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공공집합주택 분석을 통한 주거의 공유성에 관한 연구 -마르세이유 유니떼다비따시옹(Unité d'Habitation)대상으로-
A Study on the Residential Community through Social Collective housing in France -Focused on Unité d'Habitation in Marseill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0, 2017년, pp.201 - 207  

최호순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사회의 고령화, 핵가족화와 같은 사회적 문제에 주목하고, 이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거문화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 수행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대상은 건축가 르꼬르뷔제가 설계한 프랑스 공공집합주택인 마르세이유 도시에 위치한 유니떼다비따시옹 이다. 프랑스 국가가 오랜 역사와 문화적 성장을 통하여 구축한 중요한 국가사상들 중에서 '주거'라는 주제는 단순히 거주하는 공간이 아닌 시민복지의 근간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1950년대 초반에 건설된 유니떼다비따시옹 공공집합주택은 국가가 추구하는 시민복지의 정신을 여러 다양한 계층의 세대들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주거의 공유성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 본 연구의 주제인 주거의 공유성에 관한 연구는 향후 우리사회의 세분화되는 다양한 세대들을 위한 새로운 주거문화 제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problems such as aging and nuclear family in our society, and aims at carrying out basic research for the new residential culture plan corresponding to this socail phenomen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Unit{\acute{e}}$ d'Habitation in Marseille, a 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본 연구는 건축가 르꼬르뷔제에 의해 건설된 유니떼다비타시옹 공공집합주택의 주거공간에서 건축가 자신이 개발한 주거의 공유성을 연구하였다. 우선 르꼬르뷔제는 14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주거 평면들을 독신자부터 8명의 자녀를 둔 부부를 위한 총 6단계의 입주자들에 맞게 개발하여 공간의 수평적인 측면에서 주거의 다양성을 제시하였고, 또한 1층부터 17층까지 각 층마다 여러 형태의 주거유형 들을 배치하여 단일 집합주택에 수직적인 주거의 다양성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1952년 프랑스 마르세이유 도시에 위치한 유니떼다비따시옹 집합주택의 공간분석을 통하여 공공집합주택의 공유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기본권인 주거공간에 대한 인간행태와 현 시대의 인구변화에 따른 사회학적 분야 그리고 건축계획의 건축학을 포함하는 융·복합적 연구로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 본 연구는 우리사회가 앞으로 대면할 중요한 사회적 현상에 대응하는 새로운 주거문화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수행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 연구가 주목하는 사회적 현상이라 함은 고령화와 핵가족화에 의한 가족 구성원의 다양화 현상이며, 기존의 부모와 자식으로 표현되는 ‘가족’의 개념은 오늘날 세분화되고 다양화되어, 이와 같은 가족분화현상 즉, 분화되고 다양한 세대들에 대응하는 주거문화 개발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 과제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체적인 연구대상인 프랑스의 유니떼다비따시옹 공공집합주택의 공유성을 고찰하여 오늘날 우리나라 주거계획에 있어서 경제적으로나 가족 구성원의 수에 상관없이 여러 세대가 공공집합주택에 공존할 수 있는 ‘공동체의 조화’를 제안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함에 있다.
  •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프랑스 공공집합주택의 분석을 통하여 새로운 주거문화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프랑스의 공공집합주택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프랑스 국가가 오랜 역사와 문화적 성장을 통하여 구축한 가장 중요한 국가사상들 중에서 ‘주거’라는 주제는 시민복지의 근간이며, 이러한 이유로 프랑스의 공공집합주택은 일반 다양한 계층의 시민들이 접근가능하고 양질의 삶을 유지할 수 있는 현시대의 최적의 공공주거형태이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르꼬르뷔제가 사회적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공집합건축물의 공유성을 제안한 것에 주목하고 이러한 건축가의 의도에 의해 완공된 그의 최초이자 마지막 공공집합건축물인 유니떼다비따시옹을 본 연구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 르꼬르뷔제가 공공집합주택을 통하여 자신의 주거 공유성 이론을 확립하게 된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18세기 후반과 19세기 중반 프랑스의 주거문화에 관한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고, 특히 그 당시 프랑스 공공집합주택 정책발전 과정에 관한 문헌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연구대상인 유니떼다비따시옹 공공집합주택에 관한 분석은 르꼬르뷔제가 제안한 주거의 공유성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건축물에 적용되었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유니떼다비따시옹 공공집합주택의 주거 유형 및 특성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헌고찰 및 건축가의 스케치, 드로잉 분석이 이루어 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유성의 사전적 의미와 또 다른 해석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다루는 주요개념인 공유성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사전적 의미인 두 사람 이상이 한 물건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소유’의 의미에서부터 우리사회의 다양한 이해 관계 및 공생관계들 사이에서 서로간의 삶을 소통하는 ‘코뮨(commune)’의 사회학적 의미로도 해석되고 있다[4]. 또한 건축분야에서는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경계에 형성되는 ‘매개공간’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5].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공유성(community)’은 ‘공공성(public)’과는 다르다.
유니떼다비따시옹은 어디에 건설된 집합주택인가? 본 연구는 스위스태생으로 프랑스에서 일생 대부분을 건축가로 활동한 르꼬르뷔제(Le Corbusier)가 1952년 완공한 프랑스의 마르세이유(Marseille) 도시의 유니떼다비따시옹(Unite d'Habitation, 1949-1952) 집합주택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유니떼다비따시옹은 르꼬르뷔제의 작품 중 처음으로, 건축가 생전인 1964년에 프랑스 문화재로 지정되었고[1], 2016년에는 대표적인 모더니즘 건축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2].
본 논문에서의 주거의 공유성의 정의는 무엇인가?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공유성(community)’은 ‘공공성(public)’과는 다르다. 본 연구가 다루는 주거의 공유성은 주거공간이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공공성(public)’의 의미인 공공성이 가진 다수의 사람들에게 공통적 혹은 보편적으로 관련된 의미[6]가 아니라 여러 다른 세대가 함께 공존하는 의미의 사회 통합적 개념으로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G. L. Lee, "A Study of social working concept shown in Le Corbusier's collective housings - Based on the composition factors of the Unite d'Habitation de Marseille-",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16, No. 6, pp. 31, 2014. 

  2. http://whc.unesco.org/en/list/1321/ 

  3. J. S. Jung, A Study on Le Corbusier's Urbanism:Ideology and Habitation.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5, No. 3, pp. 40, 1989. 

  4. H. W. Jung, The Study on the Sharing System of Interpretation Elements of Small Multi-family House. Hongik University, M. Arch. thesis, 2017. 

  5. J. H. Han, La demande social et la prescription architecturale pour l'espace collectif des logements, J. of the Association Culturelle France Coreenne, Vol. 27, pp. 432, 2013. 

  6. H. C. Lee,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Design Factors Affecting Public Use of Indoor Open Spaces at Mixte-use Buildings. Yonsei University, Ph.D. thesis, 2009. 

  7. F. Braudel, Civilisation materielle, economie et capitalisme, XVe-XVIIIe siecle. 1 - Les Structures du quotidien, Armand Colin, 1979. 

  8. Y. T. Kim, Lessons from 100 years of French Housing Welfare Policy, Samsung Economy Institute, pp. 28-30, 2008. 

  9. G. L. Lee, "Le Corbusier's Influence on Social Housing Project In France",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13, No. 3, pp. 57-59, 2011. 

  10. Le Corbusier, Oeuvre Complete, Vol. 5, MGHBOOKS, pp. 196, 177-179, 2012. 

  11. A. Tzonis, Le Corbusier -Poetique, Machines et Symboles-, HAZAN, pp. 148, 2001. 

  12. G. L. Lee, "A Study on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Housing types of Le Corbusier's Bloc Housing",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17, No. 6, pp. 60-61, 2015. 

  13. J. W. Chung, E. H. Kim, "A Study on the Method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f the Marseilles Unite d'Habitation", J.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3, No. 6, pp. 126-128, 2007. 

  14. R. M. Bisch, Le Corbusier-La cite radieuse de Marseille, Atelier du Patrimoine, pp. 24-36, 1992. 

  15. E. J. Park, S. K. Sohn, "A Research on thd Idea of Public and Private Space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Le Corbusier's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J. of the Korea Housing Association, Vol. 26, No. 5, pp. 159,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