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경험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4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 활용
Effects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Using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8 no.1, 2017년, pp.78 - 87  

김경숙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their families with regard to their health statuses and health behavior experiences. Methods: We used source data from the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ubje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4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행위 경험이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관련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우선 대상자의 특성 중 지역사회간호와 관련하여 의미있는 결과는 80세 이상 노인과 우울감이 있는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이 가장 낮았고, 다른 연구결과[9,23]와 동일하게 독거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이 가족동거노인보다 더 낮았다(p<.
  • 본 연구는 2014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자료 활용을 위하여 서약서를 작성하고,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대한 동의, 자료이용계획서 작성 및 자료요청과정을 거친 후 자료 활용에 대한 승인을 받았다. 본 연구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4.
  • 본 연구는 국내 65세 이상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행위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따라서 지역사회 간호대상에 포함되는 노인들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을 유지 ․ 증진시키고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를 근거로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표본 추출 방식을 통하여 표준화된 방식으로 조사한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의 건강상태와 건강검진을 포함한 건강행위 경험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관련 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있는 우울이 독거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이러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스트레스와 우울은 노인의 자살생각을 유도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8]. 특히 가족과 함께 사는 노인보다 가족과 동거하지 않는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우울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9,10], 이러한 독거노인의 우울은 경제적인 부담과 삶에 대한 걱정들과도 관련이 있고, 식욕감퇴와 자살생각과도 이어지기 때문에 사회적인 지지체계를 통해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켜 주려는 노력이 중요하다[11].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노인들에게 는 사회적인 지지가 부족하다는 것이 흔한 문제가 되고 있다[12].
국내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상황은 어떠한가? 국내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05년에는 전체 인구의 9.3%에 불과하였으나, 2015년에는 13.2%로 증가하였으며, 2026년에는 전체 인구의 25.8%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100세 이상의 노인인구도 2005년 960명에 비해 2015년에는 3,159명으로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도 고령인 노인인구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1]. 이에 따라 정부에서는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대비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5년 단위로, 노후 소득보장 강화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고령자 운동 활성화, 그리고 노인 의료비 부담 경감 정책 등을 포함한 고령사회 기본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2].
노인에게서의 삶의 질은 어떤 요인으로 정의되는가? 노인에게서의 삶의 질은 행복감, 가치관, 자존감으로 정의되기도 한다[7]. 이러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스트레스와 우울은 노인의 자살생각을 유도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censu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7 January 3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rd plan for ageing society and population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7 Januar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334597&page1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health screening project guid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7 Januar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37381&page1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ancer screening project guid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7 Januar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 

  5.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survey of the elderly.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December. Report No.: 2014-61.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elderly healthy welfare project guide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6 [cited 2017 January 3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0&CONT_SEQ330771&page1 

  7. Sarvimaki A, Stenbock-Hult B. Quality of life in old age described as a sense of well-being, meaning and valu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0;32(4):1025-1033. 

  8. Koo CY, Kim JS, Yu JO.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lders' suicidal ideation: Focused on comparison of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4;25(1):24-32. http://dx.doi.org/10.12799/jkachn. 2014.25.1.24 

  9. Kim KB, Lee YJ, Sok SH. A comparative study on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the elderly living with family and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08;20(5):765-777. 

  10. Kang HC. A study on comparison of Yangseng (traditional health behavior), depression, anxiety and cognitive function between th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the aged in the living with family.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4; 25(2):123-132. http://dx.doi.org/10.7231/jon.2014.25.2.123 

  11. Fukunaga R, Abe Y, Nakagawa Y, Koyama A, Fujise N, Ikeda M. Living alone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community in Japan. Psychogeriatrics. 2012;12 (3):179-185. http://dx.doi.org/10.1111/j.1479-8301.2012.00402.x 

  12. Jennifer Yeh SC, Lo SK. Living alone, social support, and feeling lonely among the elderl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2004;32(2):129-138. http://dx.doi.org/10.2224/sbp.2004.32.2.129 

  13. Liu N, Zeng L, Li Z, Wang J.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long-term care needs among elderly individuals living alone: A cross-sectional study in rural areas of Shaanxi Province, China.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2013;13(1):1-7. http://dx.doi.org/10.1186/1471-2458-13-313 

  14. Gobbens RJJ, van Assen MALM. The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by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omponents of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Quality of Life Research. 2014;23(8):2289-2300. http://dx.doi.org/10.1007/ s11136-014-0672-1 

  15. Sok SH.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health status, family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the aged living alone and living with fami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4):564-574. 

  16. Trujillo AJ, Puvanachandra P, Hyder AA. Individual income and falls among the elderly in Latin America. Geriatrics Gerontology International. 2011;11(2):180-190. http://dx.doi.org/10.1111/j.1447-0594.2010.00662.x 

  17. Chou KL, Chi I. Comparison between elderly Chinese living alone and those living with others.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ork. 2000;33(4):51-66. http://dx.doi.org/10.1300/J083v33n04_05 

  18. Lee JH, Kang HG, Jung WS, Chae YM, Ji YG. The impact of employment on elder’s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1):143-156. 

  19. Park YM, Jegal D, Kim BK.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16;20(1):261-286. http://dx.doi.org/10.20484/klog.20.1.11 

  20. Statistics Korea. Cause of death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cited 2017 January 3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A#SubCont 

  21. Song H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walking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walk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6; 14(8):515-525. http://dx.doi.org/10.14400/JDC. 2016.14.8.515 

  22. Lim GT, Kwon IS, Kim SY, Cho YC, Nam HS.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social class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5):2189-2198. http://dx.doi.org/10.5762/KAIS.2012.13.5.2189 

  23. Hellstrom Y, Hallberg IR. Perspectives of elderly people receiving home help on health, care and quality of life.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001;9(2):61-71. 

  24. Mangen MJJ, Bolkenbaas M, Huijts SM, van Werkhoven CH, Bonten MJ, de Wit GA. Quality of life in community-dwelling Dutch elderly measured by EQ-5D-3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7;15(1):1-6. http://dx.doi.org/10.1186/s12955-016-0577-5 

  25. Hong SH. An analysis of the quality of life and the affecting factors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2016;20(1):89-108. 

  26. Yahaya N, Abdullah SS, Momtaz YA, Hamid TA. Quality of life of older Malaysians living alone. Educational Gerontology. 2010;36:893-906. http://dx.doi.org/10.1080/ 03601271003609009 

  27. Kim JI.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99-10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28. Wada T, Ishine M, Sakagami T, Kita T, Okumiya K, Mizuno K, et al.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in three Asian countries: Indonesia, Vietnam, and Japa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5;41(3):271-280. 

  29. Shin SB, Park JY.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elderly women. Asian Women. 2015;11:7-46. 

  30. Kim JG. The impact of family type on health behavior of elderly peopl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11;51:35-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