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말선초 약초원의 형성 과정과 조경사적 의미 고찰
The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Physic Gardens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5 no.5, 2017년, pp.60 - 70  

김정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조경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초학 연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의료체계 속에서 약초원과 관련한 기록을 찾아보았다. 약초원은 여말선초인 13~15세기에 발달하였다. 지역성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자연관의 영향으로 토산 약초를 뜻하는 향약(鄕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고려 말 문인들이 약포(藥圃)를 가꾼 경향이 발견되며, 향약 조사 발견 재배 탐구 등 관련 정책이 시행된 조선 초 종약전(種藥田)이라는 이름의 약초원이 조성된 사실이 확인된다. 내의원과 혜민서와 같은 중앙의료 기구 부속 시설이었던 종약전은 15세기 중반에 실재했던 것으로 확인되고 조선 건국과 함께 설립되어 조선 후기에 쇠퇴한 것으로 추정된다. 종약전은 약현, 율도, 여우도, 사아리 등 한양 도성 밖 여러 곳에 있었고, 그 규모는 18세기 초 당시 약 16만 제곱미터였다. 형개, 지황, 감초 등을 포함한 수십 종이 종약전에서 재배되었고, 내의원에서 파견된 의관과 관노비 수십 명에 의해 종약전이 운영되었다. 종약전은 새로운 약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라는 사회적 배경 측면에서 르네상스시대 의과대학의 약초원과 공통점을, 약초의 종류 위치 기능 등의 측면에서 중세 유럽의 성곽과 수도원 내 약초원과 유사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약포와 종약전의 구체적 공간 형태를 밝히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가지나, 우리나라에서 약초원이라는 정원 유형이 여말선초 향약을 중심으로 한 의학의 발달과 함께 나타났으며 공동체의 치료제 재배를 위한 실용정원으로 기능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races the development of physic gardens in Korea and explores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landscape architecture. For this purpose, records related to physic gardens from medical source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o the Joseon dynasty, when herbal medicine was system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간적 범위는 의료제도와 본초학 관련 자료가 전해지는 삼국시대부터 종약전이 설립된 조선시대까지로, 특히 향약을 중심으로 본초학이 발달한 여말선초 시기에 주목하였다. 검토 문헌은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등으로, 약초 채집재배유통 관련 의료제도와 의학 연구 및 교육 관련 내용에서 약초원에 대한 단서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고전종합데이터베이스에서 ‘약포,’ ‘약전,’ ‘약원(藥園)’ 등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약초 수집과 재배가 이루어진 사례를 찾았다.
  • 본 연구는 그동안 조명되지 않았던 한국의 약초원을 다루는만큼, 먼저 서양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여 약초원의 조경사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양 약초원의 출현 시기와 배경을 살피고 위치와 형태 등을 파악하여 시대별 약초원의 특성을 정리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여 조경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약초원은 국립수목원을 비롯해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한택식물원 등, 오늘날 국내 많은식물원에서 만날 수 있는 주제원 중의 하나이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약초원은 여말선초 향약을 중심으로한 의학의 발달과 함께 형성되었으며 공동체의 치료제 재배를 위한 실용정원으로 기능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초학 탐구의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는 동양 문화권에서 서양과 다른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살필 수 있는 사례 연구로서 의의를 지닌다.
  • 그러나 종약전은 지금도 여전히 조선시대 의료제도의 하나이자 시설로만 언급되고 있을 뿐이다. 본 연구는 종약전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언제, 어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형태로 약초원이 조성되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로써 한국 조경사 연구에서 약초원이라는 정원 유형을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여 조경사적 의미를 드러내는 데 있다. 예부터 한반도에서 식물이 약물로 인식되었으며 식물 탐구가 본초학이라는 이름의 의학으로 존재했다는 사실을 전제로, 본초학이 지속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의료체계 속에서 약초원과 관련한 기록을 찾아보았다.
  • 본 연구는 종약전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에 언제, 어떠한 맥락에서, 어떠한 형태로 약초원이 조성되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로써 한국 조경사 연구에서 약초원이라는 정원 유형을 논의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 약초원의 존재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이에 더해 우리나라 약초원의 존재가능성은 높다. 고대부터 한반도에서 식물이 약물로 인식되었으며 약용 자연물을 탐구하는 본초학(本草學)이 발달(Kim,2001)하였기 때문이다.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에 이르는 시기에는 토산 약초를 뜻하는 ‘향약(鄕藥)’에 대한 관심과 함께 ‘향약론’이 대두하고 현존하는 가장 오랜 의학서적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을 비롯한 여러 본초서가 저술되는 등, 본초학이 융성하기도 했다(Kim, 1999).
약초원은 주세 유럽의 수도원에서 어떤 형태로 발견되는가? 성벽 혹은 마을의 울타리 바깥에는 가축 사육이나 채소 재배를위한 토지가 마련되어 있었는데(Figure 2 참조), 공동체가 사용하는 약초 역시 이곳에서 재배되었다(Huxley, 1978: 15). 또한 약초원은 “약물 정원(physic garden)”(Hunt, 2012: 130) 혹은 “치료 정원(infirmary garden)”(Landsberg, 2003: 34)의 형태로 중세 유럽의 수도원에서도 발견된다. 대표적인 예로, 성갈 수도원(St.
세계 최초의 식물원은 어디인가? 한편, 약초원은 식물원의 기원이기도 하다. 전 세계 최초의 식물원이 1543년 의사이자 약초학자였던 Luca Ghini(1490∼1556)가 설립한 이탈리아 피사대학교의 약초원(Orto botanicodi Pisa)이고 일본 최초의 식물원이 에도시대에 조성된 고이시카와 약원(小石川藥園)이라는 사실이 보여주듯, 동서양을 막론하고 많은 약초원이 식물원으로 진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Cook, H. J.(2007) Matters of Exchange: Commerce, Medicine, and Science in the Dutch Golden A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2. Erp-Houtepen, A.(1986) The etymologies origin of the garden. The Journal of Garden History 6(3): 227-231. 

  3. Findlen, P.(1994) Possessing Nature: Museums, Collecting, and Scientific Culture in Early Modern Ital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Han, Y. W.(2002) Jeong Do-jeon, the Planner of the Joseon Dynasty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Seoul: Jisiksaneupsa. 

  5. Hill, A. W.(1915) The history and functions of botanic gardens. Annals of the Missouri Botanical Garden 2(1/2): 185-240. 

  6. Hunt, J. D.(2012) The botanical garden, the arboretum and the cabinet of curiosities. In A World of Gardens. London: Reaktion Books. pp. 130-145. 

  7. Huxley, A. J.(1978) An Illustrated History of Gardening. London: Paddington Press. 

  8. Hwang, K. W.(1987) An essay on the origin of a garden(정원의 원형 시론). 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20: 85-97. 

  9.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1971) Sinjeung Dongguk Yeoji Seungram. Seoul: Minjok Munhwa Chujinhoe. 

  10.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1977) Sambongjip. Seoul: Minjok Munhwa Chujinhoe. 

  11.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1978-80) Yangchonjip. Seoul: Minjok Munhwa Chujinhoe. 

  12.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1998-2001) Chunjeongjip. Seoul: Minjok Munhwa Chujinhoe. 

  13.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trans.(2000-05) Mokeunjip. Seoul: Minjok Munhwa Chujinhoe. 

  14. Jackson, J. B.(1980) The Necessity for Ruins, and Other Topics. Amherst: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15. Johnson, N. C.(2011) Nature Displaced, Nature Displayed: Order and Beauty in Botanical Gardens. London; New York: I.B. Tauris. 

  16. Kim, D. J.(1966) History of Korean Medicine(한국의학사). Seoul: Tamgudang. 

  17. Kim, H.(1999) Formation of the 'hyangyak theory' and hyangyak jipseongbang betwee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Jindanhakbo 87: 131-149. 

  18. Kim, S. K.(2001) History of Korean Pharmacy(한국의약사).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 Kim, S. S.(2003) The actual management of the central medical institutions in 16-17 century. The Journal of Seoul Studies 20: 65-100. 

  20. Ko, D. H.(1993) The Commercial Development in Seoul Kyong-gang Area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1. Landsberg, S.(2003) The Medieval Garden. 2nd ed.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Original edition, 1995) 

  22. Lee, H. S.(2016) Private and public medical care in the Goryeo dynasty( 고려시대 관료제하의 의료와 민간의료). In Medical History Research Center, ed., Nation and the Birth of Modern Medicine of Korea (한국근대의학의 탄생과 국가). Seoul: Yonsei University. Seoul: History Gonggan. pp. 51-87. 

  23. Lee, J. H.(1996) Japanese view of nature and developing of natural history. Misul Jaryo 57: 167-199. 

  24. Lee, K. L.(2010a)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edical Systems in the Goryeo Dynasty(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Seoul: Hyean. 

  25. Lee, K. L.(2010b) Two ways of the development of the hyangyak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in the Choson dynasty. Tae-Dong Yearly Review of Classics 26: 215-250. 

  26. Lee, K. L.(2015) The indigenization of Licorice and its meaning during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4(2): 423-455. 

  27. Lee, S. H, trans.(2008) Doeunjip. Seoul: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28. Needham, J.(1954)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vol. 1. Cambridge [Eng.]: University Press. 

  29. Oh, C. K. and Y. J. Kim(2011) The introduction of Compendium of Materia Medica(本草綱目) and praxis in the late Joseon dynasty.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0(1): 29-51. 

  30. Prest, J.(1988) The Garden of Eden. 2nd ed. London Yale University Press. (Original edition, 1981) 

  31. Seo, G. J. Dongmunseon(東文選); Minjok Munhwa Chujinhoe, ed. (1998) Dongmunseon. Seoul: Sol. 

  32. Tomasi, L. T.(2005) The origins, function and role of the botanical garden in sixteenth-and seventeenth-century Italy. Studies in the History of Gardens & Designed Landscapes 25(2):103-115. 

  33. Yamada, K.(1978) Shushi no shizengaku(朱子の自然學). Kim S. G., trans.(1991) Zhu Xi's Natural Science(주자의 자연학). Seoul: Tongnamu. 

  34. Yamada, K.(1997) Herbs, Dreams and Alchemy. Tokyo: Asahi Shimbun Company; as cited in Oh, C. K.(2012) Influence of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on the Materia Medica in the late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1(2): 193-225. 

  35. Yoon, K. B.(1982) Interpretation of a garden(정원의해석).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1): 3. 

  36. http://db.history.go.kr (Bibyeonsa deungrok, 備邊司謄錄) 

  37. http://db.itkc.or.kr (Databa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38. http://e-kyujanggak.snu.ac.kr 

  39. http://kyudb.snu.ac.kr (Ryu, D. G. Gyeongdo japji, 京都雜志) 

  40. http://sillok.history.go.kr (Joseon wangjo sillok) 

  41. http://sjw.history.go.kr (Seungjeongwon ilgi, 承政院日記) 

  42. http://terms.naver.com/list.nhn?cid44621&categoryId44621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43. http://www.koreaa2z.com (KoreaA2Z). 

  44. http://www.krpia.co.kr (Jeong, I. J. Goryeosa; Social Science Institute of North Korea and Heo Seong-do, trans.(1998) Goryeosa. Seoul: Nurimedia) 

  45. http://www.stgallplan.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