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the Intelligent Chatbot Services 원문보기

서비스연구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v.7 no.3, 2017년, pp.37 - 55  

이명수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정보학과) ,  김상훈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많은 기업들에서 고객관계관리의 효과적 수행을 위해 그 활용이 확산되고 있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관련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인 허니콤모형, 이성적행동이론, 기술수용모형확장된 기술수용 모형 등 4가지 이론적 모형에 근거하여 연구모형 및 가설을 도출하였다. 연구모형 및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233부의 유효한 설문 응답결과들을 대상으로 SmartPLS 3.0에 의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함으로써 향후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 연구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한 기여를 하였으며, 실무적인 기여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를 도입 활용하고자 하는 조직들에 대해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UX) 설계 방향의 실마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many business organizations have been increasingly expanding the utilization of the intelligent chatbot services for effective customer relation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use of the intelligent chatbot services. Abov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사용자경험이 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과 사용자 경험요인 이론을 적용하고 앞으로의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방안 수립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잠재적 고객들로 하여금 챗봇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하는 영향요인들을 이론적으로 도출하고, 이에 대해 실증적 분석을 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경험요인은 지각된 가치 성에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1: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유용성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2: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활용성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3: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매력성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4: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검색성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5: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접근성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6: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신뢰성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1: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유용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활용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3: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매력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4: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검색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5: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접근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6: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신뢰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경험요인은 지각된 용이 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자의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자의 주관적 규범은 지각된 가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자의 주관적 규범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성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자의 지각된 사용 용이성은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지능형 챗봇 서비스 이용자의 이용의도는 이용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따라서 지능형 챗봇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요인이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챗봇은 어떻게 만들어진 용어인가? 챗봇이란 전자게시판이나 통신망에서 여러 사용 자가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실시간으로 모니터 화면을 통하여 대화를 나누는 채팅(Chatting)과 사람이 하던 일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기계인 로봇(Robot)에서 한 글자씩을 따와 만들어진 용어로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을 기반으로 사람과 자동으로 대화를 나누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Oh, 2016).
챗봇이 주로 작동하는 공간은 어디인가? 챗봇이 주로 작동하는 공간은 메신저(Instant Messenger)인데 간단한 질문이나 확인, 회의나 작업 조정, 즉석 친교 만남 조정, 친구나 가족과 지속적인 연락 등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메신저는 스마트폰이 일상화되면서 우리 일상에 더욱 깊이 들어와 있으며, 봇의 종류에 관한 명확한 구분은 없으나 명령방식에 따라 챗봇, 음성인식봇, 개인비서로 구분이 가능하다(LG CNS Inside IT, 2016). 봇의 유형별 특성은 [Tab.
챗봇은 무엇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인가? 즉, 사람과의 대화를 통해 질문에 알맞은 답이나 각종 연관 정보를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커뮤니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지칭한다(IT World,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garwal, R. & J. Prasad (1997). The Role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Voluntaries in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Decision Sciences, 28(3), 557-582. 

  2. Apple Inc. (2011).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 Patent 12/987, 982, 

  3. Barry Feig (1998), Marketing and Heart attack so far, Shanghai People's Publishing House, p27. 

  4. Beauregard, R. & P. Corriveau (2007). User Experience Quality: A Conceptual Framework for Goal Setting and Measurement. In: Duffy, VG (ed.), Digital Human Modeling, LNCS, p. 325-332. 

  5. Chatbots.org, http://www.chatbots.org, 2000 

  6. Desmet, P. & P. Hekkert (2007). Framework of Product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Design, 1(1), p. 57-66. 

  7. Deutsch, M. & H. B. Gerard (1955). A study of normative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upon individual judgment.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1(3), p. 629-636. 

  8. Dewey, J. (1925). Experience and Nature. New York: Dover. 

  9. Efron, B. & R. Tibshirani (1997). Improvements on Cross-Validation : the 632+ Bootstrap Method,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92(438) p. 548-560. 

  10. Feldman, E. (2012). IBM Watson: From Winning Games to Saving Lives, IDC Link. 

  11. Fishbein, M. & I. Ajzen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Reading, Mass. 

  12. Hassenzahl, M. & N. Tractinsky (2006). User experience-a research agenda.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5(2), p. 91-97. 

  13. Human-Computer Studies, 45(6), p. 669-678. 

  14. ISO, 9241-210, in Ergonomics of human system interaction-Part 210: Human-centered design for interactive systems. (2008).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Geneva, Switzerland. 

  15. Jordan, P. W. (2002). Designing Pleasurable Products: An introduction to the New Human Factors. London; Taylor & Francis 

  16. Joseph, W. (1966). ELIZA-A computer program for the study of natural language communication between man and machine, Communications of the ACM 10(8) p. 36-45. 

  17. Kankainen, A. (2002). Thinking Model and tools for understanding user experience related to information appliance product concepts. Doctoral Dissertation.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p. 32. 

  18. KBresearch (2016).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모바일 메신저의 챗봇(Chatbot) 도입과 시사점, KB 지식비타민 

  19. KBresearch (2016).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과 가상 개인비서 서비스의 진화, KB 지식 비타민, 16(53), p. 2-5. 

  20. Kenneth, C. (1973). Simulation of belief systems, Computer Models of Thought and Language, p. 251-286. 

  21. Khalid, H. M. & M. G. Helander (2006). Customer Emotional Needs in product Design. Journal on Concurrent Engineering: Research and Applications. New York: SAGE Publication. 14(3), p. 197-206. 

  22. Kim, B., Back, H. & Y. Park (2001).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ized Emotional Character Agent,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8(2), p.16-18. (김범수, 백혜정, 박영택 (2001). 개인화된 감정 캐릭터 에이전트의 설계, 한국정보과학회, 28(2), p.16-18.) 

  23. Kim, D., Bae, S. & J., Lee (2011). 김동환, 배성환, 이지현, 스토리텔링으로 풀어보는 UX디자인, p. 205-213. 

  24. Kim, H. (2011). A Study on Influencing of the Impact of Factors on the IPTV Interactive Service Adoption to Re-Use Intention : Focused on IPTV Service Quality,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n Information Media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Kwangwoon University. (김효석 (2011). IPTV 양방향 서비스 수용의 영향요인이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IPTV 서비스 품질 중심으로, 광운대하교 경영대학원 정보미디어경영전공, 석사학위 논문) 

  25. Kim, J. (2012). A Study on Smart Phones Uses and Flow Formation Factor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Design Factors. EWHA Womans University (김정이 (2012). 스마트폰 사용과 플로우 (Flow)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사용자 경험 디자인 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박사학위 논문) 

  26. Kim, J., Jung, S. & H., Jung (2017). (김진태, 정상래, 정훈 (2017). 메신저 기반 챗봇(ChatBot) 기술의 동향과 군적용방안, 국방과 기술) 

  27. Kim, K., Seo, H., Yu, H. & J., Choi (201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witching Intention of Public Certificate Storage : Focused on Smart Certificate(USIM), Korea Society Of IT Services. 16(1), p.99-118.(김광회, 서영호, 유훈, 최정일 (2017). 공인인증서 저장매체의 전환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스마트인증(USIM)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 16(1), p. 99-118.) 

  28. Kim, Y.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Interaction Attributes and User Experience in Digital Media Interface, EWHA Womans University. (김영미 (2010). 디지털 미디어 인터페이스에서 상호작용 속성과 사용자 경험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박사학위논문) 

  29. Lee, M. (2017). A study of the influence of user experience factors of newspaper and smartphone news mediated by flow of reading on understanding of news information, Hongik University. (이민형 (2017). 종이 신문과 스마트폰 신문의 사용자 경험요인이 읽기 몰입감에 매개되어 뉴스 정보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 공예과 시각디자인전공, 박사학위 논문) 

  30. Lee, S. (2005).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Technology Adoption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Korea Society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7(2), p.61-84. (이상근 (2005). 기술수용모델(TAM)과 계획된 행동이론(TPB)를 바 탕으로 한 모바일 기술수용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7(2), p.61-84.) 

  31. Messaging apps are now bigger than social networks. Business Insider, Jan. 4, 2016 

  32. Moon, J., Lim, S. Park, C., Lee, I. & J., Kim (2008). Conceptual Study on User Experience in HCI Definition of UX and 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of CX (Co-Experience), 3(1), 9-17, Human Computer Interaction Korea, (문지현, 임성택, 박차라, 이인성, 김진우 (2008). 사용자 경험에 대한 HCI 적 관점에서의 개념적 고찰: 사용자경험의 개념 정의와 공동경험 개념의 제안, 한국 HCI 학회 논문지, 3(1): p. 9-17.) 

  33. Na, Y. (2010). A Study of the Purchase Behavior of Fashion Merchandise for the Internet Shopping-mall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ETAM) ; In Case of Perceived Value, Risk and Trust in Internet Shopping. 10(3), 27-49.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나윤규 (2010). 확장된 기술수용모형(ETAM)을 이용한 인터넷 쇼핑몰 패션상품구매행동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10(3), p. 27-49.) 

  34. Nass, C., Fogg, B. J. & Y. Moon (1996). Can computers be teamm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45(6), p. 669-678. 

  35.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인공지능 기반의 '챗봇'서비스 등장과 발전 동향, ICT융합의 Issues & Trends, 

  36. Noh, J. (2011). 노주환, UX DESIGN 사용자가 경험하는 모든 것을 디자인 하라, 멘토르출판사 

  37. Oh, J. (2011). A Study on Purchasing Intention of Application using Theory of Reasoned Action, 18(4), 141-163,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Association, (오종철 (2011). 합리적 행위이론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구매의도 연구, 한국기업경영학회, 18(4), p. 141-163.) 

  38. Oh, K. (2005). 오근재, 인간심리와 그래픽디자인, 미진사 

  39. Oh, S. (2016). (ro)Bot as media An experimental discussion on news chatbot,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오세욱 (2016). 미디어로서의 봇(bot) 뉴스 챗봇에 대한 시론적 논의, 한국언론정보학회) 

  40. Park, J., & H., Joo (2009). Effect That Hotel Customer's Behavior Beliefs and Subjective Norm get in Attitude and Visit Intention : Laying Stress on Planned Behavior Theory, 21(4), 509-524,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박중환, 주현식 (2009). 호텔고객의 행위신념과 주관적 규범이 태도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1(4), p. 509-524.) 

  41. Shin, D. (2014). Research on User Experience Design for Brand Value Assessment Metrics Focused on the Zoo, Dept. Industrial Design Major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e Graduate School Chung-Ang University. (신동재 (2014). 브랜드 가치평가 지표 개발을 위한 사용자 경험(UX) 디자인 활용 연구 동물원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전공 박사학위 논문) 

  42. Shin, H. (2010).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Subjective Norm and Intention to Use Mobile Internet,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9(3), p.209-236. (신현식 (2010). 인지된 유용성과 주관적 규범이 모바일인터넷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개인 혁신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19(3), p.209-236.) 

  43. Son, H., Lee S., Jin, B. & M., Cho (2014). Examination of Influential Factors of Tablet PC Use: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Technology Acceptance Model,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14(4), p. 106-145. (손현정, 이상원, 진범섭, 조문희 (2014). 태블릿 PC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 계획된 행동이론과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14(4), 106-145.) 

  44. Taylor, S. & P. A. Todd (1995).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A Test of Competing Model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6(2), p. 144-176. 

  45. Venkatesh, V. & F. D. Davis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p. 186-204. 

  46. Wikipedia, Robot, 위키백과, 로봇, URL: http//ko.wikipedia.org/wiki/로봇 

  47. Yoh, E. (1999). Consumer Adoption of the internet for apparel shopping, Ph. D.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