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face scan을 이용한 CAD/CAM 제작 의치 증례
CAD/CAM fabricated complete denture using 3D face scan: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5 no.4, 2017년, pp.436 - 443  

엄대영 (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이성복 (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이석원 (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박수정 (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  안수진 (강동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생체재료 보철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거의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기술 형태는 사용자가 한 제조사의 구성요소만 사용해야 하는 폐쇄적인 시스템이었다면, 현재는 여러 제조사의 구성요소 중 사용자가 필요에 맞는 구성요소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개방적인 시스템 형태로 변화하였다. 치과재료와 보철물 제작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의치 제작은 지난 100년 가까이 전통적인 제작방식을 따랐다. 하지만 최근 들어 기존 의치 제작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CAD/CAM 제작 의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밀링이나 3D 프린팅을 이용해 상용화된 형태의 CAD/CAM 제작 의치가 이미 임상에서 쓰이고 있다. 본 증례는 3D face scan을 활용한 CAD/CAM 의치 제작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CAD/CAM과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작한 의치를 비교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ast, computer-aided design / 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technology was the closed system that users had to use the components of only one manufacturer. At present, it has changed to the open system with the flexibility to select and use the components of various manufacturer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선천적인 상아질 형성부전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무치악 환자에 준하는 치료방법으로 3D face scan과 CAD/CAM을 이용한 의치 제작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전통적인 방법과 CAD/CAM 방법으로 제작한 의치를 비교하여 한계점 및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증례는 선천적인 상아질 형성부전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무치악 환자에 준하는 치료방법으로 3D face scan과 CAD/CAM을 이용한 의치 제작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전통적인 방법과 CAD/CAM 방법으로 제작한 의치를 비교하여 한계점 및 개선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AD/CAM 기술형태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이러한 기존 의치 제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0년대에 처음 시작된 CAD/CAM을 이용한 의치 제작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3 과거의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기술형태는 사용자가 한 제조사의 구성요소만 사용해야 하는 폐쇄적인 시스템이었다면, 현재는 여러 제조사의 구성요소 중 사용자가 필요에 맞는 구성요소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진 개방된 시스템 형태로 변화하였다.4
CAD/CAM 기술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CAD/CAM 기술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방법은 크게 공제술(subtractive manufacturing)과첨가술(additive manufacturing) 2가지 형태가 존재한다.4 공제술은 블록 형태의 재료를 절삭 가공하는 형태로 이미 중합 완료된 레진 블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도 및 체적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기존 의치 제작의 단점은 무엇인가? 1 가철성 보철물인 총의치의 경우 한 세기 가까이 전통적인 의치 제작 방법에 따라 제작해 왔으며, 무치악 환자의 좋은 치료옵션으로 사용되어 왔다.2 하지만 전통적인 제작 방법을 따를 경우 최종 의치 장착까지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며 환자의 잦은 내원을 해야 하고 그에 따른 비용 증가가 발생한다. 또한 의치 파절이나 분실 시 재제작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기존 의치 제작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0년대에 처음 시작된 CAD/CAM을 이용한 의치 제작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yazaki T1, Hotta Y, Kunii J, Kuriyama S, Tamaki Y. A review of dental CAD/CAM: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from 20 years of experience. Dent Mater J 2009;28:44-56. 

  2. Bidra AS, Taylor TD, Agar JR. Computer-aided technology for fabricating complete dentures: systematic review of historical background,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J Prosthet Dent 2013;109:361-6. 

  3. Maeda Y, Minoura M, Tsutsumi S, Okada M, Nokubi T. A CAD/CAM system for removable denture. Part I: Fabrication of complete dentures. Int J Prosthodont 1994;7:17-21. 

  4. Baba NZ, AlRumaih HS, Goodacre BJ, Goodacre CJ. Current techniques in CAD/CAM denture fabrication. Gen Dent 2016;64: 23-8. 

  5. Stansbury JW, Idacavage MJ. 3D printing with polymers: Challenges among expanding options and opportunities. Dent Mater 2016;32:54-64. 

  6. van Noort R. The future of dental devices is digital. Dent Mater 2012;28:3-12. 

  7. Kattadiyil MT, Goodacre CJ, Baba NZ. CAD/CAM complete dentures: a review of two commercial fabrication systems. J Calif Dent Assoc 2013;41:407-16. 

  8. Abduo J, Lyons K, Bennamoun M. Trends in computer-aided manufacturing in prosthodontics: a review of the available streams. Int J Dent 2014;2014:783948. 

  9. Sabol JV, Grant GT, Liacouras P, Rouse S. Digital image capture and rapid prototyping of the maxillofacial defect. J Prosthodont 2011;20:310-4. 

  10. Park CJ.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of CAD/CAM fabricated complete denture. J Korean Dent Assoc 2014;52:347-53. 

  11. Goodacre BJ, Goodacre CJ, Baba NZ, Kattadiyil MT. Comparison of denture base adaptation between CAD-CAM and conventional fabrication techniques. J Prosthet Dent 2016;116:249-56. 

  12. Hajeer MY, Millett DT, Ayoub AF, Siebert JP. Applications of 3D imaging in orthodontics: part I. J Orthod 2004;31:62-70. 

  13. Moss JP, Ismail SF, Hennessy RJ.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treatment outcomes on the face. Orthod Craniofac Res 2003; 6:126-31. 

  14. Hajeer MY, Ayoub AF, Millett DT. Three-dimensional assessment of facial soft-tissue asymmetry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4;42:396-404. 

  15. Schweiger J, Guth JF, Edelhoff D, Stumbaum J. Virtual evaluation for CAD-CAM-fabricated complete dentures. J Prosthet Dent 2017;117:28-33. 

  16. DENTCA web site. [Accessed 31 August, 2017]. Available from : https://www.dentca.com/products/dentca-3d. 

  17. Lee KY, Lee DJ. A comparative study of teeth and dental arch of Korean and Caucasian. Oral Biol Res 1993;71:1-15. 

  18. Kook YA, Nojima K, Moon HB, McLaughlin RP, Sinclair PM. Comparison of arch forms between Korean and North American white population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4;126:68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