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뇌전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5, 2017년, pp.624 - 637  

고정옥 (전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이명하 (전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variable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of adults with epilepsy in order to establish a structural model and design an intervention strategy to improve patients' HRQoL. Methods: The selected subjects were 212 patients with epilepsy ag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와 적합한 경로를 찾아 그 효과와 영향력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모형을 구축하여 현장의 실증적 자료를 통해 이를 검증하고자 하며,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과 전략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전증이란 무엇인가? 뇌전증(Epilepsy)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서로 다른 임상적 특성과 발생 기전 및 예후를 가지는 비균질적인 질병군으로, 갑작스럽고 불규칙한 뇌세포의 이상흥분 상태에 의해 반복적인 발작 증세를 보이는 만성 신경계 질환이다. 신체 외형상 특별한 장애를 보이지 않는 뇌전증은 전 세계적으로 약 6,500만 명이 앓고 있는 흔한 질병이며, 국내 유병률은 인구 1,000명당 평균 4.
뇌전증 환자에게 반복적인 성취 경험은 어떤 긍정적 효과를 이끌어 내는가? 뇌전증의 경우, 질병과정에서 겪는 반복적인 성취 경험은 가장 강력한 자기효능감의 자원이 된다. 이는 자기관리 행위로 표현되며 자기효능감을 포괄하여 목적된 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1]. 평생 자신의 질병과 함께 살아가면서 최대한 발작빈도를 줄이기 위해 대상자가 처한 외부 환경의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을 스스로 조절하고, 라이프 스타일에서 긍정적인 행동을 수행할 가능성을 결정하는 이들 인자는 서로 회환하며 어떤 특정 행동을 결정하게 되면서 질병결과나 삶 가운데 영향을 미친다[14-16]. 이러한 자기효능감은 우울 같은 부정적인 정서와도 강하게 연관되어있어[7,16], 개인 및 환경적 요인의 수준에 따라 장기간의 무력감이나 지속적인 부정적 신념으로 작용하여 자기효능감을 저하시키기도한다[3,13,16].
장기간의 약물 복용은 뇌전증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본 연구는 뇌전증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들 간의 상호 인과적 관계와 상대적 영향 정도를 규명하기 위해 선행 문헌의 고찰과 관련 이론을 기반으로 개념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뇌전증 환자는 발작조절을 위해 평생 한 두 개 이상의 약물을 꾸준히 복용하며 정상적인 삶을 유지하는 것이 치료의 최대 목표이지만, 장기간의 약물 복용기간과 복합요법에 따르는 약물 관련요인은 주의력이나 집중력 결핍, 정신서행(mental slowing), 조화운동불능, 우울감,어지럼증, 졸림, 복시 등의 여러 부작용을 노출시키고, 정서적 안녕감이나 인지적 기능 및 사회적 기능 저하 등을 초래하여 전반적인 삶의 질 저하를 가져온다[3]. 특히, 증상의 심도에 관계없이 약물수가 많아지고 복용기간이 길어지면 자신의 삶이 더 나빠진다고 스스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다양한 기전에 따르는 약물 부작용에 의한 우울은 삶의 질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orean Epilepsy Society. Epidemiological study of seizure and epilepsy using nationwide database for Corean epilepsy patients (ESSENCE). Seoul: Author; 2012. p. 4-79. 

  2. Kim JE. Social issues and quality of life with epilepsy, legal concerns and effective advocatory strategies. Journal of Korean Epilepsy Society. 2008;12(1):3-10. 

  3. Youn SY, Jeong SC, Kang YW, Lee HW, Yi J, Seo DW, et al. Clinical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epilepsy.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00;18(2):156-161. 

  4. Smith G, Ferguson PL, Saunders LL, Wagner JL, Wannamaker BB, Selassie AW. Psychosocial factors associated with stigma in adults with epilepsy. Epilepsy & Behavior. 2009;16(3):484-490. https://doi.org/10.1016/j.yebeh.2009.08.028 

  5. Lee SA. Cognitive effects newer antiepileptic drugs. Journal of Korean Epilepsy Society. 2004;8(1):18-25. 

  6. Lee SK. Antiepileptic drug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07;50(7):645-651. https://doi.org/10.5124/jkma.2007.50.7.645 

  7. Quintas R, Raggi A, Giovannetti AM, Pagani M, Sabariego C, Cieza A, et al. Psychosocial difficulties in people with epilepsy: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from 2005 until 2010. Epilepsy & Behavior. 2012;25(1):60-67. https://doi.org/10.1016/j.yebeh.2012.05.016 

  8. Kim EJ. The effect of human potential seminars on the perceived stigma of adults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998;28(4):1003-1012. https://doi.org/10.4040/jkan.1998.28.4.1003 

  9. Lee SA, Yoo HJ, Heo K, Park HK, Shin DJ, Song HK, et al. The social stigma of epilepsy in Korea. Journal of Korean Epilepsy Society. 2002;6(2):128-136. 

  10. Leaffer EB, Hesdorffer DC, Begley C. Psychosocial and sociodemographic associates of felt stigma in epilepsy. Epilepsy & Behavior. 2014;37:104-109. https://doi.org/10.1016/j.yebeh.2014.06.006 

  11. Lee SA, Lee BI; Korean QoL in Epilepsy Study Group. Disclosure management behaviors in Korean adults with wellcontrolled epilepsy: Their relation to perception of stigma. Epilepsy & Behavior. 2017;67:28-32. https://doi.org/10.1016/j.yebeh.2016.11.034 

  12. Hwang KJ, Kim EH, Kim YJ, Hong SB. Frequency of depression and suicidality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Epilepsy, Parkinson's disease, and ischemic stroke.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16;34(3):193-200. https://doi.org/10.17340/jkna.2016.3.4 

  13. Fiest KM, Dykeman J, Patten SB, Wiebe S, Kaplan GG, Maxwell CJ, et al. Depression in epilepsy: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Neurology. 2013;80(6):590-599. https://doi.org/10.1212/WNL.0b013e31827b1ae0 

  14. Amir M, Roziner I, Knoll A, Neufeld MY.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in the relation between disease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epilepsy. Epilepsia. 1999;40(2):216-224. https://doi.org/10.1111/j.1528-1157.1999.tb02078.x 

  15. Whatley AD, DiIorio CK, Yeager K. Examining the relationships of depressive symptoms, stigma, social support and regimen-specific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adult patients with epilepsy. Health Education Research. 2010;25(4):575-584. https://doi.org/10.1093/her/cyq001 

  16. Robinson E, DiIorio C, DePadilla L, McCarty F, Yeager K, Henry T, et al. Psychosocial predictors of lifestyle management in adults with epilepsy. Epilepsy & Behavior. 2008;13(3):523-528. https://doi.org/10.1016/j.yebeh.2008.05.015 

  17. Sin SO. The effects an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ealth educa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2;11(2):221-235. 

  18. Shon YM, Joung WJ. Illness experience of married Korean women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3):289-304. https://doi.org/10.4040/jkan.2017.47.3.289 

  19. Cohen S, Hoberman HM.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983;13(2):99-125. https://doi.org/10.1111/j.1559-1816.1983.tb02325.x 

  20.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H: Freeman; 1997. p. 1-604. 

  21. DiIorio C, Yeager K. The epilepsy self-efficacy scale. In: Strickland OL, DiIorio C, editors. Measurement of Nursing Outcomes. Volume 3: Self Care and Coping. 2n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03. p. 40-51. 

  22. Yu JP.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4. p. 150-372. 

  23. Harrington 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ocket guides to social work research method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p. 78-99. 

  24. WHOQOL group.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WHOQOL). Quality of Life Research. 1993;2(2):153-159. https://doi.org/10.1007/bf00435734 

  25.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3):571-579. 

  26. Baker GA, Jacoby A, Francis P, Chadwick DW. The Liverpool adverse drug events profile. Epilepsia. 1995;36(Suppl 3):59. 

  27. Kim JH, Lee JH. Relations of perceived stress, cognitive set, and coping behaviors to depression. A focus on freshmen's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988;1(1):25-45. 

  28. Beck AT, Steer RA, Brown GK. BDI-II: Beck depression inventory: Manual.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1996. p. 1-82. 

  29. Ryan R, Kempner K, Emlen AC. The stigma of epilepsy as a self-concept. Epilepsia. 1980;21(4):433-444. https://doi.org/10.1111/j.1528-1157.1980.tb04091.x 

  30. Hoyle RH. Model specificat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Hoyle RH, editor. Handbook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2012. p. 126-144. 

  31. Moon SM. The relationship of self efficacy and social support to the psychosocial adjustment in people with epileps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0;30(3):694-708. https://doi.org/10.4040/jkan.2000.30.3.694 

  32. Ridsdale L, Wojewodka G, Robinson E, Landau S, Noble A, Taylor S, et 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with drug-resistant epilepsy. Journal of Neurology. 2017;264(6):1174-1184. https://doi.org/10.1007/s00415-017-8512-1 

  33. Charyton C, Elliott JO, Lu B, Moore JL.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epilepsy. Epilepsy Behavior. 2009;16(4):640-645. https://doi.org/10.1016/j.yebeh.2009.09.011 

  34. Tong X, Chen J, Park SP, Wang X, Wang C, Su M, et al. Social support for people with epilepsy in China. Epilepsy & Behavior. 2016;64(Pt A):224-232. https://doi.org/10.1016/j.yebeh.2016.08.010 

  35. Shi Y, Wang S, Ying J, Zhang M, Liu P, Zhang H, et al. Correlates of perceived stigma for people living with epilepsy: A meta-analysis. Epilepsy & Behavior. 2017;70(Pt A):198-203. https://doi.org/10.1016/j.yebeh.2017.02.0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