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신 뼈 스캔의 오류 감소를 위한 프로세스 구축과 적용 효과

Building the Process for Reducing Whole Body Bone Scan Errors and its Effect

핵의학기술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technology, v.21 no.1, 2017년, pp.76 - 82  

김동석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박장원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최재민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심동오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김호성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  이영희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신 뼈 스캔은 핵의학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검사 중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전면상과 후면상을 동시에 획득하는데, 때때로 전면상과 후면상만으로는 병소를 분간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SPECT/CT나 추가 정적 영상을 통한 병소의 정확한 위치 확인이 중요하며, 추가 촬영 여부에 대한 최초 판단은 주로 방사선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에 본원에서는 방사선사의 업무 능력 함양을 위한 다양한 개선활동이 이루어져 왔고,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사의 교육 및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 적용이 전신 뼈 스캔 오류 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새로운 프로세스 적용을 위해 몇 가지 시스템이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첫 번째는 의국 교육 및 테스트의 시행, 두 번째는 추가 촬영이 예상되는 환자를 분류하여 촬영 전에 방사선사가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사전 여과 시스템 도입, 마지막으로 판독의가 방사선사에게 직접 촬영 영상에 대해 피드백 할 수 있는 NMQA라는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결과 확인을 위해 2014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핵의학과를 내원한 전신 뼈 스캔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전체 전신 뼈 스캔 대비 NMQA가 전송된 검사 건수를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연간 발생량은 2014년 141건, 2015년 88건, 2016년 86건으로 집계되었고 NMQA 발생률은 2014년 0.88%, 2015년 0.53%, 2016년 0.45%로 감소하였다. 새로운 프로세스가 적용된 2014년 이후 NMQA 발생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만 통계적으로 유용성을 확인하기까지는 데이터가 부족하여 향후에도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전신 뼈 스캔 영상 질 향상을 위해 표준화된 업무와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고 향후에도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hole body bone scan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performed in nuclear medicine. Basically, both the anterior and posterior views are acquired simultaneously. Occasionally,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lesion by only the anterior view and the posterior view. In this case, accurate l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리하여 방사선사의 능력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 개선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진행되어 왔던 방사선사의 교육 및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 적용이 Bone Scan 오류 감소에 어떠한 영향이 있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one Scan 영상 확인 후 추가로 SPECT/CT 스캔을 진행할 때 방사선사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이러한 시스템 구조 덕분에 Bone Scan 종료 후 영상 확인이 끝나면 같은 장비에서 즉시 SPECT/CT 스캔을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확인 단계에서 방사선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추가적인 촬영이 필요함에도 방사선사가 영상의 특이점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검사가 그대로 종료된다. 따라서 추가 촬영 여부 판단에 있어 영상을 가장 먼저 확인하는 방사선사의 역할이 중요하고, 방사선사의 영상 해석(Reading) 능력이 검사 전체의 질(Quality)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Bone Scan의 단점은? Bone Scan 영상에서 이상소견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집적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Bone Scan의 단점은 열소(Hot Spot) 소견이 전이성 질환 진단에 비특이적이라는 것이다. 많은 양성골 질환에서 Hot Spot으로 보이며 Bone Scan 영상 만으로는 그것이 뼈 전이인지 양성질환인지 정확한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Bone Scan의 주목적은? 전신 뼈 스캔(Bone Scan)은 핵의학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검사 중 하나이다. Bone Scan의 주목적은 가능한 빨리 뼈 전이를 발견하고 악성 뼈 종양과 관련된 병적 골절(Pathologic fracture)이나 퇴행 변화(Degenerative change)와 같은 질환을 평가하기 위함이다.1-3) 뼈는 악성종양의 전이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장기 중 하나이며, Bone Scan에 의한 악성종양의 뼈 전이 병소 검출 능력은 95% 이상으로 대단히 높아 추적 검사(Follow Up, F/U)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acobson AF, Fogelman I. Bone scanning in clinical oncology: does it have a future? Eur J Nucl Med. 1998;25:1219-1223. 

  2. Ryan PJ, Fogelman I. Bone scintigraphy in metabolic bone disease. Semin Nucl Med. 1997;27:291-305. 

  3. Rubenstein J. Imaging of skeletal metastases. Tech Orthop. 2004;19:2-8. 

  4. Savelin G, Maffiolli L, Maccauro M, De Deckere E, Bombardieri E. Bone Scintigraphy and the added advantage of SPECT in detecting skeletal lesions. Q J Nucl Med. 2001;45:27-37. 

  5. 고창순 외. 핵의학. 제 3판. 고려의학. 2008;520. 

  6. Hoger M, Eschmann SM, Plannenberg C, et al. Evaluation of combined emission and transmission tomography for classification of skeletal lesions. AJR. 2004;183:655-661. 

  7. Hoger M, Bares R. The role of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in benign and malignant bone disease. Semin Nucl Med. 2006;36:286-294. 

  8. Gates GF. SPECT bone scanning of the spine. Semin Nucl Med. 1998;28:78-94. 

  9. Taoka T, Mayr N, Lee H, et al. Factors influencing visualization of vertebral metastases on MR imaging versus bone scintigraphy. AJR. 2001;176:1525-1530. 

  10. Papathanassiou D, Bruna-Muraille C, Jouannaud C, Gagneux-Lemoussu L, Eschard J, Liehn J.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combined with computed tomography (SPECT/CT) in bone diseases. Joint Bone Spine. 2009;76:474-4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