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매개역할 중심으로

Needs for clinical dietitian in hospital settings: Importance of doctor's awareness regarding clinical nutrition service as mediating variable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0 no.5, 2017년, pp.519 - 529  

엄미향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송윤미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송미 (연세의과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영양팀) ,  류은순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대한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한 이 연구의 결과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5가지 가설을 다음과 같이 세웠다. 가설 1.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2.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3.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 4.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5.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 이다. 가설검증 결과와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가설 1~5까지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결론적으로 1)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 실행 횟수에 상관없이 의사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를 인식해야만 임상영양사 요구도를 인식한다는 것이며, 2)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불완전 매개로 작용한 경우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 사이에서 프로세스 역할을 수행하지만,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높이지만, 단순히 임상영양서비스의 양적 횟수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아니라 환자 치료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질적 효과 즉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의사들에게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의료진의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는 임상영양사의 전문성이 요구된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영향을 준다고 여겨진다. 더불어 영양학 분야의 유사연구에서 사회과학 분야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본 연구가 발판이 되어 질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or no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octor's awarenes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and needs for a clinical dietitia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using questionnaires that had be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임상 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매개변수로 놓고 의사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그러한 의사의 태도가 실제로 임상영양사의 요구도 증가와 연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고, 있다고 하더라도 의사의 인식정도에 따른 평균 비교 등의 분석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연구와는15-17 차별성을 두어 사회과학 분야의 인지 기반 태도 (cognitively based attitude)18 이론을 접목하여 의사들의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인지가 태도를 통해 임상영양사 요구도를 증가시키는 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해보았다. 의사는 임상영양서비스를 접하고 이를 인지하게 된다.
  • 24 따라서 이 연구에서도 최신 트랜드인 부트스트래핑 통계기법을 적용함으로써 매개효과의 개념과 추정과정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유사연구와 달리 사회과학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는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전문성과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이로써타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특히 의사들의 인식 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성별, 연령, 학위, 지위, 경력, 임상영양사 자격에 대한 인지여부, 환자대상 집단교육 시행여부 등을 통제변수로 삼았다.
  • 소속 병원에서 임상영양서비스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환자의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면, 의사들은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킬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들이 임상영양서비스를 알수록(인지) 임상영양서비스를 중요하다고 생각할 것이며 (태도),임상영양서비스를 중요하다고 여기면 소속병원에 임상영양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할 것 (요구도)이라는 일련의 메커니즘을 이룰 것이라고 예상했다. 따라서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을 매개변수로 하여 (매개변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하여 독립변수가 작용하는 시점과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에 나타나는 변수이다.

가설 설정

  • 1.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2. 의사가 인식하는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3. ‘임상영양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은 ‘임상영양사 요구도에 대한 의사의 인식’에 정(+)의 영향을 줄 것이다.
  • 001). 가설 3은 지지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태도는 무엇이며 어떻게 형성되는가? 태도는 구체적 대상에 대한 마음의 지향으로, 태도를 가진 사람에게 직접적이거나 역동적으로 영향력을 주는 준비상태이며,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20 태도는 정서적 요소,인지적 요소, 행동적 요소로 구성되는데,21 정서적 요소는 대상에 대한 좋고 나쁜 정서적 평가, 인지적 요소는 대상에 대한 상념과 지식, 행동적 요소는 행동과 의향 등을 의미한다.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인식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의사들의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인지를 두 가지로 나누어 살폈는데, 1)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2)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의사의 인식’이다. 임상영양서비스의 실행에 대한 인식은 소속 병원에서 임상영양서비스가 잘 시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것이다. 임상영양서비스의 질병 치료 효과에 대한 인식은 임상영양서비스를 받은 환자가 질병 치료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를 인지하는 것이다.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을 해결하고자 임상영양서비스를 실시한 결과는 어떠한가? 입원환자의 영양불량은 합병증과 치료기간 그리고 병원 의료비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1 이를 해결하고자 입원환자에게 임상영양서비스를 실시한 결과입원환자의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사망률 및 재원일수를 줄이며 의료비 절감효과도 있음이 국내외 연구에서 보고되었다.2-5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효과가 입증되어짐에 따라 현재 국제 의료기관인증위원회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와 국내 의료기관인증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KOIHA) 평가제도에서 중환자 병원영양불량을 관리하기 위해 의사, 약사, 간호사, 영양사로 구성된 영양지원집중팀(Nutrition Support Team, NST)의 구성 및 활동 여부를 임상영양서비스 지표의 하나로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ndrup J, Allison SP, Elia M, Vellas B, Plauth M; Educational and Clinical Practice Committee, European Society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ESPEN). ESPEN guidelines for nutrition screening 2002. Clin Nutr 2003; 22(4): 415-421. 

  2. Robinson G, Goldstein M, Levine GM. Impact of nutritional status on DRG length of stay.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1987; 11(1): 49-51. 

  3. So HS, Joung KA, No YH.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n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completing radiotherapy. Chonnam J Nurs Sci 1997; 2(1): 41-56. 

  4. Esmaillzadeh A, Kimiagar M, Mehrabi Y, Azadbakht L, Hu FB, Willett WC. Fruit and vegetable intakes, C-reactive protein, and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lin Nutr 2006; 84(6): 1489-1497. 

  5. Rajgopal R, Cox RH, Lambur M, Lewis EC. Cost-benefit analysis indicates the positive economic benefits of the Expande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chronic disease prevention. J Nutr Educ Behav 2002; 34(1): 26-37. 

  6. Lee JE. The time series analysis of standards and results of nutritional domain in hospital evaluation program. J Korean Diet Assoc 2013; 19(4): 317-342.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The nation nutrition control law [Internet]. Seoul: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3 [cited 2017 Jul 3].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39303&efYd20130417#0000. 

  8. Kieselhorst KJ, Skates J, Pritchett 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standards of practice in nutrition care and updated standard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J Am Diet Assoc 2005; 105(4): 641-645. 

  9. Lee GJ. Nutrition care process and diabetes: focus on nutrition diagnosis. J Korean Diabetes 2012; 13(1): 48-51. 

  10. Um MH, Park YK, Lee SM, Lee SM, Lee E, Cha JA, Park MS, Lee HS, Rha MY, Lyu ES. Clinical nutrition service in Korean tertiar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result of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J Korean Diet Assoc 2014; 20(3): 183-198. 

  11. Han MH, Lee SM, Lyu ES. Doctors' perception and needs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J Korean Diet Assoc 2012; 18(3): 266-275. 

  12. Choi J, Park E. Differ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etween doctors and dietitians in the Busan-Gyeo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2013; 19(1): 69-81. 

  13. Jeong HS, Teong CH, Choi YJ, Kim WJ, Lee AR. Attitudes of medical staff and factors related to nutritional support for patient care in a university hospital. J Clin Nutr 2014; 6(1): 37-41. 

  14. Um MH, Park YK, Lee SM, Cha JA, Lee E, Lyu ES. Time measurement study of certified clinical dietitians from tertiary hospital in Seoul and Gyeonggi-do. J Korean Diet Assoc 2015; 21(2): 123-139. 

  15. Lyu ES, Eum YR, Lee SM. The medical staffs' perception about nutrition care. J Korean Diet Assoc 1998; 4(1): 40-52. 

  16. Choi KB, Lee SM, Lyu ES. Pati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J Korean Diet Assoc 2012; 18(1): 59-71. 

  17. Choi YY, Yoon HS. A study on nurses' perception for nutrition education working in Kyungnam area. J Korean Diet Assoc 2003; 9(4): 278-287. 

  18. Lee SM. Basics of factor analysis. Seoul: Kyoyookbook; 2000. 

  19. Lee HY. Research methodology. 2nd edition. Seoul: Cheongram; 2012. 

  20. Han GS. Social psychology. 4th edition. Seoul: Hakjisa; 2017. 

  21. Olson JM, Zanna MP. Attitudes and attitude change. Annu Rev Psychol 1993; 44(1): 117-154. 

  22. Boyhtari ME, Cardinal BJ. The role of clinical dietitians as perceived by dietitians and physicians. J Am Diet Assoc 1997; 97(8): 851-855. 

  23. Preacher KJ, Hayes AF.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 Res Methods 2008; 40(3): 879-891. 

  24. Sobel M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 Methodol 1982; 13: 290-312. 

  25. Zhao X, Lynch JG Jr, Chen Q. Reconsidering Baron and Kenny: myths and truths about mediation analysis. J Consum Res 2010; 37(2): 197-206. 

  26. Jang HS, Kwon CS. Evaluation of necessity of clinical nutri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J Korean Soc Food Nutr 1996; 25(3): 415-422. 

  27. Ryan AS, Foltz MB, Finn SC. The role of the clinical dietitian: II. Staffing patterns and job functions. J Am Diet Assoc 1988; 88(6): 679-683. 

  28. Thoresen L, Rothenberg E, Beck AM, Irtun O; Scandinavian Nutrition Group (SNG). Doctors and nurses on wards with greater access to clinical dietitians have better focus on clinical nutrition. J Hum Nutr Diet 2008; 21(3): 239-247. 

  29. Kennedy JF, Nightingale JM. Cost savings of an adult hospital nutrition support team. Nutrition 2005; 21(11-12): 1127-1133. 

  30. Kang JH, Baek HW, Shin DW, Shin DH, Son HJ, Chang SH, Seo YS, Min JH, Lee YA, Mo YH, Kim MY. The outcom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fter following the recommendations of the nutritional support team. J Korean Soc Parenter Enter Nutr 2010; 3(1): 40-44. 

  31. Sriram K, Cyriac T, Fogg LF. Effect of nutritional support team restructuring on the use of parenteral nutrition. Nutrition 2010; 26(7-8): 735-7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