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South Korea, 25 % of annual agricultural residues (11.64 million tons) are unused. The hydrophilicity, low lower heating value (LHV), and low energy density of agricultural residues can be obstacles for efficient usage. Torrefaction, a low temperature pyrolysis process, can be a solution to ov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에서 버려지는 미활용 농업부산물 (콩대, 고춧대, 들깻대, 수숫대, 도토리껍질, 은행껍질)의 동일한 시간 조건에서 반탄화 온도 조건만을 달리하여 연료로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량, 질량 수율, 에너지 수율, 에너지 밀도 등 에너지 특성을 검토하고, 신재생에너지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에서 버려지는 미활용 농업부산물 (콩대, 고춧대, 들깻대, 수숫대, 도토리껍질, 은행껍질)의 동일한 시간 조건에서 반탄화 온도 조건만을 달리하여 연료로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량, 질량 수율, 에너지 수율, 에너지 밀도 등 에너지 특성을 검토하고, 신재생에너지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매스란? 바이오매스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하는 식물의 광합성에 의해 생성되는 식물체와 이를 먹이로 이용하여 살아가는 동물체를 포함한 생물 유기체 전체를 일컬으며, 바이오매스 유래 에너지는 탄소 중립성, 지속 가능성, 광범위한 이용 가능성으로 인해 실현가능한 신재생에너지로 간주되고 있다 (Matali et al., 2016; Yu et al.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의 단점은? , 2013). 하지만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낮고, 생산 지역이 광범위하며, 발생 시기도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수집, 수송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높고, 높은 흡습성으로 인해 발열량 저하와 원료의 변질을 유발 (Deng et al.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를 연료로서 사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하지만 농업부산물 바이오매스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낮고, 생산 지역이 광범위하며, 발생 시기도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수집, 수송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높고, 높은 흡습성으로 인해 발열량 저하와 원료의 변질을 유발 (Deng et al., 2009)하기 때문에 연료로서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 H. S., Y. J. Sung, C. H. Kim, G. S. Lee, S. J. Yim, H. G. Nam, J. Y. Lee, and S. B. Kim, 2014. Study of Oil Palm Biomass Resources (Part 3) - Torrefaction of Oil Palm Biomass -. Journal of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46(1): 18-28 (in Korean). 

  2. Correia, R., M. Goncalves, C. Norbe, and B. Mendes, 2017. Impact of torrefaction and low-temperature carbonization on the properties of biomass wastes from Arundo donax L. and Phoenix canariensis. Bioresource Technology 223: 210-218. 

  3. Deng, J., G. J. Wang, J. H. Kuang, Y. L. Zhang, and Y. H. Luo, 2009. Pretreatment of agricultural residues for co-gasification via torrefaction. Journal of Analytical and Aplied Pyrolysis 86:331-337. 

  4. Gong, S. H., B. J. Ahn, S. M. Lee, J. J. Lee, Y. K. Lee, and J. W. Lee, 2016. Thermal Degradation Behavior of Biomass Depending on Torrefaction Temperatures and Heating Rate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5): 685-694 (in Korean). 

  5. Hong, S. G., 2004. Evaluation of Agricultural Biomass Resources for Renewable Energy - Biomass from Orchards and Non-paddy Fields -. Jouran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6(3): 85-92 (in Korean). 

  6. Hong, S. G., 2008. Future Agriculture Considering Combined Use of Biomass Resources.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utral Engineers 50(2): 42-51 (in Korean). 

  7. Hong, S. G., 2015. Strategies for Increasing Biomass Energy Utilization in Rural Areas - Focusing on heating for greenhouse cultiva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6): 9-20 (in Korean). 

  8. Jeeban, P., W. T. Kim, T. I. Ohm, and S. C. Oh, 2014. A Study on Torrefaction Characteristics of Baggase.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2(5): 672-677 (in Korean). 

  9. Jeong, N. Y. and L. H. Kim, 2010. The Study of Economic Feasibility of Wood Pellet in Domestic Power Plants Sector.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19(4): 251-257 (in Korean). 

  10. Kang, B., Y. W. Lee, C. K. Ryu, and W. Y., 2017. Application of Various Biomasses to Pulverized Coal Power Plants in Terms of their Grindability. Clean Technology 23(1): 73-79 (in Korean). 

  11. Kang, K., L. Wang, and S. G. Hong, 2014. The Characterization of Woodchip Torrefaction and Byproduct G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56(6): 55-62 (in Korean). 

  12. Kim, Y. H., B. I. Na, S. M. Lee, H. W. Lee, and J. W. Lee, 2013. Optimal Condition for Torrefaction of Eucalyptu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1(6): 497-506 (in Korean). 

  13. Lee, M. S., G. S. Jeong, S. J. Jung, and K. Y. Lee, 2013. The Fuelization Study on the Oil Palm Frond Through Torrefaction.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1(4): 465-469 (in Korean). 

  14. Lee, W. J., 2015. Study on Torrefaction Characteristics of Solid Biomass Fuel and Its Combus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 Recycling Association 23(4):86-94 (in Korean). 

  15. Li, M. F., L. X. Chen, X. Li, C. Z. Chen, Y. C. Lai, X. Xiao, and Y. Y. Wu, 2016. Evaluation of the structure and fuel properties of lignocelluloses through carbon cioxide torrefaction.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119: 463-472. 

  16. Matali, S., N. A. Rahman, S. S. Idris, N. Yaacob, and A. B. Alias, 2016. Lignocellulosic, Biomass solid Fuel Properties Enhancement via Torrefaction. Procedia Engineering 148:671-678. 

  17. Mun, T. Y., Z. T. Tefera, U. D. Lee, J. W. Lee, and W. Yang, 2014. Evaluation of Plant Performance during Biomass Co-firing in Pulverized Coal Power P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19(3): 8-17 (in Korean). 

  18. Nam, H. S. and S. Capareda, 2015.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orrefaction of two agricultural wastes of different composition using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Energy 91: 507-516. 

  19. Oh, D. G., Y. H. Kim, and H. S. Son, 2013. Fuel Properties of Spent Coffee Bean by Torrefa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9(3): 29-35 (in Korean). 

  20. Park, D. H., B. J. Ahn, S. T. Kim, J. W. Lee, G. S. Han, and I. Yang, 2015. Microscopic Observation of Pellets Fabricated with Torrefied Larch and Tulip Tree Chips and Effect of Binders on the Durability of the Pellets.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53(2): 224-230 (in Korean). 

  21. Park, W. K., N. B. Park, J. D. Shin, S. G. Hong, and S. I. Kwon, 2011. Estimation of Biomass Resource Conversion Factor and Potential Production in Agricultural Secto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0(3): 252-262 (in Korean). 

  22. Prins, M. J., K. J. Ptasinski, and F. J. J. G. Janssen, 2006. Torrefaction of wood Part 1. Weight loss kinetics. Journal of Analytical and Applied Pyrolysis 77(2006): 28-34. 

  23. Ren, X., R. Sun, X. Meng, N. Vorobiev, M. Schiemann, and Y. A. Levendis, 2017. Carbon, sulfur and nitrogen oxide emissions froom combustion of pulverized raw and torrefied biomass. Fuel 188: 310-323. 

  24. Sh, L., S. I. Kim, H. Lim, B. H. Lee, S. M. Kim, and C. H. Jeon,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n the Co-firing of Biomass with Coal as a Function of Particle Size and Blending Ratio.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ers B 40(1): 31-37 (in Korean). 

  25. Van K. D. W., 1950. Graphical-statistical method for th study of structure and reaction processes of coal. Fuel. 29: 269-284. 

  26. Xue, Gang, M. Kwapinska, W. Kwapinska, K. M. Czajka, J. Kennedy, and J. J. Leahy, 2014. Impact of torrefaction on properties of Miscanthus x giganteus relevant to gasification. Fuel 121: 189-197. 

  27. Yu, G. D., H. B. Na, G. H. An, B. C. Koo, J. W. Ahn, Y. H. Moon, Y. L. Cha, Y. M. Yoon, J. W. Yang, and I. H. Choi, 2013.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Bale Types and Storage Periods of Agricultural By-products as a Lignocellulosic Biomas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8(3): 324-330 (in Korean). 

  28. Zhang, Z., G. Zhang, W. Li, C. Li, and G. Xu, 2016. Enhanced biogas production from sorghum stem by co-digestion with cow manure.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41: 9153-9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