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줄기 70% 에탄올 추출물과 발효균주 Lactobacillus pentosu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담쟁이덩굴 줄기 발효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를 이용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이 각각 42.3 및 $34.5{\mu}g/mL$로 발효 후의 라디칼 소거활성이 약 18.4% 더 높게 나타났다. Lumi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의 총 항산화능($OSC_{50}$) 평가에서도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은 각각 2.6 및 $2.5{\mu}g/mL$로 발효 후가 약 4.2% 정도 더 높은 총 항산화능을 나타냈다. $^1O_2$로 유도된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의 세포 보호 효과(${\tau}_{50}$)는 $50{\mu}g/mL$에서 각각 126.4 및 173.0 min을 나타내어 발효 후 세포 보호 효과가 약 34.0%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추출물은 지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alpha}$-tocopherol (43.4 min)보다도 3.9배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보여주었다. 사람 섬유아세포인 Hs68을 대상으로 elastase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Elastase 저해 활성($IC_{50}$)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과 발효추출물에서 각각 873.6 및 $687.8{\mu}g/mL$로 발효 후에 elastase 저해 활성이 약 21.3%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발효추출물이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주름개선 효과를 가지는 천연 화장품 소재로써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 activities, cellular protective effects, and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of non-fermented and fermented extract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 tricuspidata) stem using Lactobacillus pentosus were investigate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SC_{...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에 대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총항산화능, 1O2으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세포보호효과를 조사하고, Hs68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여 담쟁이덩굴 발효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 소재로서 화장품에의 응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Fe3+-EDTA/H2O2계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활성산소를 발생시키고 이들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철(Fe)과 구리(Cu) 같은 전이금속 이온들은 생체 내에도 존재하며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H2O2와 Fenton 반응을 일으켜 다양한 활성산소종이 생성된다.
  • 특히 1O2은 광증감 반응의 주생성물이며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로 세포막에 침투하여 인지질 및세포 구성성분들의 자동산화반응을 개시하여 세포막파괴 및 세포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막의 지질 이중층과 유사한 적혈구 세포를 이용하여구축된 세포 보호 효과 측정 시스템으로 1O2로 유도된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광증감제로써 rose-bengal을 사용하여 1O2을 발생시키고, 적혈구 세포의 용혈 정도를 통해 이를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는 무엇이 생성되는가? 특히 자외선(UV)은 외인성 피부 광노화의 주요한 원인이다.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서는 singlet oxygen (1O2), superoxide anion radical (O2∙-), hydrogen peroxide (H2O2), hydroxyl radical (∙OH), alkoxyl radical (∙OR) 및 hydroperoxyl radical (∙OOR) 등 다양한 종류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9]. 이들 ROS는 피부에 존재하는 지질, 단백질 및 DNA를 산화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콜라젠이나 엘라스틴과 같은 매트릭스 구성 단백질들의 절단 및 비정상적인 가교결합을 통하여 주름생성을 동반하는 피부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과잉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기능성 화장품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서는 singlet oxygen (1O2), superoxide anion radical (O2∙-), hydrogen peroxide (H2O2), hydroxyl radical (∙OH), alkoxyl radical (∙OR) 및 hydroperoxyl radical (∙OOR) 등 다양한 종류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9]. 이들 ROS는 피부에 존재하는 지질, 단백질 및 DNA를 산화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콜라젠이나 엘라스틴과 같은 매트릭스 구성 단백질들의 절단 및 비정상적인 가교결합을 통하여 주름생성을 동반하는 피부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에서 생성되는 과잉의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거나 피부 세포외 매트릭스 성분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을 분해시키는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활성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은 기능성 화장품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발효과학은 무엇인가? 최근 인간에게 유익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기능성 발효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은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내세우면서 연구와 개발 그리고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그 폭을 넓혀가고 있다. 발효과학이란 인체에 유익한 미생물이 여러 성분들을 작게 분해시켜서 체내에 흡수가 잘되도록 하거나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서 유익한 기능을 나타내도록 돕는 것을 말한다[1]. 유산균, 효모등과 같은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로 유효 성분의 함량은 크고 독성이 작아 인체에 안전한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 Y. Kim, A. G. Kim, S. W. Ham, and C. H. Chin, A clinical study on effects of the fermented cosmetic products on skin - focused on the skin trouble products of MigadoCos, Asian J. Beauty Cosmetol., 8(4), 1 (2010). 

  2. Y. Okabe, T. Shimazu, and H. Tanimoto, Higher bioavailability of isoflavones after a single ingestion of aglycone-rich fermented soybeans compared with glucoside- rich non-fermented soybeans in Japanese postmenopausal women, J. Sci. Food Agric., 91(4), 658 (2011). 

  3. C. G. Schmidt, L. M. Goncalves, L. Prietto, H. S. Hackbart, and E. B. Furlong,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e inhibition of phenolic acids from fermented rice bran with fungus Rizhopus oryzae, Food Chem., 146, 371 (2014). 

  4. B. G. Park, H. J. Jung, Y. W. Cho, H. Y. Lim, and C. J. Lim, Potentiation of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cultured wild ginseng root extract through probiotic fermentation, J. Pharm. Pharmacol., 65(3), 457 (2013). 

  5. H. J. Yang, E. H. Kim, J. O. Park, J. E.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fermented Melissa officinalis extracts, J. Soc. Cosmet. Sci. Korea, 35(1), 47 (2009). 

  6. Y. J. Ahn, B. R. Won, M. K. Kang, J. H. Kim, and S. N. Park, Antioxidant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fermented Lavandula angustifolia extracts, J. Soc. Cosmet. Sci. Korea, 35(2), 125 (2009). 

  7. A. R. Im, J. H. Song, M. Y. Lee, S. H. Yeon, K. A. Um, and S. Chae, Anti-wrinkle effects of fermented and non-fermented Cyclopia intermedia in hairless mice, BMC Complement. Altern. Med., 14, 424 (2014). 

  8. C. C. Tsai, C. F. Chan, W. Y. Huang, J. S. Lin, P. Chan, H. Y. Liu, and Y. S. Lin, Applications of Lactobacillus rhamnosus spent culture supernatant in cosmetic antioxidation, whitening and moisture retention applications, Molecules, 18(11), 14161 (2013). 

  9. A. Kammeyer and R. M. Luiten, Oxidation event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21, 16 (2015). 

  10. H. K. Hwang, H. K. Sung, W. K. Whang, and I. H. Kim, Flavonol glycosides from Parthenocissus tricuspidata leaves, J. Pharm. Soc. Korea, 39(3), 289 (1995). 

  11. M. Saleem, H. J. Kim, C. Jin, and Y. S. Lee, Antioxidant caffeic acid derivatives from leaves of Parthnocissus tricuspidata, Arch. Pharm. Res., 27(3), 300 (2004). 

  12. T. Kundakovic, T. Stanojkovic, M. Milenkovic, J. Grubin, Z. Juranic, B. Stevanovic, and N. Kovacevic, Cytotoxic,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and Parthenocissus tricuspidata (vitaceae), Arch. Biol. Sci., 60(4), 641 (2008). 

  13. W. H. Park, S. J. Lee, and H. I. Moon, Antimalarial activity of a new stilbene glycoside from Parhenocissus tricuspidata in mice,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2(9), 3451 (2008). 

  14. M. Ohyama, T. Tanaka, T. Ito, M. Iinuma, K. F. Bastow, and K. H. Lee, Antitumor agents 200. Cytotoxicity of naturally occurring resveratrol oligomers and their acetate derivatives, Bioorg. Med. Chem. Lett., 9(20), 3057 (1999). 

  15. B. U. Ridwan, C. J. Koning, M. G. Besselink, H. M. Timmerman, E. C. Brouwer, J. Verhoef, H. G. Gooszen, and L. M. A. Akkermans, Antimicrobial activity of a multispecies probiotic (Ecologic 641) against pathogens isolated from infected pancreatic necrosis, Lett. Appl. Microbiol., 46(1), 61 (2008). 

  16. L. H. Quan, L. Q. Cheng, H. B. Kim, J. H. Kim, N. R. Son, S. Y. Kim, H. O. Jin, and D. C. Yang, Bioconversion of ginsenoside Rd into compound K by Lactobacillus pentosus DC101 isolated from kimchi, J. Ginseng Res., 34(4), 288 (2010). 

  17. Y. H. Pyo, T. C. Lee, and Y. C. Lee, Enrichment of bioactive isoflavones in soymilk fermented with ${\beta}$ -glucosidas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ood Res. Int., 38(5), 551 (2005). 

  18. J. W. Min, H. J. Kim, K. S. Joo, and H. C. Kang, Isolation of Stenotrophomonas rhizopilae Strain GFC09 with ginsenoside converting activity and anti- wrinkle effects of converted ginsenosides, J. Soc. Cosmet. Sci. Korea, 41(4), 375 (2007). 

  19. S. H. Kim, J. W. Min, L. H. Quan, S. Lee, D. U. Yang, and D. C. Yang, Enzymatic trnasformation of ginsenoside Rb1 by Lactobacillus pentosus strain 6105 from Kimchi, J. Ginseng. Res., 36(3), 291 (2012). 

  20. N. Tsuji,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and G. Imokawa,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2), 283 (2001). 

  21. K. Tsukahara, Y. Takema, S. Moriwaki, N. Tsuji, Y. Suzuki, T. Fujimura, and G. Imokawa, Selective inhibition of skin fibroblast elastase elicits a concentration-dependent prevention of ultraviolet b-Induced wrinkle formation, J. Invest. Dermatol., 117(3), 671 (2001). 

  22. B. J. Kong, Y. J. Kim, J. S. Baek, D. B. Lee, J. W. Lee, N. Y. Min, A. Y. Kim, and S. N. Park, Antioxidative effects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ate (Ilex paraguariensis) extract/fractions, J. Soc. Cosmet. Sci. Korea, 41(4), 391 (2015). 

  23. H. J. Lee, G. N. Lim, M. A. Park, and S. N. Park,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1), 63 (2011). 

  24. D. H. Kim, J. H. Kim, S. H. Baek, J. H. Seo, Y. H. Kho, T. K. Oh, and C. H. Lee, Enhancement of tyrosinase inhibition of the extract of Veratrum patulum using cellulase, Biotechnol. Bioeng., 87(7), 849 (2004). 

  25. S. Y. Kim, S. J. Kim, J. Y. Lee, W. G. Kim, W. S. Park, Y. C. Sim, and S. J. Lee, Protective effects of dietary soy isoflavones against UV-induced skin-aging in hairless mouse model, J. Am. College Nutr., 23(2), 157 (2004). 

  26. H. M. Chiang, H. C. Chen, T. J. Lin, I. C. Shih, and K. C. Wen, Michelia alba extract attenuates UVB-induced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via MAP kinase pathway in human dermal fibroblasts, Food Chem. Toxicol., 50(12), 4260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