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4, 2017년, pp.525 - 533  

이은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김윤경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  임수진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parent-child bonding, parent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우리나라 부모들의 자녀 스마트폰 사용 통제의 효과나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통제 소프트웨어 설치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연구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녀 스마트폰 사용 통제와 소프트웨어 사용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개인요인, 부모요인, 학교요인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요인으로는 성별, 하루 중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부모요인으로는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통제가, 학교요인으로는 학교적응-학교생활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 정상 사용자 군과 위험 사용자 군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부모·학교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 어머니-자녀 애착,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통제, 학교적응,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체 연구대상자 중 스마트폰 잠재적 위험 사용자 군과 고위험 사용자 군을 포함한 스마트폰 사용 위험군은 21.
  • 연구자는 사전에 각 학교 교장, 보건교사와 각 반 담임교사에게 본 연구의 필요성, 목적과 과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연구 대상자인 청소년과 법정 대리인에게 본 연구에 대한 설명서와 동의서를 제작하여, 각 반 담임선생님을 통해 종례시간에 각 가정에 배포하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설명문과 동의서, 설문지 배포 시 학생들에게 소정의 기념품을 함께 제공하였다.
  •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우울), 부모요인(어머니-자녀 애착), 학교요인(학교적응)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중재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SM-5에서 정의한 행동중독이란 무엇인가? DSM-5에서 정의한 행동중독(behavioral addiction)은 어떤 행동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하며, 이로 인해 심각한 장애나 곤란이 초래하는 것으로[8], 통제 상실, 기분변화, 내성, 금단, 갈등 등을 특징으로 한다. 현재 DSM-5에 인터넷 게임 중독은 포함되어 있지만 스마트폰 중독은 근거 부족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8].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 측면은 무엇인가? 청소년들은 스마트폰의 유해성에 특히 취약하다.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은 뇌 발달이 미완성 된 25세 이전 청소년들의 뇌에 악영향을 미치고[5], 학업능률을 저하시킨다[6]. 또한 청소년은 스마트폰을 통해 음란물을 가장 많이 접하고[7], 스마트폰을 보면서 길을 걷다가 교통사고 위험에 노출되기도 한다[6].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선행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개인요인, 부모요인, 학교요인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개인요인으로는 우울, 불안, 공격성 등 다양한 요인들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우울이 가장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우울 성향이 높을수록 내재화된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대처 방법으로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한다고 하였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allup Korea. Survey about usage of smartphone and smartwatch in 2012-2016 [Internet]. Seoul: Gallup Korea; 2016 [cited 2017 April 28]. Available from: http://www.gallup.co.kr/gallupdb/reportContent.asp?seqNo761. 

  2.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The analysis of smartphone held and use behavio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ISDI STAT Report. Seoul: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5 December. Report No.: 15-18. 

  3.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Development of Korean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youth and adults. R&D Report.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November. Report No.: NIA IV-RER-11051.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result from the 2016 national survey of the diagnosis on internet and smartphone usage habits [Interne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6 [cited 2017 April 30]. Available from: https://www.nhrd.net/board/view.do?dataSid26200&boardIdBBS _0000006&menuCdDOM_000000102005000000. 

  5. Kim BN, Ko EJ, Choi HI.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A focus on differences in classifying risk groups. Studies on Korean Youth. 2013;24(3):67-98. 

  6. Kwon M, Lee JY, Won WY, Park JW, Min JA, Hahn CT,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SAS). PloS one. 2013;8(2):e56936.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56936 

  7.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Study on the public awareness of pornography using children and youth and effective regulation. Research Series. Seoul: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2016 December. Report No.: 16-AA-09. 

  8.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Arlington, VA: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p. 481. 

  9. Billieux J, Maurage P, Lopez-Fernandez O, Kuss DJ, Griffiths MD. Can disordered mobile phone use be considered a behavioral addiction? An update on current evidence and a comprehensive model for future research. Current Addiction Reports. 2015;2(2):156-162. https://doi.org/10.1007/s40429-015-0054-y 

  10. Kim JH, Seo MH, David P. Alleviating depression only to become problematic mobile phone users: Can face-to-face communication be the antidot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5;51:440-447. http://dx.doi.org/10.1016/j.chb.2015.05.030 

  11. Ko JS.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14(6):140-151.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6.14 

  12. Choi JO. The impacts of smartphone addiction on academic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Youth Facility & Environment. 2015;13(2):43-54. 

  13. Cha DS. Effects of negative smartphone usag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health with a special emphasis on moderating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2017;38:99-124. 

  14. Hwang KH, Yoo YS, Cho OH. Smart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10):365-375. http://dx.doi.org/10.5392/JKCA.2012.12.10.365 

  15. Lee KM. A study of middle-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construc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5;17(2):383-398. 

  16. Ju SJ, Cho SS.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youth's smartphone addiction: Focusing on daily average smartphone usage time, impulsivity, peer relationships, mother's authoritarianism-rearing attitudes. Journal of Youth Welfare. 2015;17(1):97-118. 

  17.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ctual condition survey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Research Repor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3 November. Report No.: 11-1383000-000415-01. 

  18. Wu XS, Zhang ZH, Zhao F, Wang WJ, Li YF, Bi L, et al. Prevalence of internet addic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other related factors among adolescents in China. Journal of Adolescence. 2016;52:103-111.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6.07.012 

  19. World Health Organization. Depression [Internet]. 2012 [cited 2016 September 28]. Available from: http://www.who.int/topics/depression/en/. 

  20. Kovacs M.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Psychopharmacology Bulletin. 1985;21(4):995-998. 

  21. Cho SC, Lee YS.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the Kovacs'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0;29(4):943-956. 

  22. Parker G, Tupling H, Brown LB. A parental bonding instrument.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1979;52(1):1-10. https://doi.org/10.1111/j.2044-8341.1979.tb02487.x 

  23. Song JY. The development of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 Korean version: Evaluation of the 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2;31(5):979-992. 

  24. Roberts JA, Yaya LHP, Manolis C. The invisible addiction: Cell-phone activities and addiction among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2014;3(4):254-265. https://doi.org/10.1556/JBA.3.2014.015 

  25. Nam IS. A rising addiction among youths: Smartphones [Internet]. New York: Dow Jones & Company; 2013 [cited 2017 August 31]. Available from: http://www.wsj.com/articles/SB10001424127887324263404578615162292157222. 

  26. Park NS, Oh HY. Impact of adolescent life stress and smartphone use on academic impairment: Focusing on the effect of parent involvement on adolescents' smartphone use.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9):590-599.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9.590 

  27. Stattin H, Kerr M. Parental monitoring: A reinterpretation. Child Development. 2000;71(4):1072-1085. https://doi.org/10.1111/1467-8624.00210 

  28.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hildren, adolescents, and the media. Pediatrics. 2013;132(5):958-961. https://doi.org/10.1542/peds.2013-2656 

  29. Livingstone S, Haddon L. EU Kids Online: Final report. London: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2009. p. 18 

  30. Yoo TJ, Kim SS. Impa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t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5;24(2):127-135. https://doi.org/10.12934/jkpmhn.2015.24.2.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