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예보자료를 활용한 장기 가뭄전망정보 산정 및 평가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long-term drought outlook information using the long-term forecasting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10, 2017년, pp.691 - 701  

소재민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오태석 (기상청 이상기후팀) ,  배덕효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장기예보자료 기반의 장기 가뭄전망정보를 산정하고, 2015년 가뭄사상을 대상으로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ASOS 59개 지점의 관측강수량, GloSea5의 미래예측 및 과거재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다양한 지속기간(3, 6, 9, 12개월)에 대한 SPI를 산정하였다. 또한 예보선행시간(1~6개월)에 따른 SPI와 관측자료 기반의 SPI 간의 RO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및 통계적 분석(상관계수, 평균제곱근 오차)을 수행하여 전망정보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ROC 분석결과, SPI(3)는 2개월, SPI(6)은 3개월, SPI(9)는 4개월, SPI(12)는 5개월까지 ROC score 약 0.70 이상으로 산정되었다. 예보선행시간별 상관계수 및 평균제곱근오차의 경우, 2개월 선행시간 SPI(3)은 0.60, 0.87, 4개월 선행시간 SPI(6)은 0.72, 0.95, 5개월 선행시간 SPI(9)는 0.75, 0.95, 6개월 선행시간 SPI(12)는 0.77, 0.89로 상관계수는 높게, 평균제곱근오차는 낮게 산정되어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long-term drought outlook information based on long-term forecast data for the 2015 drought event. In order to estimate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for different durations (3-, 6-, 9-, 12-months), we used the observation precipita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4, 2015년에는 이례적으로 2년 연속 가뭄이 지속된바 있으며, 장기가뭄(3개월 이상)에 대한 전망정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예보자료 기반의 3개월 이상 장기가뭄 전망정보 산정 방법을 제안하고, 2015년 가뭄사상을 대상으로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장기예보자료 기반의 장기 가뭄전망정보산정 기법을 제안하고, 2015년 가뭄사상을 대상으로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 및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PI는 어떻게 산정되는가? SPI는 30년 이상의 월 강수자료를 바탕으로 시간단위별 누가강수 시계열을 구성한 후, 적정 확률분포형을 통해 산정된다. 일반적으로 강수자료의 확률분포형은 2변수 Gamma 분포를 이용한다.
통계적 기반의 가뭄전망 기법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통계적 기반의 가뭄전망 기법은 과거 기상 현상들이 미래에도 재현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미래 가뭄상황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통계모델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예측된 결과들이 과거의 경향에 국한됨에 따라 최근 급변하는 수문기상 현상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Trenberth, 1984). 물리적 기반의 가뭄전망 기법은 초기 기상조건으로부터 역학적 알고리즘이 탑재된 기후모델을 통해 미래 기상현상을 예측함으로써 가뭄상황을 전망하는 방법이다.
물리적 기반의 가뭄전망 기법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이 방법은 예측된 결과들이 과거의 경향에 국한됨에 따라 최근 급변하는 수문기상 현상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Trenberth, 1984). 물리적 기반의 가뭄전망 기법은 초기 기상조건으로부터 역학적 알고리즘이 탑재된 기후모델을 통해 미래 기상현상을 예측함으로써 가뭄상황을 전망하는 방법이다. 통계적 방법과는 달리 물순환 변화의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D. H., Son, K. H., and Kim, H. A. (2013). "Derivation & evaluation of drought threshold level considering hydrometeorological data on South Korea." Atmosphere, Vol. 46, pp. 289-300. 

  2. Barnes, S. (1964). "A technique for maximizing details in numerical map analysi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3, No. 4, pp. 395-409. 

  3. Bowler, N. E., Arribas, A., Beare, S. E., Mylne, K. R., and Shutts, G. J. (2009). "The local ETKF and SKEB: upgrades to the MOGREPS short-range ensemble prediction system."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 135, pp. 767-776. 

  4. Essery, R. L. H., Best, M. J., Betts, R. A., Cox, P. M., and Taylor, C. M. (2003). "Explicit representation of subgrid heterogeneity in a GCM land surface scheme."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4, pp. 530-543. 

  5. Hayes, M., Svoboda, M., Wall, N., and Widhalm, M. (2011). "The Lincoln declaration on drought indices: universal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recommended."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92, No. 4, pp. 485-488. 

  6. Hunke, E. C., and Lipscombe, W. H. (2008). CICE: the Los Alamos sea ice model documentation and software user's manual, Version 4.0. 

  7. Kim, Y. O., Lee, J. K., and Richard, N. P. (2012). "A drought outlook study in Korea." Hydrological Sciences Journal, Vol. 57, No. 6, pp. 1141-1153. 

  8. Madec, G. (2008). "NEMO ocean engine." Institut Piere-Simon Laplace (IPSL), France, No. 27. 

  9. Mason, I. B. (1982). "A model for assessment of weather forecasts." Australian Meterological Magazine, Vol. 30, pp. 291-303. 

  10. Mckee, T. B., Doesken, N. 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17-22 January, Anaheim, California. 

  11. Mo, K. C., and Lyon, B. (2015). "Global meteorological drought prediction using the north american multi-model ensembel."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6, pp. 1409-1424. 

  12. Singh, V., and Fiorentino, M. (1996).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in hydrology." Kluwer Academic Publishers, pp. 175-194. 

  13. Son, K. H., Bae, D. H. and Cheong, H. S. (2015). "Construction & evaluation of GloSea5-based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system." Atmospher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Vol. 25, No. 2, pp.271-281. 

  14. Stagge, J. H., Kohn, I., Tallaksen, L. M., and Stahl, K. (2015). "Modeling drought impact occurrence based on meteorological drought indices in Europe." Journal of Hydrology, Vol. 530, pp. 37-50. 

  15. Trenberth, K. E. (1984) "Some effects of finite sample size and persistence on meteorological statistics. Part II: potential predictability." Monthly Weather Review, Vol. 112, pp. 2369-2379. 

  16. Valcke, S. (2011) OASIS3 user guide (prism 2-5). Tech. Rep. 3 Programme for integrated earth system modelling (PRISM) support initiative. 

  17. Vicente-Serrano, S. M., Begueria, S., Lorenzo-Lacruz, J., Camarero, J. J., Lopez-Moreno, J. I., Azorin-Molina, C., Revuelto, J., Moran-Tejeda, E., and Sanchez-Lorenzo, A. (2012). "Performance of drought indices for ec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applications." Earth Interactions, Vol. 16, pp. 1-27. 

  18. Wilhite, D. A., and Glantz, M. H. (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 Water International, Vol. 10, pp. 111-120. 

  19. Wilks, D. S. (2006).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Academic Press. 

  20. Yoon, K. H., Mo, K., and Wood, E. F. (2012). "Dynamicmodelbased seasonal predic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over the contiguous United State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3, pp. 463-482. 

  21. Yuan, X., Wood, E. F., Luo, L, and Pan, M. (2011). "A first look at Climate Forecast System version 2 (CFSv2) for hydrological seasonal predic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38, L13402, doi: 10.1029/2011GL047792. 

  22. Yuan, X., Wood, E. F., Luo, L, Chaney, N. W., Sheffield, J., Kam, J., Liang, M., and Guan. K. (2013). "Probabilistic seasonal forecasting of African drought by dynamical model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Vol. 14, pp. 1706-17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