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불량 상태 영향요인
Mal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ed Factors of Demented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9, 2017년, pp.426 - 436  

현은영 (영서원) ,  오진주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설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영양불량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소재 요양시설 3곳에 거주하는 치매노인 140명으로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 30일~9월 30일까지 하였고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상관관계, 회귀분석으로 검정하였다. 대상자의 영양불량 상태는 고 위험군 (84명, 60.0%)이 많았으며, 성별, 장기요양등급, 신체기능, 식사행동 장애 및 인지기능과 관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 분석결과 영양불량 상태에 유의한 영향변수는 신체기능(${\beta}=0.379$, p=.000) 식사행동 장애(${\beta}=0.264$, p=.001), 인지기능(${\beta}=-0.187$, p=.014)으로서 이들 변수는 영양불량 상태에 대해 35.9%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불량 상태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malnutritional status of elders with dementia in facilities. The subjects were 140 elders with dementia residing in three nursing facilities in Chungnam,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30 to September 30 in 2016, using questionna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해당 시설 기관의 책임자에게 협조 사전 승인을 받은 뒤 연구 대상자의 법정 대리인에게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설명 하고, 설문에 포함된 연구내용은 연구 외에 다른 용도로 절대 사용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참여과정및 참여하는 동안 언제든지 철회가 가능하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어질 것과 설문참가 대상 자의 비밀보장을 위해 익명으로 처리된다는 내용을 알려주었다.
  • 본 연구는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불량 상태 실태를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불량 상태를 파악하고 영양불량 상태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시설 치매노인의 영양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충남 소재 3개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영양불량 상태 영향요인을 사정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치매노인의 일반적 특성, 감각 및 신체기능, 인지기능, 질병관련 특성, 식사 특성 등의 영양상태 실태를 파악하여 영양불량 상태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시설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영양상태 실태 및 관련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간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란? 치매는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으로 정상적으로 성숙한 뇌가 후천적 기억, 판단력, 언어 등의 인지기능 감소와 함께 전반적인 기능이 감퇴하는 복합적인 임상 증후군을 지칭하는 대표적인 신경정신계질환이다[4].
치매노인들의 영양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환경변화의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먼저 환경변화의 방법으로는 물리적 주변 환경 및 식사시간 및 식사참여인 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30]. 특히 시설에서 식사제공 과정이 통상적으로 매우 표준화 되어 있는 것에 반해 개인적인 선호도나 취향, 보조 요구도를 고려하는 것이다. 개인의 식사패턴과 실제 배가 고플 때 식사를 제공하는 것 등 좀 더 가정 같은 식사 제공을 함으로써[35] 자유롭고 보다 유쾌한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한다면 치매환자는 보다 즐거움 속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음식을 선택하고 식사시간 및 기간을 선택함으로써 식사량이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36].
영양장애는 치매노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영양장애는 치매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5]이 상실되며 배고픔과 같은 욕구를 표현하는 능력의 결핍, 자신을 스스로 돌볼 필요에 대한 인식결핍, 욕구충족을 위한 방법을 습득하는 능력의 결핍 등이 모두 저하된다. 또한 실행 능력 장애도 초래되는데, 이는 목적하는 바의 행동을 실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소 하던 일도 제대로 못하는 등의 일상생활 동작에서 저하가 오게 되며, 음식섭취 시 요구 되는 동작수행 능력도 점차 상실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 

  2. http://www.longtermcare.or.kr/npbs/ 

  3. http://www.mohw.go.kr/frontnew/jb/sjb 

  4. M. Navratilova, J. Jarkovsky, E. Ceskova, B. Leonard, and L. Sobotka, "Alzheimer Disease: Malnutrition and Nutritional Support," Clin. Exp. Pharmacol. Physiol., Vol.34, No.1, pp.11-13, 2007. 

  5. N. L. Crogan, J. A. Shultz, C. E, Adams, and L. K. Massey, "Barriers to nutrition care for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27, No.12, pp.25-31, 2001. 

  6.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World Alzheimer Report 2013, "An analysis of long-term care for dementi," 2014. http://tinyurl.com/ ksqrwd6 

  7. G. A. K. Pivi, P. H. F. Bertolucci, and R. R. Schultz, "Nutrition in severe dementia," Current Gerontology and Geriatrics Research, Vol.2012, pp.1-7, 2012. http://10.1155/2012/983056 

  8. L. Rullier, A. Lagarde, J. Bouisson, V. Bergua, and P. Barberger-Gateau, "Nutritional status of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with dementia: Associations with individual and family caregivers' characteristics," Int. J. Geriatr. Psychiatry, Vol.28, No.6, pp.580-588, 2013. 

  9. R. Watson and I. J. Deary, "A longitudinal study of feeding difficulty and nursing intervention i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J. Adv. Nurs., Vol.26, No.1, pp.25-32, 1997. 

  10. M. Hickson, "Malnutrition and ageing," Postgrad. Med. J., Vol.82, No.963, pp.2-8, 2006. 

  11. E. Eunyoung and C. Information, "노인의 영양 위험,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 한국간호과학회, 제37권, 제6호, pp.942-948, 2007. 

  12. Y. Kang, M. Kim, and E. Lee, "재가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 생활 수행 능력, 영양 상태간의 관계," 대한간호학회지, 제38권, 제1호, pp.122-130, 2008. 

  13. K. M. Lee and J. A. Song,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eating ability among people with dementia," J. Clin. Nurs., Vol.42, No.4, pp.477-476, 2012. 

  14. H. Hong and M. Gu, "요양시설 치매노인의 식사행동장애와 관련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지, Vol.16, No.2, pp.1240-1252, 2015. 

  15. M. B. Hamel, "The Clinical Course of Advanced Dementia,"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61, No.16, pp.1529-1538, 2009. 

  16. G. Isaia, S. Mondino, C. Germinara, G. Cappa, N. Aimonino-Ricauda, M. Bo, G. C. Isaia, G. Nobili, and M. Massaia, "Malnutrition in an elderly demented population living at home," Arch. Gerontol. Geriatr., Vol.53, No.3, pp.249-251, 2011. 

  17. D. Volkert, M. Chourdakis, G. Faxen-Irving, T. Fruhwald, F. Landi, Merja H. Suominen, M. Vandewoude, R. Wirth, and S. M. Schneider, "ESPEN guidelines on nutrition in dementia," Clin. Nutr., Vol.34, No.6, pp.1052-1073, 2015. 

  18. R. A. Abbott, R. Wheara, J. Thompson-Coona, O. C. Ukoumunnea, M. Rogersa, A. Bethela, A. Hemsleyb, and K. Steina, "Ageing Research Reviews," Ageing Res. Rev., Vol.12, No.4, pp.967-981, 2013. 

  19. 이진, 일반식을 섭취하는 재원 치매 노인환자의 영양소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0. 오진주, "치매노인의 식사보조," Soc. Korean Gerontol., Vol.26, No.2, pp.315-328, 2006. 

  21. 정경아, 인지장애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22. 강지숙, 정애숙 "대도시 노인의 질병, 주관적 신체증상 및 영양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제19권, 제3호, pp.378-387, 2008. 

  23. H. Ahn, J. Kang, and H. Lee, "Nutrition Status of Elderly Female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 Vol.19, No.2, pp.187-197, 2014. 

  24. 박화경, 임보경, 최성희, 이혜련, 이도상, "노인 환자의 영양결핍 대상자 선별을 위한 MNA 간소화 및 적합성 검증,"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지, Vol.2, No.1, pp.13-18, 2009. 

  25. 백명하, 요양병원에 입원한 노인 환자의 영양불량을 예측하는 영양검색도구의 효능 평가,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6.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 측정도구(K-IADL)의 특징," 대한노인병학회지, 제6권, 제1호, pp.1-10, 2002. 

  27. 보건복지부, 치매진단 도구의 표준화, 서울대학교 병원, 2009. 

  28. 이정, 장기요양시설 거주 치매노인의 식사행동장애 관련 요인,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9. R. J. Stratton, A. Hackston, D. Longmore, R. Dixon, S. Price, M. Stroud, C. King, and M. Elia, "Malnutrition in hospital out patients and inpatients: prevalence, concurrent validity and ease of use of the 'malnutrition universal screening tool'('MUST') for adults," Br. J. Nutr., Vol.92, No.5, pp.799-808, 2004. 

  30. M. B. Aselage and E. J. Amella, "An evolutionary analysis of mealtime difficulties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J. Clin. Nurs., Vol.19, No.2, pp.33-41, 2010. 

  31. Chang and B. L. Roberts, "Cultural perspectives in feeding difficulty in Taiwanese elderly with dementia," J. Nurs. Scholarsh., Vol.40, No.3, pp.235-240, 2008. 

  32. J. Cohen-Mansfield, "Theoretical frameworks for behavioral problems in dementia," Alzheimer's Care Today, Vol.1, No.4, pp.8-21, 2000. 

  33. S. Gillette-Guyonnet, F. Nourhashemi, S. Andrieu, I. Glisezinski, P. J. Ousset, D. Riviere, J. L. Albarede, and B. Vellas, "Weight loss in Alzheimer disease," Am. J. Clin. Nutr., Vol.71, pp.637-642, 2000. 

  34. S. Rasheed and R. T. Woods, "Malnutrition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geing Research Reviews, Vol.12, No.2, pp.561-566, 2013. 

  35. K. A. N. D. Nijs, "Effect of family style mealtimes on quality of life, physical performance, and body weight of nursing home residents: cluster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Vol.332, No.7551, pp.1180-1184, 2006. 

  36. B. Lorefalt and S. Wilhelmsson, "A multifaceted intervention model can give a lasting improvement of older peoples' nutritional status," J. Nutr. Health Aging, Vol.16, No.4, pp.378-382, 2012. 

  37. A. Vink, M. Bruinsma, and R. Scholten, "Music therapy for people with dementia," Cochrane Library, No.9, 2003. http://10.1002/14651858.CD003477.pub2 

  38. S. F. Simmons and J. F. Schnelle, "Individualized feeding assistance care for nursing home residents: staffing requirements to implement two intervention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59, No.9, pp.966-973, 2004. 

  39. 조추용, "꽃동네 노인요양시설 종사자들의 낙상 예방활동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제13권, 제1호, pp.253-284, 2016. 

  40. 이경희, "요양시설 노인과 요양보호사에 있어 식사의 의미," 한국노년학회, 제36권, 제4호, pp.1157-1176,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