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 수수 재배에서 토양염농도와 파종방법에 따른 입모 및 생육특성
Characteristics of Emergence and Growth of Sorghum at Various Soil Salinities and Seeding Methods in Reclaimed Soil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2 no.3, 2017년, pp.233 - 240  

김선 (국립식량과학원) ,  류진희 (국립식량과학원) ,  백채훈 (국립식량과학원) ,  이수환 (국립식량과학원) ,  오양렬 (국립식량과학원) ,  이정태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간척지 토양에 수수 재배기술체계 확립을 위해 토양염농도 $1.6dS\;m^{-1}$$3.2dS\;m^{-1}$에서 파종시기와 재식거리를 달리하여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파종깊이별 입모율은 남풍수수, 황금찰수수 모두 3cm 깊이에 파종했을 때 높은 입모율을 나타내 수수 파종 깊이는 3 cm깊이로 파종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2. 토양수분함량별 입모율은 10~30 kpa ~ 51~70 kpa까지 차이가 없었으며, 파종 전 종자를 물에 침지하여 수분을 흡습시켜 파종한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3. 토양염농도별 입모율은 남풍찰수수는 $1.6dS\;m^{-1}$ 농도까지는 무염과 동일한 입모율을 나타냈으나, 황금찰수수는 $1.6dS\;m^{-1}$에서부터 감소가 시작되었다. 4. 포장시험에서 품종별 입모율은 남풍찰수수가 황금찰수수보다 높았고, 파종시기에 따른 초장과 $m^2$당 이삭 수는 파종시기가 빨랐을 때 크고 많은 경향이었으며, 재배토양 염농도의 증가는 초장, 지상부 건물무게, 이삭무게를 감소시켰다. 5. 수량은 토양염농도에 관계없이 6월15일, 6월25일 모두 남풍찰수수가 높았고, 토양염농도 증가에 따른 품종별 감수율은 6월15일 파종에서는 남풍찰수수가 적었으나 6월25일 파종에서는 황금찰수수가 적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cultivation system for sorghum in reclaimed soils. Pot experiment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s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sowing depth, soil water content, and soil salinity using seeds of Nampungchal-susu and Hwanggeumchal-susu in reclaimed soil. F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부산물인 줄기는 경질의 원통 구조를 갖고 있어 토양환원시 신간척지 토양의 물리성 개선 효과가 있다. 이 같은 특성들이 초기 간척지 도입 권장 작물로 육성키 위해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으로 재배되는 수수의 품종들을 이용하여 토양염농도와 재배시기에 따른 입모 관련 특성과 재식밀도별 수량성에 관한 재배시험을 수행하여 간척지 재배기술을 확립코자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를 재배할 시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 2013a). 반면 이 식물은 일장에 민감하여 품종간에 숙기차이가 커서 파종시기가 너무 빠르거나 늦을 경우 수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재배지의 환경에 맞는 품종 선정이 요구되며(Yun, H. T., 2009), 식재방법에 따라서도 수량에 차이를 나타낸다(Allam et al., 2002; Kaushik, 2005).
수수란 무엇인가? 수수(sorghum bicolor L.)는 내건성이 강한 작물로 아프리카가 원산지로인 식물로서 주로 연 강우량 400 mm 이하의 인도와 같은 아열대 지역과 반건조 지대를 중심으로 재배되어온 건조에 대한 내성이 강한식물이다(Bennett et al., 1990; Khosla et al.
간척지에서 종자 발아에 필요한 수분흡수가 어려운 이유는? 간척지는 표토의 염농도가 낮아졌더라도 한발발생시 토양 하층에 있는 염분의 상승으로 재염화의 피해가 나타나며, 일반토양보다 높은 농도로 함유된 Na+ 이온은 토양입자와 결합하여 토양의 입단 형성을 방해함으로서 수분 보유력이 낮은 토양상태를 만들어서 종자의 발아에 필요한 수분흡수를 어렵게 한다. 또한 토양 내 낮은 유기물함량으로 인해 양분 보유력이 낮아 비료이용율도 낮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lam, A. Y., G. R. El-Nagar, M. M. Abdalla, and N. Ibrahim. 2002. Response of some grain sorghum cultivation to planting density and nitrogen fertilization. Assiut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3(2) : 133-149. 

  2. Bennett, W. F., B. B. Tucker, and A. B. Maunder. 1990. Modern grainsorghum production. Iowa state Univ. Press, Ames. 

  3. Hwang, S. W., I. S. Ryu, and J. K. Park. 1989. Effect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Rice Growth in Saline Soil. Res. Rept. RDA (S&F) 31(2) : 37-50. 

  4. Im, H. B. and C. S. Hoang. 1977. A Basic on Suger Beet Culture in Salty Area 1.On The Sugar Accumulation of Sugar Beet in Reclaimed Salty Are. Korean Jour. Botany 20(1) : 23-27. 

  5. Jung, K. Y. 2015. Study on Mechanical cultivation and standardization for foxtail millet and Sorghum.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esearch Report 2013. p 648 (남풍찰 수량성 228 kg). 

  6. Kim, E. S., S. K. Kim, D. H. Kim, B. Y. Son, D. J. Kang, Z. R. Choe, and G. W. Song. 2000. Effects of Planting Densities on Growth and Yield of Fresh Waxy Corn as Second Crop. Korean J. Crop Sci. 45(3) : 190-194. 

  7. Kim, H. S., E. H. Hong, S. I. Park, and Y. K. Park. 1993. Responses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s on Planting Density in Determinate and Indeterminate Soybeans. Korean J. Crop. Sci. 38(2) : 189-195. 

  8. Kaushik, M. K. and M. S. Shaktawat. 2005. Effect of row specing, nitrogen and control on growth, yield and nutrient uptake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Indian Journal of Agronomy 50(2) : 140-142. 

  9. Khosla, R., N. Persaud, N. L. Powell, and D. E. Brann. 1995. Water use sorghum on amarginal soil in Eastern Virginia. pp. 433. In 1995 Agronomy abstrats. ASA Madison. WI. 

  10. Kim, S., W. Y. Choi, C. H. Yang, and T. K. Kim. 2013a. Study on growth response of upland crop as different soil salinity in newly reclaimed land.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esearch Report 2013. pp. 629-641. 

  11. Kim, S., C. H. Yang, J. H. Jeong, W. Y. Choi, K. S. Lee, and C. J. Kim. 2013b. Physiological Response of Potato Variety to Soil Salinity. Korean J. Crop. Sci. 58(2) : 85-90. 

  12. Kim, S., J. H. Ryu, Y. J. Kim, J. H. Jeong, S. H. Lee, and Y. Y. Oh. 2016. Influence of Soil Salinity on the Growth Response and Inorganic Nutrient Contant of a Millet Cultiver. Korean J. Crop. Sci. 61(2) : 113-118. 

  13. Kim, S., W. Y. Choi, J. H. Jeong, and K. B. Lee. 2014. Physiological Response of Four Corn Cultivars to Soil Salinity. Korean J. Crop. Sci. 58(2) : 293-298 

  14. Lee, S. H., B. D. Hong, Y. M. An, and H. M. Ro. 2003. Relation between Growth Condition of Six Upland Crop and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Korean J. Soil. Fert. 36(2) : 66-71. 

  15. Ryu, J. H., Y. J. Kim, S. H. Lee, Y. Y. Oh, Y. D. Kim, H. C. Hong, C. H. Yang, and S. L. Kim. 2015.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Winter Cereal Forage Crop affected by Seeding Rate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Korean J. Int. Agric. 27(4) : 505-510. 

  16. Son, J. G., J. W. Koo, and J. K. Choi. 1994. Soil salt prediction modeling for the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for dry field crops in reclaimed tidelands.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6(2) : 96-110. 

  17. Shin, J. S., S. H. Lee, W. H. Kim, J. G. Kim, S. H. Yoon, and K. B. Lee. 2005. Effect of ammonium sulfate and potassium sulfate fertilizer on dry mater yield and forge quality of Sorghum ${\times}$ Sudangrass hybrid in reclaimed land. Korean Grassl Sci. 25(4) : 245-250. 

  18. Wiedenfeld, B. and J. Matocha. 2010. Planting date, row configuration and plant population effect on growth and yield of dryland sorghum in subtropical South Taxis. Archives of Agronomy and Soil Science 56(1) : 39-47. 

  19. Yun, H. T. 2009. Selection of regional standard cutivars for minor crops adatable to dry paddy field.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Research Report 2009. pp. 480-5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