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 특성에 적합한 화음 구성과 전개
Harmonic Compositions and Progressions for T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Emotion Vocabular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9, 2017년, pp.265 - 270  

이수연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음악치료학과) ,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에 적합한 화음 구성과 전개의 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8명의 음악중재전문가를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정서 어휘의 의미와 선율을 반영하는 화음 구성과 전개를 작곡하고 근거에 대해 서술하게 하였다. 자료 분석은 화음 구성 비율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정서 어휘별로 비교하고, 유사한 답변의 내용을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124명의 음악치료와 음악전공자를 대상으로 연구 1의 결과에 따른 정서 어휘별 화음 구성과 전개의 적합성을 조사하고, 타당도의 통계학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쁨의 어휘는 장화음, 주화음, 연속적인 화음 변화, 화남의 어휘는 단화음, 증화음, 9 11화음, 미해결된 7화음의 전개, 슬픔의 어휘는 단화음, 감화음, 반음계 전개의 사용 비율이 높았다. 타당도 검증 결과, 기쁨(97.2), 화남(75), 슬픔(80.6)으로 나타나 기쁨의 어휘에서만 유의성이 높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는 노래의 선율 창작시 가사가 전달하는 정서적 측면을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화음 사용의 근거자료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urposed to investigate harmonic compositions and progressions that are appropriate for emotion vocabulary. In study 1, eight(8) professional music therapists were asked to provide harmonic compositions and progressions reflecting the tonal characteristics of emotion vocabulary and the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차별화된 음악과 언어의 학제 간 융합 연구로, 정서를 언어로 표현할 때 어휘에 반영된 선율 특성을 고려하여 정서적 측면을 강화하는 화음 구성과 전개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궁극적으로는 정서를 표현하는 노래를 창작할 때 선율의 효율적인 정서 표현을 돕는 화음 구성과 전개의 차별적 사용과 선택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선행 연구에서는 정서를 표현하는 음악의 화성을 분석한 연구가 수행된 반면[5, 6, 7] 정서 어휘의 의미와 선율을 반영한 화음 사용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는 차별화된 음악과 언어의 학제 간 융합 연구로, 정서를 언어로 표현할 때 어휘에 반영된 선율 특성을 고려하여 정서적 측면을 강화하는 화음 구성과 전개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궁극적으로는 정서를 표현하는 노래를 창작할 때 선율의 효율적인 정서 표현을 돕는 화음 구성과 전개의 차별적 사용과 선택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 특성에 따른 화음 구성과 전개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결과에 따른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정서 어휘에 반영된 선율 특성에 적합한 화음 구성과 전개를 조사하기 위한 연구 1과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2로 구분하여 수행되었다[Fig 1]
  •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기초 자료로 그 의미를 지니므로 일률적이기보다는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해야 하며 가능한 개인의 정서 내용과 표현을 반영한 화음 구성에 무게를 두어야 한다. 이러한 기초 자료를 추후 노래 창작을 중심으로 한 음악치료 실제에서 연구함으로써 본 결과의 활용성과 적용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의 특징은? 정서는 인간이 외부자극에 대해서 인지한 후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는 것에 의해서 나타나며 개인의 주관적인 기분과 마음 상태의 변화를 수반한다[1]. 인간이 경험하는 정서는 차원 정서 모델에 의해 ‘정서가 (emotional valence)’에 따른 긍정과 부정, ‘각성(arousal) 수준’에 따른 각성과 이완의 두 차원으로 분류되며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기본 정서(basic emotion)는 행복, 화남, 슬픔, 중립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2].
슬픔의 어휘에서 사용하는 각 화음의 비중은 어떻게 되는가? 슬픔의 어휘에서는 주화음, 3화음, 단화음이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고 감화음의 사용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참여자의 50%가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단화음을 사용하였고, 75%가 슬픔의 정서를 충분히 표현하기 위해 주화음을 사용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참여자의 38%가 감소된 에너지 수준과 슬픔의 정서가 전달하는 부정적 차원의 어두운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 감화음을 사용하였고, 긴장감을 강조하고 우울감을 최대화하기 위해 반음계적 하행 전개를 사용한 것으로 근거를 제시하였다[Fig. 8]
인간이 경험하는 정서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정서는 인간이 외부자극에 대해서 인지한 후 심리적,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는 것에 의해서 나타나며 개인의 주관적인 기분과 마음 상태의 변화를 수반한다[1]. 인간이 경험하는 정서는 차원 정서 모델에 의해 ‘정서가 (emotional valence)’에 따른 긍정과 부정, ‘각성(arousal) 수준’에 따른 각성과 이완의 두 차원으로 분류되며 보편적으로 경험하는 기본 정서(basic emotion)는 행복, 화남, 슬픔, 중립의 네 가지로 구분된다[2]. 이러한 차원 정서 모델은 다양한 정서들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롯하여 정서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제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lutchik, R., The Psychology and Biology of Emotion, Harper-Collins Publishing, 1994. 

  2. Ekman, P., "An Argument for Basic Emotions", J. of Cognition and Emotion, Vol. 6, pp. 169-200, 1992. 

  3. J. Y. Kim, "A Study on Direction of Emotional Vocabulary Education for Building Emotional Literacy", J. of Cheong 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Vol. 49, pp. 321-345, 2014. 

  4. Baker, F. A., Wigram, T., Songwriting : Methods,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r Music Therapy Clinicians, Educators and Students, Jessica Kingsley Publishing, 2005. 

  5. Juslin, P. N., Sloboda, J. A., Handbook of Music and Emotion : Theory, Research, Applications, Oxford University Publishing, 2010. 

  6. Loui, P., Wessel, D. L., "Harmonic Expectation and Affect in Western Music : Effects of Attention and Training", J. of Perception and Psychophysics, Vol. 69, No. 7, pp. 1084-1092, 2007. 

  7. Thompson, W. F., Robitaille, B., "Can Composers Express Emotions Through Music?", J. of Empirical Studies of the Arts, Vol. 10, pp. 79-89, 1992. 

  8. Day, T., Baker, F., Darlington, Y., "Participants' Experiences of the Songwriting Process and the On-going Meaning of Their Song Creations Following Completion of a Music Therapy Program", Nordic J. of Music Therapy, Vol. 18, No. 2, pp. 133-149, 2009. 

  9. S. Y. Yi, Prosodic, melodic and harmonic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vocabularies for song composition. Ewha Womans University, Ph.D. Dissertation, 2016. 

  10. S. Y. Yi, J. H. Oh, H. J. Chong, "T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Intonation Pattern of the Korean Emotion Words", J.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ol. 13, No. 2, pp. 67-83, 2016. 

  11. Coutinho, E., Dibben, N., "Psychoacoustic Cues to Emotion in Speech Prosody and Music", J. of Cognition and Emotion, Vol. 27, No. 4, pp. 658-684, 2013. 

  12. Ihaka, R., Gentleman, R. "R: A language for data analysis and graphics", J. of Computational and Graphical Statistics, Vol. 5, pp. 299-314, 1996. 

  13. Eerola, T., "Modeling Listeners' Emotional Response to Music", J. of Topics in Cognitive Science, Vol. 4, No. 2, pp. 1-18, 2012. 

  14. Eerola, T., Vuoskoski, J. K., "A Comparison of the Discrete and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 in Music", J. of Psychology of Music, Vol. 39, No. 1, pp. 18-49, 2011. 

  15. Juslin, P. N., Liljestrom, S., Vastfjall, D., Barradas, G., Sliva, A., "An Experience Sampling Study of Emotional Reactions to Music : Listener, Music and Situation", J. of Emotion, Vol. 8, No. 5, pp. 668-683, 2008. 

  16. Gagnon, L., Pretz, I. "Mode and Tempo Relative Contributions to Happy-sad Judgements in Equitone Melodies", J. of Cognition and Emotion, Vol. 17, No. 1, pp. 25-40,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