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합문화기관으로서 도서관의 공간 구성 연구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Library as a Multicultural Institution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8 no.3, 2017년, pp.7 - 25  

곽승진 (충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노영희 (건국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신재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첨단정보전략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서관의 공간에 관한 문제는 오래전부터 도서관계와 건축, 공간디자인 분야 등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복합공간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고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도서관의 복합공간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서관 건축과 공간의 문제로 제시된 복합공간의 주요 이슈인 미디어테크, 인포메이션 커먼스, 라키비움과 최근에 도서관에 도입되고 있는 메이커스페이스 등 모든 개념이 중요한 요소이다. 미래의 도서관은 이러한 개념을 반영하여 독서와 정보, 학습, 휴식, 커뮤니티 중심에서 문화와 창작, 창업과 협업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와 사용자, 사용자와 사용자, 사용자와 미디어를 서로 연결하는 매개의 역할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복합 공간 플랫폼으로 건립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blem of library space has long been discuss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library relations, architecture, and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of the concept of the complex space of the librar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chnology and the soci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복합화를 이루고 있는 도서관의 공간에 대해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고찰로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개념을 추출하고 정리하였다. 도서관의 중요한 복합 문화공간 개념은 시대에 따라 미디어테크와 정보 공유공간으로서 인포메이션 커먼스(Information commons), 라키비움(Larchiveum), 메이커스 페이스(Maker Space) 등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첨단 기술의 발전과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및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의 개념 변화를 살펴보고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도서관의 공간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도서관 공간기능의 향후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첨단 기술의 발전과 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및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의 개념 변화를 살펴 보고 각각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 도서관의 공간 구축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미디어테크의 개념을 정립하고 전자적 커뮤니케이션을 포괄한 커뮤니티 시설로서 미디어 테크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일본의 센다이 미디어테크에 관해서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고찰을 통해서 새로운 정보화 시대의 미디어테크가 갖는 사회적, 건축적 가치와 의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도서관의 특징은 무엇인가? 미디어테크는 기존의 전통적 도서관(bibliotheque)의 개념이 확장되어 오늘날에는 정보화 사회의 공공 문화시설로서 도서관, 멀티미디어 자료실, 갤러리, 극장 등을 복합적으로 수용하는 정보, 문화, 교육, 커뮤니티 시설로 독일어로는 mediathck, 영어로는 미디어도서관(media library)로 표현된다. 공간적으로는 건물을 투명한 유리 등의 재료로 외부에 투영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소통과 공동체 생활에 부합하는 건축적 이미지를 강조하고 구획된 공간 대신 열린공간으로 단일하고 유동적인 공간을 제공하였다.
도서관의 중요한 복합 문화공간 개념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본 연구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복합화를 이루고 있는 도서관의 공간에 대해 선행연구를 통한 문헌고찰로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개념을 추출하고 정리하였다. 도서관의 중요한 복합 문화공간 개념은 시대에 따라 미디어테크와 정보 공유공간으로서 인포메이션 커먼스(Information commons), 라키비움(Larchiveum), 메이커스 페이스(Maker Space) 등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도서관의 복합문화공간의 개념별 주요 사례를 조사하고 특징을 분석하여 미래도서관의 공간 구축 방향을 제안하였다.
건축에서 복합이란? 건축에서 복합이라는 용어의 사전적 의미는 고유 프로그램을 가진 각각의 시설이 2개 이상, 동일 건물 또는 동일 대지 내에 건설되는 것을 말한다(고재민, 임호균 2012).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IT기술의 발달로 첨단 미디어를 수용하고 디지털자원이 확장되어 다양화되면서 이용자들의 요구 또한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경상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 [online]. [cited 2017.7.30]. .(Gyeongsangbukdo Creative Contents Agency. [online]. [cited 2017.7.30]. .) 

  2. 고재민, 임호균. 2012.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경향에 관한 연구. Design Convergence Study, 36(5): 43-56.(Ko, Jae-Min and Ho-Kyun Lim. 2012. "A Study on the Complex Trend of Domestic Public Libraries." Design Convergence Study, 36(5): 43-56.) 

  3. 곽철완. 2005. 공공도서관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49-167.(Kwak, Chul-Wan. 2005. "A Study of Factors for Public Library Space Nee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3): 149-167.) 

  4. 국립아시아문화전당. [online]. [cited 2017.7.30]. .(Asia Culture Center. [online]. [cited 2017.7.30]. .) 

  5. 국립중앙도서관. [online]. [cited 2017.7.30].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nline]. [cited 2017.7.30]. .) 

  6. 권기창. 2014. 라키비움 개념분석에 따른 세계유교문화박물관 필요기능 분석.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47: 129-138.(Kwon, Gi-Chang. 2014. "A Study on the Need Functions of World Confucianism Cultural Museu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archiveum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47: 129-138.) 

  7. 김우영, 이경훈, 김지원. 2002. 정보화 사회의 공공 문화 시설로서 미디어테크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집, 22(1): 259-262.(Kim, Woo-Young, Gyeong-Hoon Lee, and Ji-Won Kim. 2002. "A Study on Mediatheque as the Public Cultural Facility of the Information Age."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Planning & Design, 22(1): 259-262.) 

  8. 김유승. 2012. 국회 라키비움의 전망에 관한 연구: 기억기관 협력 정책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2): 93-115.(Kim, You-Seung. 2012. "A Study on Perspectives of the National Assembly Larchiveum: Focused on Discussion about Collaborative Strategies of Memory Institu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2(2): 93-115.) 

  9.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1): 53-76.(Noh, Young-Hee. 2014. "A Study on Creating and Managing "Makerspac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53-76.) 

  10. 박옥남, 박희진. 2017. 국회도서관 전시교육프로그램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라키비움 운영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1): 201-226.(Park, Ok-Nam and Hee-Jink Park. 2017. "A Study for Exhibition and Education Programs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Focusing on Larchiveu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1(1): 201-226.) 

  11.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개념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143-171.(Ahn, In-Ja, Sang-Ki Choi, and Young-Hee Noh. 2014. "A Study on Establishing Creative Zones and Creative Zone Programm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2): 143-171.) 

  12. 오정훈, 이응봉. 2014. 전문도서관 라키비움 구축에 관한 연구: 원자력 라키비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2): 229-246.(Oh, Jeong-Hoon and Eung-Bong Lee. 2014.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Larchiveum of Specialized Library: Focused on Atomic Larchiveum." Journal of Social Science, 25(2): 229-246.) 

  13. 오창은. 2016. 국립한국문학관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연구. 어문논집, 67: 179-203.(Oh, Chang-eun. 2016. "A Study on the National Korean Literature Center and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Literary Contents." The Journal of Language & Literature, 67: 179-203.) 

  14. 이명호, 오삼균, 도슬기. 2015. 라키비움(Larchiveum) 관점에서 본 국내 문학관의 운영실태와 과제-국내 문학관의 기능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 139-159.(Yi, Myong-Ho, Sam-Gyun Oh, and Seul-Ki Do. 2015. "A Study o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House: Larchiveum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139-159.) 

  15. 이미경. 2014. 라키비움 도입과 실현. 국회도서관, 6월호: 14-23.(Lee, Mi-Kyung. 2014. "Introduction and Realization of Larchiveum."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6: 14-23.) 

  16. 이상복, 이정미, 곽철완, 박현주. 2009. 공공도서관의 인포메이션커먼스(Information Commons) 적용 기본구상.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91-108.(Lee, Sang-Bok, Jeong-Mi Lee, Chul-Wan Kwak, and Hyun-Joo Park. 2009. "Basic Ideas 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91-108.) 

  17. 이수상. 2008. 디지털도서관 운영론. 서울: 한국도서관협회.(Lee, Soo-Sang. 2008. Digital Library Operations. Seoul: Korea Library Association.) 

  18. 이윤석, 최재필. 2003. 휴먼인터페이스에 입각한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미디어테크에 대한 연구: 공간 구문론을 이용한 센다이 미디어테크(smt)의 분석 및 기존 연구의 비판.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집-계획계, 23(2): 223-226.(Lee, Yoon-Serk and Jae-Pil Choi. 2003. "A Study on Mediatheque based on Human Interface as a Community Facility - An analysis of Sendai Mediatheque with Space Syntax."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Planning & Design, 23(2): 223-226.) 

  19. 임진희. 2012. 국회의 통합 라키비움을 기대하며. 국회도서관, 9월호: 18-21.(Lim, Jin-Hee. 2012. "Introduction and Realization of Larchiveum."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9: 18-21.) 

  20. 장우석, 손광호. 2011. 복합화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경향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 199-207.(Jang, Woo-Seok and Kwang-Ho Son. 2011. "A Study on the Trend and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y by the Mixe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l): 199-207.) 

  21. 정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정보공유공간)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67-87.(Chung, Jae-Young. 2007.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to the University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67-87.) 

  22. 조선일보. 2012. 지식의 보고, 뉴욕공공도서관 책 150만권을 내보낸다는데.... 5월 25일 [online]. [cited 2017.7.30]. .(The Chosun Ilbo. 2012. A Treasure House of Knowledge, The New York Public Library is sending out 1.5 million books [online]. [cited 2017.7.30]. .) 

  23. 천혜선, 이정미, 곽승진. 2013. 도서관 프로그램 재해석에 기반한 공간구성 제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4): 363-387.(Cheon, Hye-Sun, Jeong-Mi Lee, and Seung-Jin Kwak. 2013. "Spatial Configuration Suggestions Based on Interpretation of Library Programs: A Study on Operations Plan in the National Sejong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4): 363-387.) 

  24. 최영실, 이혜영.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을 융합한 라키비움의 기능 계획.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4): 457-477.(Choi, Young-Sil and Hae-Yung Lee. 2012. "Functional Planning of Larchiveum that Integrates the Function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457-477.) 

  25. 최영실.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복합 기능을 구현한 라키비움의 공간 기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12(2): 53-80.(Choi, Young-Sil. 2012. "A Study on the Spatial Function in Larchiveum based on the Multi- Function of Archives, Library and Museum." Journal of Korea Culture Industry, 12(2): 53-80.) 

  26. Denny, Heather. 2014. What do students want in a library? Here's what they told us: [online]. [cited 2017.7.30]. . 

  27. New York Public Library Homepage. [online]. [cited 2017.6.25]. . 

  28. Resnick, B. 2014. What the Library of the Future Will Look Like. National Journal [online]. [cited 2017.6.25].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