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우젓갈의 숙성온도 및 식염농도가 위생품질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Changes in Quality Index of Salted Shrimp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5, 2017년, pp.355 - 362  

송호수 (영산대학교 서양조리학과) ,  김성훈 (영산대학교 동양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새우젓갈을 대상으로 젓갈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식염의 농도 및 숙성 온도가 전체 숙성기간 동안에 식품 위생적 품질 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새우젓갈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식염 농도가 높을수록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낮게 나타났고, 숙성온도 $20^{\circ}C$에서는 $10^{\circ}C$에 비해 빠른 휘발성 염기질소 증가를 나타내었다. 또한, 히스타민의 발현은 식염첨가량은 히스타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숙성온도가 낮은 경우 히스타민의 함량도 낮게 나타나 온도가 히스타민의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임을 확인하였으며, 새우젓갈의 히스타민 함량은 낮은 수준으로 숙성기간 내내 유지되어 새우젓갈에 있어서 히스타민은 숙성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숙성온도를 지나치게 높이지 않는다면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미노산성 질소함량의 변화는 숙성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숙성온도간 차이에 비해 그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새우젓갈의 총균수 변화에 미치는 식염 농도 및 숙성온도의 영향은 식염 농도가 높을수록 식염에 의한 미생물의 생육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났고, 숙성온도가 낮을수록 총균수도 낮게 나타났으나, 대체로 숙성 30일까지 총균수가 증가하다가 이후 유지 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장균군 및 대장균의 변화는 원료단계에서 대장균군 및 대장균이 거의 검출되지 않아 이후 숙성동안에도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ermentation temperature (10 and $20^{\circ}C$) and salt concentration (10, 20, and 30%) on volatile basic nitrogen (VBN), histamine, amino nitrogen, total viable cell counts, coliform bacteria and Escherichia coli counts as the quality index in salted shrimp were investigated during fe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조미용으로 일반 가정에서 흔히 접할 수 있거나 산업적 수요가 높은 새우젓을 대상으로 젓갈의 품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숙성온도와 식염농도가 전체 숙성기간 동안에 식품위생적 품질인자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조미용 젓갈의 품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키토산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 활성은 무엇인가? 또한 새우는 우리 조상들이 많이 애용하여온 담백한 고급 식품으로 예전부터 날것이나 건조시킨 것을 조리할 뿐만 아니라 소금에 절여 젓갈로 널리 사용하여 왔으며, 오늘날에는 튀김이나 전유어의 재료로 또는 스낵 식품이나 과자류의 가공 원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12). 특히 새우에 품부하게 함유된 키토산은 콜레스테롤 저하 작용, 항암작용, 염역 증강 작용, 충치예방 및 골다공증 예방 등의 생리활성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3)
어류나 갑각류에서 어떤 화학적 반응으로 Biogenic amine이 생기는가? 여기에는 cataverine, putrescine, spermidine, spermine, tyramine, trytamine 및 histamine 등이 속해있다. 이들은 어류나 갑각류의 조직에 함유된 특정 유리아미노산의 탈탄산 (decarboxylation)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류를 장시간 보관할 경우 어류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유리아미노산이 biogenic amines으로 전환되어 이것을 섭취한 사람이 특이증세를 나타내게 된다.
젓갈은 무엇인가? 젓갈은 주원료인 어류, 갑각류, 연체동물류 등을 원료로 하여 일정량의 식염을 첨가하여 자가소화 및 미생물이 분비하는 효소의 작용으로 분해, 숙성 시킨 대표적인 우리 나라의 전통 발효식품으로 이들 원료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성분으로 그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으며, 또한 발효 과정에서 생긴 유리아미노산과 핵산관련물질 등에 의한 독특한 풍미로 인해 그 자체를 기호식품으로 우리 국민들이 즐겨 먹는 식품이다1). 그동안 우리나라의 젓갈은 대부분의 가정에서 직접 담아서 조리에 사용하는 형태였으나 최근에는 공장 또는 가공조합에서 제조하여 시판하는 것을 구매하여 소비하는 형태로 변화되어 왔으며, 젓갈 산업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젓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격화가 요구되었고, 이에 대한 연구로 젓갈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표준화에 관한 고찰 등이 보고되었고2), 시판 젓갈류의 품질평가 방법3)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ae, S.K.: Studies on Microbial and Enzymatic Actions during the Ripening Process of Salted Alaska pollack tripe. Korean J. Food & Nutr., 24, 340-349 (2011). 

  2. Hur, S.H.: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885-891 (1996). 

  3. Lee, K.H., Kim, J.H., Cha, B.S., Kim, J.O., Byun, M.W.: Quality evaluation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27-1433 (1999). 

  4. Shon, M.Y., Park, G.J., Shin, J.H., Sung, N.J.: Correla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and mutagenicity in fermented anchovy under simulated gastric diges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60-1565 (2004). 

  5. Ryu B.H., Ha M.S., Kim D.S., Sin D.B., Hur H.J., Jung J.S.: Heavy metals contents and organochlorine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ea foods. J. Korean Soc. Food Nutr., 15, 207-212 (1986). 

  6. Choi, S.H., Im, S.I., Hur, S.H., Kim, Y.M.: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and its flavor components; 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J. Korean Soc. Food Nutr., 24, 261-267 (1995). 

  7. Lee, K.G., Kim, S.M.: Quality changes in low salted squid Jeot-gal during fermentation and determination of shelf-lif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87-694 (2012). 

  8. Jeon, C.P., Kim, Y.H., Lee, J.B., Jo, M.S., Shin, K.S., Choi, C.S., Kwon, G.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Lactobacillus brevis HLJ59 isolated from salted shrimp. Kor. J. Microbiol., 46, 9-14 (2010). 

  9. Kim, I.S., Kim, H.S., Han, B.W., Kang, K.T., Park, J.M., Oh, H.S., Han, G.U., Kim, J.S., Heu, M.S.: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enzymatic salt-fermented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J. Korean Fish Soc., 39, 9-15 (2006). 

  10. Kim, S.J, Ma, S.J., Kim, H.L.: Probiotic propertie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ood, jeotgal. Korean J. Food Preserv., 12, 184-189 (2005). 

  11. Kim, J.S.: Food compon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shrimp processing byproducts. Agr. life Sci., 8, 66-75 (2001). 

  12. Joo, K.J., Kang, M.Y.: Effects of added corn oil on the form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dry shrimp during roasting proces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655-660 (2003). 

  13. Lee, M.J., Lee, S.J., Cho, J.E., Jung, E.J., Kim, M.C., Kim, G.H., Lee, Y.B.: Flavor characteristics of volatile compounds from shrimp by GC olfactometry (GC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953-957 (2002). 

  14. Chae, S.K.: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637-640 (1998). 

  15. Cho, T.Y., Han, G.H., Bahn, K.N., Son, Y.W., Jang, M.R., Lee, C.H., Kim, S.H., Kim, D.B., Kim, S.B.: Evaluation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commercial ferment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30-737 (2006). 

  16. Chae, S.K.: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299-301 (2000). 

  17. Ko, Y.A., Kim, S.H., Song, H.S.: Effect of salt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changes in quality index of salted and fermented anchovy during fermentation. J. Food Hyg. Saf., 32, 343-347 (2017). 

  18. Cha, Y.J., Park, H.S., Cho, S.Y., Lee, E.H.: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J. Korean Fish Soc., 16, 363-367 (1983). 

  19. Hernandez, M.M., Roig, A.X., Lopezr, E.I., Rodriguez, J., Mora, M.T.: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and other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s related to ripening of salted anchovies. J. Food Sci., 64, 343-347 (1999). 

  20. Rawles, D.D., Flick, G.J,. Martin, R.E.: Biogenic amines in fish and shellfish. Advances in Food Nutrition and Research, 39, 329-365 (1996). 

  21. Etkind, P, Wilson, .ME., Gallagher, K., Cournoyer, J.: Bluefish-associated scombroid poisoning. JAMA: J. Am. Med. Assoc., 258, 3409-3410 (1987). 

  22. Mietz, J.L., Karmas, E.: Chemical quality index of canned tuna as determined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J. Food Sci., 42, 155-158 (1977). 

  23. Huang, Y.R., Liu, K.J., Hsieh, H.S, Hsieh, C.H, Hwang, D.F and Tsai, Y.H.: Histamine level and histamine-forming bacteria in dried fish products sold in penghu island of taiwan. Food Control, 21, 1234-1239 (2010). 

  24. Behling, A.R., Taylor, S.L.: Bacterial histamine production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time of incubation. J. Food Sci., 47, 1311-1317 (1982). 

  25. Lee, K.G., Kim, S.M.: Quality changes in low salted squid jeot-gal during fermentation and determination of shelf-lif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687-694 (2012). 

  26. Cho, H.R., Park, U.Y., Chang, D.S.: Studies on the shelf-life extension of jeotkal, salted and fermented sea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652-660 (2002). 

  27. Park, G.H., Ju, J.S.: Proteolytic digestion of boiled pork by soused shrimp. Korean J. Nutr., 19, 363-373 (1986). 

  28. Chang, P.K., Rhee, H.S.: Effects of the kind and concentration of salt on oxidation of lipids and on form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fermented anchovies. Korean J. Soc. Food Sci., 2, 38-44 (1986). 

  29. Lee, K.D., Choi, C.R., Cho, J.Y., Kim, H.L., Ham, K.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9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