개념은 다양한 연구를 통해 정의되었는데,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은 21세기 학습자와 교수자의 역량 모델링 연구를 통해 역량을 2가지 영역(기본소양, 실천역량)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하위 역량을 도출하였다. 기본소양 역량으로 창의성, 문제해결, 의사소통, 사회적 능력, 유연성, 테크놀로지 리터러시, 윤리의식, 열정으로 구분하였다. 실천역량으로는 내용전문성, 학습자와 관계형성, 수업설계 및 개발, 학습 어포던스 조성, 평가와 성찰, 대외 협력관계 형성, 업무 성과 관리의 능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 Hu, "Validating Teaching Competencies in Hospitality Education : Faculty member's perspective,"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Education, Vol.9, No.3, pp.39-46, 2007. 

  2. B. Jin, D. Robyn, J. Anne, M. Gary, and P. Beth, "Standard for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Education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97. 

  3. 오은주,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수 역량 탐구," 사고개발, 제5권, 제2호, pp.107-134, 2009. 

  4. 엄미리, "대학 교원의 역량 분석을 통한 교수지원 프로그램 방향성 제고: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제17권, 제3호, pp.21-45, 2012. 

  5. 홍성연,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3호, pp.97-127, 2010. 

  6. 양은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진단도구 개발,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09. 

  7. 이현영, 김영수, 허희옥, "공과대학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제28권, 제3호, pp.439-469, 2012. 

  8. 정주영,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 개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4권, 제2호, pp.210-223, 2012. 

  9. 한승연, 임규연, "사이버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모델링,"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4호, pp.837-862, 2012. 

  10. 엄미리, "IPA를 활용한 국내 e-Learning 교수설계자의 역량분석,"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5권, 제3호, pp.89-107, 2008. 

  11. 양은하, 정재삼,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변화필요도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6권, 제2호, pp.25-52, 2010. 

  12. 정인호, 이은진,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교수직급별 요구도 분석," 한국HRD연구, 제7권, 제1호, pp.1-22, 2012. 

  13. R. E. Boyatzis,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Y: John Wiley & Sons, 1982. 

  14. 허희옥, 임규연,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연구보고 KR 2011-2, 2011. 

  15. 홍효정, 이재경,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2호, pp.391-425, 2016. 

  16. 박혜림, "대학 교양교육과정의 평가준거 개발 연구," 교육과정연구, 제25권, 제3호, pp.109-132, 2007. 

  17. C. H. Lawshe, "A qual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28, pp.563-575, 1975. 

  18. G. Borich,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1, No.1, pp.39-42, 19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