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Hylotelephium erythrosticum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rich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4 no.6, 2017년, pp.842 - 848  

김상숙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  박경진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  이승은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이정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  최영훈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감귤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피부병 치료에 사용되던 꿩의비름 추출물을 항산화 및 항염 효능을 지니는 천연물 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꿩의비름의 뿌리(HER), 잎(HEL), 줄기(HEB), 지상부(HEAG)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지상부 추출물인 HEAG에서 DPPH, ABTS,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FRAP 활성 역시 HEAG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HEAG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235.5{\pm}18.96mg/g$ gallic acid equivalent로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항염 활성에서는 NO의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의 생성 억제 화성이 가장 높았다. 꿩의비름 추출물은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의 천연물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is commonly used as a medicinal herb. In this study, H. erythrostictum leaf (HEL), branch (HEB), root (HER), and above ground (HEAG) extract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ssayed by three methods based on scavenging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꿩의비름은 피부병 치료에 사용되며 몸에 열을 내리고 해독작용과 지혈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민간에서는 뱀이나 독충에 물렸을 때 사용하며, 잎은 뒷면의 표피를 벗기고 피부 화농에 사용하기도 한다(9).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의 천연물 소재 개발을 위해 꿩의비름 추출물 의 항산화 활성과 함께 염증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항염 활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에 존재하는 phytochemical의 역할은? 천연물 소재는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는 약재와 같은 식물을 이용하여 연구가 진행 중이며, 천연물에 함유되어 있는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들이 밝혀지고 있다(1-3). 특히 식 물 속에 존재하는 phytochemical은 각종 미생물, 해충 등과 같은 외부 이물질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식물생리활성 영양소로 항산화, 항염, 항균 등에 대한 효능이 알려지면서 피부친화적이고 안전한 화장품 소재개발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4,5). 또한 암, 동맥경화 증 및 염증을 예방과 감소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항산화 물질은 체내에서 생성되는 활성산소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대의 웰빙 트랜드의 흐름은? 현대의 웰빙 트랜드는 건강을 중시하며 친환경을 내포한 자연주의 성향을 나타내고 있어 환경오염과 합성 화학성분들에서 나타나는 부작용등에 대한 염려가 없는 순수 식물 성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건강한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로 천연물 소재를 활용한 건강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꿩의비름 부위별 추출물 뿌리, 줄기, 잎, 지상부 추출물 중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한 부위는? 호기성 세포의 효소 및 비효소적 단계에서 생성되는 독성이 강한 superoxide anion radical은 노화와 관련된 산화 반응의 개시 단계에서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등과 같은 다른 활성산소종의 생성에 관여하여 지질, 단백질, DNA 등에 산화적 손상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18).이러한 superoxide anion radical 등은 페놀성 화합물들에 의해 소거된다는 보고가 있으며(19), 본 실험 결과 지상부추출물인 HEAG에서 DPPH, ABTS,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이 높은 것은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Nanes MS (2003) Tumor necrosis factor- ${\alpha}$ : molecular and cellular mechanisms in skeletal pathology. Gene, 321, 1-15 

  2. Jeon AL, Kim JE, Lee NH (2017)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constitutes from the extract of Citrullus lanatus vines. J Soc Cosmet Sci Korea, 53-60 

  3. Kim, SS, Oh HJ, Baik JS, Oh TH, Yun PY, Kim CS, Lee NH, Hyun CG (2008)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lsholtzia splendens essential oil. J Appl Biol Chem, 51, 69-72 

  4. Kim SS, Hyun CG, Choi YH, Lee NH (2013)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compounds isolated from Neolitsea aciculata (Blume) Koidz. J Enzyme Inhib Med Chem, 28, 685-689 

  5. Shih MF, Cheng YD, Shen CR, Cherng JY (2010) A molecular pharmacology study into the anti-inflammatory actions of Euphorbia hirta L. on the LPS-induced RAW 264.7 cells through selective iNOS protein inhibition. J Nat Med, 64, 330-335 

  6. Tsatsanis C, Androulidaki A, Venihaki M, Margioris AN (2006) Signalling networks regulating cyclooxygenase-2. Int J Biochem Cell Biol, 38, 1654-1661 

  7. Kim MJ, Kim SS, Park KJ, An HJ, Choi YH, Lee NH, Hyun CG (2016) Methyl j asmonate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vi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nd nuclear factor- ${\kappa}B$ pathways in RAW 264.7 cells. Die Pharmazie, 71, 540-543 

  8. Ham YM, Yoon WJ, Lee WJ, Kim SC, Baik JS, Kim JH, Lee GS, Lee NH, Hyun CG (2015) Anti-inflammatory effects of isoketocharbroic acid from brown alga, Sargassum micracanthum. EXCLI J, 14, 1116-1121 

  9. Yoon ES (1997)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plant regeneration from leaf and stem explant cultures of Sedum erythrostichum Miq.. Korean J Plant Tissue Culture, 24, 285-289 

  1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1. Liu F, Ooi VEC, Chang ST (1997)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s. Life Sci, 60, 763-771 

  12.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13.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4. Devasagayam TPA, Tilak JC, Boloor KK, Sane KS, Ghaskadbi SS, Lele RD (2004)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 Assoc Physicians India, 52, 794-804 

  15.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16. Maeda H, Akaike T (1998) Nitric oxide and oxygen radicals in infection, inflammation, and cancer. Biochemistry (Mosc), 63, 854-865 

  17. Samak G, Shenoy RP, Manjunatha SM, Vinayak KS (2009) Superoxide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ons of botanical extracts of Wagatea spicata. Food Chem, 115, 631-634 

  18. Gulcin I, Berashvili D, Gepdiremen A (2005)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anthocyanins from Perilla pankinensis decne. J Ethmopharmacol, 101, 287-293 

  19. Joung YM, Park SJ, Lee KY, Lee JY, Suh JK, Hwang SY, Park KE, Kang MH (2007)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52-457 

  20. Choi JS, Kim HY, Seo WT, Lee JH, Cho KM (2012) Roasting enhances antioxidant effect of bitter melon (Momordica charantia L.) increasing in flavan-3-ol and phenolic acid contents. Food Sci Biotechnol, 21, 19-26 

  21. Kim SS, Park KJ, An HJ, Choi YH (2017) Phytochemical,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unshiu byproduct. Food Sci Biotechnol. 26, 461-466 

  22. Kwak JH, Choi GN, Park JH, Kim JH, Jeong HR, Jeong CH, Heo HJ (2010)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 J Agriculture Life Sciences, 44, 57-66 

  23. Lee SY, Shin YJ, Park JH, Kim SM, Park CS (2008) An analysis of the Gyungokgo's ingredients and a comparison study on anti-oxid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kinds of extract. Kor J Herbology, 23, 123-136 

  24. Kang MH, Choi CS, Kim ZS, Chung HK, Min KS, Park CG, Park HW (200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prepared from leaves, seed, branch and aerial part of Crotalaria sessiflora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98-1102 

  25. Yoon WJ, Lee JA, Kim KN, Kim JY, Park SY (2007) In vitro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Artemisia fukudo extracts in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64-469 

  26. Fenton MJ, Golenbock DT (1998) LPS-binding proteins and receptors. J Leukocyte Biol, 64, 25-32 

  27. Shih MF, Cheng YD, Shen CR, Cherng JY (2010) A molecular pharmacology study into the anti-inflammatory actions of Euphorbia hirta L. on the LPS-induced RAW 264.7 cells through selective iNOS protein inhibition. J Nat Med, 64, 330-335 

  28. Choe SI, Jo MJ, Kim SC, Byun SH (2008) Inhibitory effect of Sunbanghwalmyungeum MeOH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 in lipopolysaccharide-activated Raw 264.7 cells. Kor J Herbology, 23, 11-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