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해부학적, 물리·역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ellular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5, 2017년, pp.525 - 534  

한연중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김민지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현미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강진택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부) ,  엄창득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종 구분을 위하여 해부학적 특성을 관찰하고, 재질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연륜폭, 가도관 길이, 밀도, 강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수간해석와 시험편 채취를 위하여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지역에서 생장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를 경급별(대 중 소)로 1본씩 선발하여 벌채하였다.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평균 수령은 각각 74년, 51년, 평균 흉고지름은 각각 442 mm, 352 mm, 평균 수고는 각각 26.1 m, 20.8 m이었다. 두 수종의 수목해부학적 차이는 나선비후가 잎갈나무에 존재하지 않지만, 일본잎갈나무의 방사가도관에 드물게 존재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잎본잎갈나무의 방사단면에서 나선비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수고 1.2 m의 원판에서 측정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연평균 직경생장은 각각 5.167 mm, 5.954 mm로 일본잎갈나무의 생장이 잎갈나무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강도측정을 위한 시험편의 물리적 특성에서 연평균 직경생장이 작은 잎갈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 만재율과 전건밀도가 크게 측정되었다. 역학적 특성은 잎갈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 2 - 7%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축적된 자료는 향후 수행될 DNA 분석을 통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종 구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ims to observe the cellular anatomical properties of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In addition, other factors - the ring width, tracheid length, density, and strength -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clarify their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 수종인 잎갈나무와 일본에서 도입된 일본잎갈나무의 종 구분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를 목표로 강원도 정선군 지역에서 생장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직경 생장과 조직⋅물리⋅역학적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일본잎갈나무 분포 면적은? 반면에 우리나라에서 잎갈나무는 인공림의 조성을 위해 다량의 초목이 식재되지 않았으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연습림, 광릉수목원, 오대산 월정사, 가리왕산 등지의 소규모임지에 분포하고 있다(Hwang과 Park, 2007). 일본에서 해발고도가 높고 서늘한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는(Takahashi 등, 2015) 1910년대에 도입된 우리나라 주요 조림수종의 하나로 주로 강원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지역에서 약 272,800 ha의 면적에 분포하며, 전체 산림면적의 6.2%를 차지하고 있다(Yim, 1985; Kang 등, 2016; Korea Forest Service,2016).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나선비후 유무는 어떻게 되는가? 1. 나선비후는 잎갈나무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일본잎갈나무의 방사가도관에 드물게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 일본잎갈나무의 방사단면에서 나선비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보다 명확한 수종 구별을 위하여 유전자본체 분석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잎갈나무란 무엇인가? )Kuzen.)는 주로 북한지역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고유 수종으로 소나무과에 속하며 낙엽송으로도 명칭되는 일본잎갈나무(Larix kaempferi (Lamb.) Carrière)와 근연종이다(Jo 등, 1988). 낙엽성 교목의 침엽수로매우 견고하고 곧은결의 재질을 갖는 잎갈나무는 북한의 고산대에 분포하는 침엽수 중에서 약 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o, F.C., Jiang, Z.H., Jiang, X.M., Lu, X.X., Luo, X.Q., Zhang, S.Y. 2001. Differences in wood properties between juvenile wood and mature wood in 10 species grown in China.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5(4): 363-375. 

  2. Boone, R.S., Kozlik, C.J., Bios, P.J., Wengert, E.M. 1988. Dry Kiln Schedules for Commercial Woods-Temperate and Tropical (Gen Tech Rep FPL-STR-57). Forest Products Laboratory, Madison, USA. 

  3. Choi, Y.-S., Oh, S.-M., Kim, G.-H. 2011. Evaluation of pretreatment moisture content and fixation characteristics of treated wood for pressure treatment of Japanese red pine and Japanese larch skin timber with ACQ, CUAZ and CuHDO.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9(6): 481-489. 

  4. Chong, S.-H., Won, K.-R., Hong, N.-E., Park, B.-S., Lee, K.-J., Byeon, H.-S. 2014. Bending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Larix kaempferi according to thinning intensity.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4): 385-392. 

  5. Eom, Y.G. 2015. Wood Anatomy of Korean Species. Media Wood., Ltd., Seoul, Korea. 

  6. Fujimoto, T., Koga, S. 2010. An application of mixed-effects model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itial spacing on radial variation in wood density in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Journal of Wood Science 56(1): 7-14. 

  7. Han, Y., Lee, H.M., Eom, C.D. 2016.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wood from different growth sit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m.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4(5): 695-704. 

  8. Hwang, K., Park, B.-S. 2007. Strength properties of old Korean larch pile.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5(6): 23-30. 

  9. Ishikura, Y., Matsumoto, K., Ohashi, Y. 2012. Radial variation in partial compression properties perpendicular to the grain of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Journal of Wood Science 58(5): 399-407. 

  10. Jo, J.M., Kang, S.K., Huh, N.J., Park, S.J. 1988. Illustrated World Wood. Seonjinmunhwa Press, Seoul, Korea. 

  11. Jung, H.S. 2005. Terminology of Wood.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12. Jyske, T., Makinen, H., Saranpaa, P. 2008. Wood density within Norway spruce stems. Silva Fennica 42(3): 439-455. 

  13. Kang, J.T., Son, Y.M., Yim, J.S., Jeon, J.H. 2016. Estimation of carbon stock and uptake for Larix kaempferi Lamb..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7(4): 499-506. 

  14. Kim, G.-H., Kim, H.-J., Kim, J.-J. 2001. Fixation characteristics of CCA and CCFZ in Japanese red pine, Japanese larch, and ezo spruce sapwood.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29(1): 52-59. 

  15. Kim, K.-H., Hong, S.-I. 2008. Bearing properties of domestic larix glulam.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6(4): 93-101. 

  16. Kim, S.-H., Yang, I., Han, G.-S. 2015. Effect of sawdust moisture content and particle size on the fuel characteristics of wood pellet fabricated with Quercus mongolica, Pinus densiflora, and Larix kaempferi sawdust.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3(6): 757-767. 

  17. Kim, S.T., Lee, J.-J., Park, D.-H., Yang, I., Han, G.-S., Ahn, B.J. 2015. Effect of torrefaction condition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fuel characteristics of larch wood.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3(1): 122-134. 

  18. Koga, S., Zhang, S.Y. 2004. Inter-tree and intra-tree variations in ring width and wood density components in balsam fir (Abies balsamea).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8(2): 149-162. 

  19. Kong, W.S. 2006. Natural Ecosystem of North Korea. Jipmoondang, Seoul, Korea. 

  20. Korea Forest Service. 2016.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21. Korea Standard Association. 2004. Method of compression test for wood. KS F 2206. 

  22. Korea Standard Association. 2004. Method of bending test for wood. KS F 2208. 

  23. Korea Standard Association. 2004. Method of shear test for wood. KS F 2209. 

  24. Kretschmann, D.E. 2010. Mechanical Properties of Wood. In: (Centennial Eds) Wood Handbook: Wood as an Engineering Material. Forest Products Laboratory, Madison, USA. 

  25. Lee, J.J., Kim, G.C., Kim, K.M., Oh, J.K. 2003.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bending properties for visual graded lumber of Japanese larch.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1(5): 72-79. 

  26. Seo, J.-W., Eom, C.-D., Park, S.-Y. 2014. Study on the variation of inter-annual tracheid length for Korean red pine from Sokwang-ri in Uljin.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2(6): 646-652. 

  27. Smith, D.M. 1955. A comparison of two methods for determining the specific gravity of small samples of second growth Douglas-fir (Rep No. 2033). Forest Products Laboratory, Madison, USA. 

  28. Takahashi, M., Hosoda, K., Nishizono, T., Takao, G., Saito, H., Ishibashi, S., Furuya, N., Kodani, E., 2015. Resources and growth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in Japan. Chiayi city, Taiwan, Proc. of The 2015 International Symposium of Sustainable Forest Ecosystem Management in Rapidly Changing World (SFEM 2015). 

  29. Takeda, T., Hashizume, T. 2000. Effective sampling method for estimating bending strength distribution of Japanese larch square-sawn timber. Journal of Wood Science 46(5): 350-356. 

  30. Wimmer, R., Downes, G.M. 2003. Temporal variation of the ring width-wood density relationship in Norway spruce grown under two levels of anthropogenic disturbance. IAWA Journal 24(1): 53-61. 

  31. Yim, K.B. 1985. Silviculture theory. Hyangmun Press, Seoul, Korea. 

  32. Zhang, S.Y. 1998. Effect of age on the variation, correlations and inheritance of selected wood charicteristics in black spruce (Picea mariana). Wood Science and Technology 32(3): 197-204. 

  33. Zhu, J., Nakano, T., Hirakawa, Y. 1998. Effect of growth on wood properties for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Differences of annual ring structure between corewood and outerwood. Journal of Wood Science 44(5): 392-3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