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적응실태 및 방안
The Adaptation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South Korean Society and Its Effect o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0, 2017년, pp.524 - 530  

채경희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북한주민들의 탈북은 과거와는 달리 단순한 탈출이 아닌, 더 나은 삶을 추구하기 위한 이주의 성격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실태와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적응실태, 그리고 사회적응의 어려움에 대한 요인을 문헌 고찰 및 현황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은 2000년 이후 급속하게 증가하다가, 2012년 김정은 정권이 들어서면서 입국자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1999년 이후의 북한이탈주민은 그 이전의 입국자들보다 학력, 직업, 계층면에서 수준이 떨어지는 편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부적응 요인은 경제활동의 어려움, 남북의 정치체제의 차이, 남북의 다른 경제제도, 남북의 서로 상충되는 문화, 가족관계로부터 오는 어려움을 들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부적응 문제는 북한이탈주민의 노력과 남한 사회의 제반 시설이 뒷받침해 줄 때,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사회정착이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사회에 적응하는 것은 사회구성원들과의 어울림과 정서적인 공유가 중요하다. 따라서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하여 국가적으로 사회 안정망 구축 및 재정 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in the past, North Korean defectors are not merely satisfied at escaping the regime; they now consider their escape as a form of immigration to pursue a better life. This study examines the adaptation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suggests a plan to cope with the associated challeng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탈해 온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실태, 적응과 관련한 영역을 분석하였다. 그들의 적응과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할 때에는 ‘직접설문’의 방식이 아닌, 기존 연구 중에서 비슷한 연구를 통하여 남한사회 적응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적응실태,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의 어려움에 대한 요인에 대해 문헌 고찰 및 현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개입의 부족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실태와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적응실태,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의 어려움에 대한 요인에 대해 문헌 고찰 및 현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천적 개입의 부족함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문헌자료를 중점적으로 인용하였는데, 연구방법은 주제와 관련된 정부의 공식문서와 간행물, 관련 단행서적, 보고서 및 기타 참고자료 등을 기초로 한 문헌분석에 의하며 선행논문과 통일 부 및 관련 연구기간에서 발간한 각종 통계자료를 인용하였다. 이러한 점들을 이용하여 북한이탈주민의 현황을 파악하고 어떠한 점이 남한에서의 적응활동을 가로막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 그동안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과 적응실태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그에 대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적응 실태와 그에 따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현황 및 적응실태,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의 어려움에 대한 요인에 대해 문헌 고찰 및 현황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2년 이후 탈북은 어떤 목적으로 이루어졌는가? 그러나 내륙지역의 북한주민에게도 그 소식은 전해져 적지 않은 주민들이 이탈하는 현상을 가져왔다. 2002년 이후에는 단순히 식량난만이 아닌 더 나은 삶을 추구하기 위한 이주의 성격도 강해진 것으로 드러나고있다. 최근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의 과반수는 가족초청에 의한 기획탈북이다.
두만강·압록강 유역에서 탈북의 일반화를 가속화 시킨 것은 무엇인가? 1990년대 후반 북한당국 역시 이러한 ‘반역’에 대해 강력한 처벌을 내릴 수 없을 정도로 탈북자의 행렬은 늘어만 갔고 탈북자들을 처벌하는 곳에는 북송된 사람들로 넘쳐나고, 당연히 당국의 처벌이 약해지는 때도 많았다. 두만강·압록강 유역의 인민군 경비대군인에게 일정금액만 쥐어주면 탈북을 눈감아주거나 지어는 탈북경로를 안내해주기에 이르렀고, 이는 탈북의 일반화를 가속화시켰다. 또한 북한주민들 사이에서 대남적대의식이 희석된것도 탈북의 일반화에 동조하였다.
북한 이탈주민의 사회 부적응 요인은? 또한 1999년 이후의 북한이탈주민은 그 이전의 입국자들보다 학력, 직업, 계층면에서 수준이 떨어지는 편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부적응 요인은 경제활동의 어려움, 남북의 정치체제의 차이, 남북의 다른 경제제도, 남북의 서로 상충되는 문화, 가족관계로부터 오는 어려움을 들 수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부적응 문제는 북한이탈주민의 노력과 남한 사회의 제반 시설이 뒷받침해 줄 때,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사회정착이 이루어질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inistry of Unification, North Korean defectors' policy, http://www.unikorea.go.kr/(Search date: May 20, 2017) 

  2. Y. S. Yoon, S. H. Lim, 2015 North Korean defectors' economic and social integration. Seoul: North Korea Human Rights Information Center, 2016. 

  3. C. Y. Kim, "Settlement support policy of North Korean defectors", Unification Strategy, vol. 3, no. 2 pp. 63-95, 2003. 

  4. S. D. Kwon, "A Study on South 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North Korean Defactors", Journal of the Institute of Korean Political Studies Center for Social Sciences, vol. 23, no. 1 pp. 101-126, 2014. 

  5. J. B. Lim, "Regional Support System and Stakeholder Analysis for the Settlement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Journal of Korea Policies Institute, vol. 12, no. 2 pp. 249-272, 2012. 

  6. Y. T. Kim, C. H. Bae, "Ways to Support Residents Fled from North Korea in Their Living & Adaptation to the Community", Th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Review, vol. 25 pp. 81-115, 2010. 

  7. North Korea, students, school uniform, change, "Government Reinforces Economic, Financial and Living Law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Unification Korea, vol. 5, 2015. 

  8. C. K. Kang, "North Korean Refugee Supporting Policy Based on Barrier Factor Analysis",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vol. 22, no. 1 pp. 261-290, 2010. 

  9. J. J. Seo, "Comparative Study of Marxist-Leninism and Juche Ideology in North Korea", Journal of Territorial and Maritime Studies, pp. 1-176, 2002. 

  10. S. A. Kim, "North Korea's Recognition and Response to Democracy and Human Rights", Journal of Territorial and Maritime Studies, pp. 1-122, 2007. 

  11. H. S. Kim, S. S. Oh, "The stereotypes, affects and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and citizens toward North Koreans : A comparison with those toward other foreigners", Psychological Science, vol. 8, no. 1 pp. 1-22, 1999. 

  12. G. Y. Nam, "Labor Policy and Labor Force Assessment in North Korea", Journal of Territorial and Maritime Studies, pp. 1-79, 1996. 

  13. T. W. Yum,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Traumatic Experiences Among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1, no. 2 pp. 189-213, 2009. DOI: https://doi.org/10.20970/kasw.2009.61.2.008 

  14. J. W. Park, "A Study on the Normative Control for the Security of Kim Jong-il's Regime: with Emphasis on the Addenda of the North Korean Criminal Law in 2007",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vol. 22, no. 1 pp. 225-259, 2010. 

  15. S. C. Whang, S. H. Hong, "A Study of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Media on Political Socializ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29, no. 4 pp. 351-410, 2012. 

  16. Y. S. Jeon, "Analysis of the Settlement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Journal of Korea Women's Research Institute, vol. 11, no. 8 pp. 5-32, 2012. 

  17. T. W. Yum, "A Qualitative Study on the Positive Strength of Dealing with the Psycho-Social Crisis of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32 pp. 215-247, 2009. 

  18. I. J. Yoon, "Acculturation and Soci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Migrants",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 41 pp. 37-61, 2012. DOI: https://doi.org/10.17790/kors.2012..41.37 

  19. H. Y. Jo, J. H. Bae, "The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parenting and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19, no. 2 pp. 91-114,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