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있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Sense of Alienation, and Self-Esteem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9 no.3, 2017년, pp.125 - 140  

조소연 (강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정주원 (동국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와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1주일 이내에 SNS이용 경험이 있는 중학교 1~3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3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자아존중감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은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이 더 높게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SNS중독경향성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은 직접적으로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매개변인인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SNS중독경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내현적 자기애와 소외감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고 이는 SNS중독경향성을 더 높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네트워크 문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일상생활에서도 통용될 수 있는 적합한 SNS이용에 대해 교육과 건강하고 바람직한 SNS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스스로 통제하고 조절하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the sense of alien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influence of them on SNS addiction proneness in order to find a way to conduct an intervention for the SNS addiction pron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중독 경향성의 심리적 내재 요인을 규명하고자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는 청소년 초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중학교 시기는 자아정체감이 형성되고 새로운 인간관계와 친밀한 관계에 변화가 일어나는 결정적인 시기로(Hwang, 2006) SNS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고 긍정적 관계의 발전과 적응을 이루기 위해 SNS 사용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기 때문이다.
  • 중학교 시기는 자아정체감이 형성되고 새로운 인간관계와 친밀한 관계에 변화가 일어나는 결정적인 시기로(Hwang, 2006) SNS로 인한 부정적 결과를 최소화하고 긍정적 관계의 발전과 적응을 이루기 위해 SNS 사용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SNS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을 규명해 봄으로써, SNS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SNS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을 중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SNS중독 경향성의 심리적 내재 요인을 규명하고자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고 아울러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는 청소년 초기에 해당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2014), 학업성적(Park, 2011)과 SNS이용 시간(Park, 2013)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 자아 존중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성별, 학년, 학업성적, SNS이용 시간을 통제변수로 두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 소외감과 SNS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NS의 역할은? 소셜 네트워트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는 사용자간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공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시켜주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Wiki media, 2017). SNS는 자신의 삶을 개방하여 타인과 공유하고 기존의 관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가상 사회이면서 현실과 함께 하는 공생적 사회이다(Kim, 2013). 관계지향적이며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면이 부각되며 SNS는 급속하게 성장하여 왔다.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는 이유는? SNS 중독 경향성은 과거 인터넷에서 스마트폰, 모바일 SNS로 옮겨가는 사이버 중독의 일종으로 ‘관계집착형 SNS 중독경향성’ 이라 할 수 있다. SNS 중독경향성은 항상 연결이 되어있는 모바일 환경의 특성상 집단 속에서 자신이 소외되지 않도록 상대방과의 관계와 활동을 살피고. 현실이 아닌 사이버상의 인간관계에 집착하는 것으로, 2010년 스마트폰의 출현이후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Lee, 2013). 2013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에 의하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이 성인보다 약 2.
소셜 네트워트 서비스란? 소셜 네트워트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SNS)는 사용자간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공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시켜주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Wiki media, 2017). SNS는 자신의 삶을 개방하여 타인과 공유하고 기존의 관계에서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가상 사회이면서 현실과 함께 하는 공생적 사회이다(Kim,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 DSM-5. Washington, DC: Author. 

  2. Asher, S. R., Rose, A. J., & Gabriel, S. W. (2001). Peer rejection in everyday life. In M. R. Leary (Ed.), Interpersonal reje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4. Chae, J. H., & Yoo, T. M. (2006). The effects of practical reasoning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8(1), 31-47. 

  5. Chittaro, L., & Vianello, A. (2013). Time perspective as a predictor of problematic interne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5(8), 989-993. 

  6. Cho S. H., & Suh, K. H. (2013).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covert narcissism,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nse of alienat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1), 239-250. 

  7. Cho, D. H.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proneness on pathological narcissism, emotion expressiveness, directivity for friends, and the way of stress coping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8. Choi, C. Y., Lee, J. Y., & Shin, Y. M. (2015).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peer alienation and self-esteem among South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6(3), 247-276. 

  9. Choi, W. S., & Kim, J. H. (2001). A study on alien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Journal of Resource Development, 20(1), 131-140. 

  10. Chung, N. W. (2001). A Validational Study of the Hypersensitivity Narcissism Scale(HSN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3(1), 193-216. 

  11. Dean, D. C. (1961). Alienation: it's meaning and measure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2(6), 670-677. 

  12. Denissen, J. J., Penke, L., Schmitt, D. P., & Van Aken, M. A. (2008). Self-esteem reactions to social interac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1), 181-196. 

  13. Hendin, H. M., &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ity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4), 588-599. 

  14. Hwang H. E. (2015). Influences of Self-esteem,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 on the Tendency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gana University, Seoul, Korea. 

  15. Hwang, C. S. (2006). Parent and peer attachments of early adolescents and the transition of attachment functions. Studies on Korean Youth, 17(1), 201-225. 

  16. Hwang, H. E., & Kim, H. S. (2015). Influences of self-esteem,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orientation on the tendency of social network servic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9), 233-253. 

  17. Hwang, J. H. (2014). The influence of teenager's covert narcissism on peer relationship: Mediated by effect of self 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Jang, W. J. (2003). Influence of psychological alienation on the internet addiction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19. Kang W. S.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father'smothers's values, father, mother-student emotional intimacy & father'smother's over control and university student's alien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Kang, S. H., & Chung, N. W. (2002).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vert narcissism scal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4(4), 969-990. 

  21. Kelsey, T. (2010). Social networking spaces: From facebook to Twitter and everything In Between. New York: Springer-Verlag. 

  22. Kim S. M., & Suh K. H. (2015). Relationship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3), 587-603. 

  23. Kim S. Y.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martphone and SNS use on middle school students' sense of alienation & peer relationshi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4. Kim T. R., Cho, H. J., Leem S. J., Bang, H. J., Cho, S. J., Cho, S. W., Kim, H. J., Hong, J, Y., Lee, K. W., Seol, I. J., Son, W. S., Hong, S. J., Park, Y. S., Shon, Y. S., Kim, M. S., & Song, Y. H. (2004).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skjisa. 

  25. Kim, B. G., & Oh, S. S. (2009). Effect of experiencing failure on the self-esteem of overt and covert narcissis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8(4), 1069-1081. 

  26. Kim, S. H. (2013). SNS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youth and mediation effects of the socio-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degrees of participation in cyber collective intelligence typ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n Chun Hyang University, Asan, Korea. 

  27. Kohut, H. (1977). The restoration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28.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6). Analysis of user characteristics and usage determinants of social network service (SNS) in Korea. Seoul : KISDI STAT Report. 

  29. Kuss, D. J., & Griffiths, M. D. (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 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 3528-3552 

  30. Kwon, S. M., & Han S. J. (2000).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eoul: Haksisa. 

  31. Leary, M. R., & Baumeister, R. F. (2000). The nature and function of self-esteem: Sociometer theory.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2, 1-62. 

  32. Leary, M. R., Koch, E. J., & Hechenbleikner, N. R. (2001). Emotional responses to interpersonal reje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3. Lee, H. B., Kim, D. H., Choi J. Y., & Shin, M. H. (2014). A study on teenagers' SNS use features and addiction : Focus on middle school student of Gyenggi-do & Gangwon-do. GRI Review, 16(1), 365-392. 

  34. Lee, H. J., & Won, H. K. (1995). Exploring tendency of paranoia, self concept and self consciousness. Korean Psychologial Assocoaition Annual Conference. (pp.277-290). 

  35. Lee, K. J., & Chung, N. W. (2007)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net Reinforcement Experience on Excessive Internet Us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1), 55-69. 

  36. Lee, S. H. (2013). A study on the policy implication on the addiction of social media service user : Focusing on the proposal of Korean SNS addiction Index (KS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 255-265. 

  37.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5). Diagnosing internet addicition : K-scale. Retrieved from http://www.iapc.or.kr. 

  3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4). 2013 A survey on internet addiction.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39. Noh, Y. (2016). A study on the effect of SNS usage motivations on flow and addiction : Focusing on Facebook users. The e-Business Studies, 17(3), 301-320. 

  40. Oh, E. K. (2008). Alien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41. Oh, Y. K. (201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on loneliness, depress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university, Seoul, Korea. 

  42. Park, E. H. (2015). Relationship among covert narcissism, SN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43. Park, M. S.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tress from studying and the cellular phone addiction : With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fun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Pyeongtaek University, Pyeongtaek, Korea. 

  44. Park, W. K. (2013). An explorative study on Adolescents' SNS addi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3(4), 305-342. 

  45. Rosenberg, M.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New York: Academic Press 

  4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7. Seo, H. J. (2007).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alienation phenomenon of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n University of Education, Inchon, Korea. 

  48. Seo, W. J., Kim M. R. H., Kim, J. H., Ebesutani, C., & Jo I. S. (2015).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20(4), 497-512 

  49. Seong Y. J. (2013). The impact of the alienation on smart-phone over use among youth : The moderating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50. Shu, K. H., & Yang, S. A. (2010). Narcissism, self-esteem, interpersonal stresses, and psychological stress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Stress Research, 18(4), 371-378. 

  51. Smith. G. (2007). Social software building blocks. Retrived from http://nform.ca/publications/social-software-building-block. 

  52. Sobel M.E. (1982). Some new results on indirect effects and their standard error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s. Washington. DC.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53. Tazghini, S., & Siedlecki, K. L. (2013). A mixed method approach to examining Facebook use and its relationship to self-esteem. Computersin Human Behavior, 29(3), 827-832. 

  54. Tracx (2017). Social media demographics. Retrieved from https://www.tracx.com/resources/blog/social-media-demographics-2017-marketers/ 

  55. Wikimedia (2017). SNS.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SNS 

  56. Wilbum, D. R., & Smith, D. E. (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ents, 40(157), 33-45. 

  57. Woo, H. J., & Lee, J. K. (2012). A study on the internet pornograph immersion and addiction affected by the level and security of self-esteem. A Study of Journalism, 16(3), 55-84. 

  58. Young, K. S. (1996). Internet can be as addicting as alcohol, drug and gambling. An APA news. release. Retired July 23. 

  59. Young, K. S. (1998). Caught internet :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Wiley. 

  60. Yu, H. W., & Hong, H. Y.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self-esteem s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the tendency of SNS addic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4), 977-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