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ssessment Model for Math Clinic Progra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31 no.3, 2017년, pp.313 - 329  

김정현 (권선고등학교) ,  고호경 (아주대학교) ,  허난 (경기대학교) ,  황혜정 (조선대학교)

초록

수학학습클리닉은 학생과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고민을 함께 얘기해보면서 수학학습에 대한 정의적인 부분의 변화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앞으로 우리 학생들이 수학에 대해 긍정적인 마음으로 수학을 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일선학교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은 각 학교에서 교사의 재량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운영이 되고 있어 수학학습클리닉이 제대로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해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점검하고 운영을 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부분을 체크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평가모형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모형이 학교현장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수학학습클리닉의 운영이 보다 체계적이 될 것이며 프로그램 운영을 점검하고 운영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여 진행이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students who gave up mathematics' became social problems.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for spreading and seating mathematics clinics was recognized. The mathematics clinic emphasizes the change of the affective aspects by constantly meeting the students and listening to the worri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내용은 운영 방법면에서 모니터링, 피드백, 컨설팅과 같은 내용을 통해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도록 하였다. 교수 학습활동면에서는 상담일지, 체크리스트, 질문카드 등 상담을 위한 준비와 코칭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확인 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지원환경면에서는 수학학습클리닉 운영을 위해 교사연수와 운영을 위한 시설적인 부분에서 지원이 이루어졌는지 등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 이에 수학학습클리닉을 학교현장에서 운영하려고 할 때 학생들의 요구 반영과 교사가 갖추어야할 역량, 그리고 행정적 제반사항의 필요 부분을 안내해줄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을 운영하기 위해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이를 반영하며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제반사항들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운영을 통해 문제점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CIPP 평가모형을 사용하여 평가준거들을 추출한 후 평가항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평가 모형은 학교현장에서 체계화된 방법으로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되며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 운영을 점검하고 프로그램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해주어 내실 있는 운영을 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목표와 연계된 평가준거를 정의하고 준거에 따른 측정을 하며, 측정결과를 이전에 결정한 기준이나 준거와 비교하여, 산출결과를 이전의 평가정보와 관련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 변화활동의 지속과 종료, 수정, 재강조 등을 결정하거나 다른 변화과정만 관련시키는 문제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이러한 네 가지 평가 형식은 평가모형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에서 요구되는 성격과 내용이 운영 단계마다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고 있으며 평가 목적에 부합하는 정보를 제공하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모든 준비를 마치고 수학학습클리닉 운영과정에 대한 평가내용에 필요한 요소로는 교사가 상담을 진행할 때 상담 횟수와 교사가 자신의 상태를 점검해볼 수 있는 기회의 제공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또, 수학학습클리닉을 하면서 학생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상담의 시도가 있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 학습클리닉의 운영 결과에 대한 평가인 산출평가를 위한 평가내용을 고민하였다.
  • 셋째, 과정평가는 프로그램을 실현하는 단계에서 실현과정 및 절차 방안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미 선정된 프로그램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 이런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안과 활동을 기록하고 판단하는데 목적을 둔다. 잠재적인 절차상 장애물을 점검하고 예상치 못한 방해에 대하여 경고하며 실제적 과정을 기술하고 담당자들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실천 과정을 효과적으로 통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설계와 절차를 개선하고 실천하는데 중점을 두고 실시한다.
  •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의 기반 조성을 위하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는 ‘수학학습클리닉’을 운영하고 이에 대한 성과를 공유하고 확산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내용을 투입평가에 반영하였으며 평가시 확인해야 할 구체적인 내용은 비고란에 기재하였다. 수학학습클리닉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부분이 관련 내용(학습상담과 수학학습코칭)으로 구성되었는지 확인하도록 하였다.
  • 2차 전문가 협의에서는 1차 평가모형의 평가내용이 너무 포괄적인 개념으로 제시가 되어서 평가자가 평가내용을 보고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지에 대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에 각 평가내용의 비고란에 평가내용의 세부 항목을 적어 평가자가 평가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상세설명을 기재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표 Ⅳ-2 참조> 
  • 수학학습클리닉은 수학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 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변화를 위해서는 학생과의 상담을 필요로 하며 상담과정에서 학생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학생의 변화를 도와줄 수 있는 안내가 필요하다. 이에 수학학습클리닉은 주체인 학생 뿐 아니라 학생들을 둘러싼 환경 즉 학부모, 교사를 함께 고려하여 학습자들뿐만 아니라 학부모, 교사들을 위한 바른 지도방법을 연구, 개발. 수학 관련 성적, 적성, 진로에 대한 고민 상담을 통해 수학에 대한 자신의 문제점을 스스로 진단하도록 하며, 수학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부여하는 등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서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 평가내용은 만족도면에서 학생, 학부모, 교사의 만족과 시설부분에서의 만족을 확인하며 효과성에서는 학생과 교사의 변화를 함께 확인하도록 하였다. 지속가능성은 학습의 전이와 같은 부분을 확인하기보다는 지속적인 운영을 생각하는지 확인하도록 하였다.
  • 첫째, 학교 현장에서 수학학습클리닉을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여러 가지 제반사항에 대해 고려해보는 기회를 갖도록 한다. 어떤 프로그램의 운영에 있어서 필요한 사항이 무엇이며 학교 현장에서 지원을 할 수 있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확인하고 지원이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 방법을 모색해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그램 평가의 근본은 무엇인가? Stufflebeam(1971)은 프로그램 평가를 “어떤 프로그램(활동, 서비스)의 의사결정을 위하여 유용한 정보를 설명하고 획득하며 제공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많은 요소를 포함하는 복잡한 과정이지만 그 근본은 목표(objective)-수단(means)-척도(measures)의 단순한 3단계의 연속이라고 할 수 있다(Issac & Michael, 1981). 따라서 프로그램을 평가한다는 것은 평가하고자 하는 목표를 결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를 결정해야하며 마지막으로 설정한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평가척도를 가지고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란? 전화춘(2009)은 프로그램(program)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계된 일련의 계획과 행동”이라는 의미로 사용하며, 프로그램은 현대 사회에 제공되는 학문, 생산, 그리고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을 돕는 것이며 프로그램 개발 또는 설계는 이러한 서비스나 활동을 만들어내는 일이라고 하였다. 프로그램은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계획과 실행 및 실행 결과에 대한 평가의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프로그램 평가의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따라서 프로그램을 평가한다는 것은 평가하고자 하는 목표를 결정하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방법을 선택할지를 결정해야하며 마지막으로 설정한 목표를 달성했는지를 평가척도를 가지고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각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면 목표를 진술하는 단계에서는 측정과 관찰이 가능한 용어로 각 목표를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진술해야 한다. 수단을 계획 단계에서는 목표를 달성 하는데 실행될 다양한 전략과 활동을 계획해야 한다. 그리고 척도개발 단계에서는 각 목표의 성취정도를 결정하는 척도를 선택하거나 개발해야 한다(전화춘,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옥기.허난.이환철.박경은.조현공 (2010). 수학교육학 정론. 서울: 경문사. (Kang, Y., Huh, N., Lee, H. Park. K., & Cho, H.. (2010)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교육선진화 방안 발표 보도자료.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National Mathematics Education Advance Plan. 2012.1.10) 

  3. 권낙원(1985).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모형 개발. 한국교육, 12(1), 169-184. (Kwon, N. (1985).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Education.. 12(1), 169-184.) 

  4. 고호경.양길석.이환철 (2015). 수학학습 상담을 위한 진담 검사지 개발 연구. 수학교육학논문, 29(4). 723-743. (Ko, H., Yang, K., & Lee, H. (2015). Development of the Diagnostic Worksheet for Mathematics Academic Counseling. J. Korea Soc. Math. Ed. Ser.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9(4). 723-743.) 

  5. 고호경 (2017). 수학나눔지원단 운영. AD17020004, 한국과학창의재단. Ko, H.. (2017). (Managing the mathematics learning support group. AD17020004,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6. 김동원 (2008). 중학생을 위한 학업 상담 프로그램 개발 효과. 전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Kim, D. W. (2008).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Academic Counseling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its Effectiveness: with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Motivation. Department of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7. 김선아 (2016). 수학적 사고 스타일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에서의 표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S. A. (2016). Analysis of Representation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Mathematical Thinking Styles.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8. 김소영.이영민.최영섭.홍성민 (2011). CIPP 평가모형과 Kirkpatrick 평가모형을 활용한 중소기업 훈련 컨소시엄 사업의 성과 평가연구. 직업교육연구, 30(1), 51-74. (Kim, S., Lee, Y., Choi, Y., & Hong, S. (2011). Evaluation Research on the Outcomes ofConsortium Training Programs for Small and Middle-sized Corporations by Using CIPP Model and Kirkpatrick's Mode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0(1), 51-74.) 

  9. 김영국.박기양.박규홍.박혜숙.박윤범.유현주.권오한.이선아 (2001). 수학 기피요인의 설정 및 기피성향의 분석도구 개발. 수학교육. 40(2). 217-239. (Kim, Y., Park, K., Park, K., Park, H., Park, Y., Yu, H., Kwon, O., & Lee, S. (2001). Studies on Exploring Math. Disliking Factors and Devising Tools to Analyze Student's Disliking Trends about School Mathematics. J. Korea Soc. Math. Ed. Ser.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40(2). 217-239.) 

  10. 김은정 (2007). 정의적 학습 양식 개념적 모형 정립. 교육의 이론과 실천, 12(1), 1-23. (Kim, E. J. (2007). The Elements and Conceptual Model of Affective Learning Styles.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12(1), 1-23.) 

  11. 김은주 (1996). 수학과 학습부진아을 위한 보충학습자료 효과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E. J. (1996). Study on the effects of using supplement materials in mathematics for the under-achievement students. Major in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12. 김정섭 (2009). 학습컨설팅의 중요성과 학습컨설턴트의 역할.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1(1). 19-33. (Kim J. S.(2009). Importance of Learning Consultation and the Role of Learning Consulta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and Learning Consultation, 1(1). 19-33.) 

  13. 김현수 (2012). 중학교 또래상담 프로그램 평가 : CIPP모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H. (2012). An Evaluation of Peer Counseling Program in Middle Schools based on CIPP Model.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4. 권혁진.김민경.이은영 (2006). 학습부진아 수학 클리닉 운영사례. 한국학교수학회논문. 9(1). 19-40. (Kwean, H., Kim, M., & Lee, E. (2006). Math Clinic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9(1). 19-40.) 

  15. 다무라 사부로 (1997). 수학 기피증을 없애 주는 책, 조윤동 역. 서울: 아카데미서적. (Tamura Saburo(1997). A book that eliminates math giddiness. Seoul: Academic books.) 

  16. 박혜숙.박기양.김영국.박규홍.박윤범 (2004). 중학교 수학 학습부진아의 기피 현상. 수학교육논문집. 18(1), 183-190. Park, H., Kim, Y., Park, K., Park, K. & Park, Y.(2004). Escape of underachievers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learni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18(1), 183-190. 

  17. 배호순 (2008). 교육과정 평가론. 서울: 교육과학사. (Bae, H. (2008). Theory-Driven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Seoul: Education Science History.) 

  18. 백희수 (2009). 수학학습 양식 구성 요인 탐색과 수학 학습자 유형 분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aik, H. S. (2009). A Study on the Constituents of Math Learning Styles and the Categorization of Math Learners.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19. 박윤희 (2010). 성공적인 커리어코칭 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ark, Y. H. (2010). A Study on the Successful Career Coaching Process.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20. 송인섭 (2006). 현장적용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서울: 학지사. (Song, I.(2006). Self-directed learning for field application. Seoul : Hakjisa.) 

  21. 신을진.이일화 (2010). 학습코칭프로그램이 학습부진아의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1(4). 145-165. (Shin, E. & Lee, I.. (2010). Effects of the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the Elementary Underachiever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4). 145-165.) 

  22. 이주희 (2004). 사이버대학의 질 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평가항목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Lee, J. H. (2004). A Study on the Criteria Assuring Quality in Cyber Universities.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3. 전도근 (2006). 생산적 코칭. 서울: 북포스. (Jeon. D.(2006). Productive Coaching. Seoul: 북포스.) 

  24. 전도근 (2009) 자기주도적 공부습관을 길러주는 학습코칭. 서울: 학지사. (Jeon. D. (2009). Learning coaching that fosters self-driven learning habits. Seoul : Hakjisa.) 

  25. 전도근 (2012). 자기주도학습 코칭전략. 서울: 학지사. (Jeon. D. (2012). Self-driven learning coaching strategy. Seoul : Hakjisa.) 

  26. 정현옥.김미영.민세홍 (2010).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실과교육연구. 16(4). 197-212. (Jung, H. Kim, M., & Min, S. (2010). Learning Coaching Program to Improve Self-Directed Leaming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6(4). 197-212.) 

  27. 조혜정 (2016). 수학학습상담모델 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Cho, H. J. (2016). Development of an Academic Advising Model for Mathematics Educati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8. 최재용 (2008).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부정적 학습 특성 분석을 통한 수학 학습 개선방안 연구- 중학교 함수 내용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Choi, J. Y. (2008). Studying the Learning Improvement Using the Analysis of Defectiv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 Focused on Function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29. 황매향 (2016). 사례에서 배우는 학업상담의 실제. 서울: 사회평론아카데미. (Hwang, M. (2016). The practical practice of learning in a case. Social Review Academy.) 

  30. Hughes, M. (2004). Coaching in Schools. Cheltenham: Education Training and Support. 

  31. Isaac, S. & Michael, W. (1981). Handbook in research and evaluation. 2nd ed. San Diego, Calif. : EDITS. 

  32. Stufflebeam, D. L. (1971).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Journal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Education, 5(1), 19-25. 

  33. Thomas, W. & Smith, A. (2004). Coaching Soulutions: Practical Ways to Improve Performance in Education. Stafford:Network Educational Press Ltd. 

  34. Tunbull, J. (2009). Coaching for Learning : A Practical Guide for Encouraging Learning. Bloomsbury Academic.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